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인터뷰] '중국유학생, 한국으로 들어오는 관문' 펀도우코리아 장진카이 대표

기사입력 : 2017년11월09일 10:45

최종수정 : 2017년11월09일 14:36

중국유학생 사회의 최대 한국정보사이트
금한령 완화로 교류회복 제2한류붐 기대

[뉴스핌=백진규 기자] "우리는 누구보다 한중 관계가 다시 이전처럼 회복되기를 학수고대 해 왔습니다. 중국사회에 다시 한류붐이 일어나는 것은 중국 유학생들만이 아니라 중한 양국 모두에 이로운 일일 것입니다. 양국 정부가 관계 복원을 선언함으로써 앞으로 우리 사업도 본격적으로 바빠질 것 같습니다."

시진핑 집권 2기 출범과 함께 금한령(禁韩令, 한류금지령) 완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한국내 중국인 커뮤니티와 비즈니스계에서도 기대가 한껏 부풀고 있다. 지난 11월 7일 오전, 기자는 현장의 한중 우호 교류 분위기를 확인하기 위해 중국인 유학생들과 여행자들의 온라인 아지트인 펀도우코리아(奮鬥在韓國) 사무실을 찾았다. 유학생이 정보공유를 위해 만든 사이트가 기업으로 발전해 ▲여행 ▲성형 ▲쇼핑 ▲부동산 중개까지 영역을 확장한 사례는 펀도우코리아가 거의 유일하다고 할수 있다.

사무실에 들어서자 벽 한 면을 가득 채운 트로피와 상장들이 먼저 눈에 띄었다. 한국 관광공사, 지방자치단체, 연구소 등 다양한 기관들이 펀도우코리아에 전달한 공로패였다. 장 대표는 “금한령 해제를 계기로 앞으로 더 많은 상장을 받게 될 것 같다”고 말하며 활짝 웃은 뒤 “중국인 유학생 및 화교들과 한국을 잇는 정류소가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기자는 장진카이(張津凱) 펀도우코리아 대표를 만나자 마자 덕담으로 “중국인 유학생 99%가 펀도우코리아(奮鬥在韓國)를 검색해보고 한국에 온다면서요?" 하고 말을 건넸다. 고맙다고 말할 줄 알았는데 대답은 뜻밖이다. "아닙니다. 펀도우코리아를 모르고 한국에 오는 중국 유학생은 단 1명도 없습니다. 아마 100%가 펀더우 코리아에서 정보를 얻을 겁니다” 장 대표는 확신에 차서 이렇게 말했다.

실제 중국 최대 한국정보교류 사이트인 펀도우코리아의 영향력은 말그대로 ‘어마어마’하다. 11월 8일 기준 펀도우코리아 웨이보(微博) 회원수는 237만명을 넘어서고 있다. 유학생들이 맨손으로 시작한 회사지만 총 직원수만 한국에 20명, 중국에 80명 모두 100명에 달한다. 장 대표는 “규모만 최대가 아니라 중국 시장 내 파급력, 유학생들의 신뢰도, 회원 만족도까지 모두 압도적 1위”라며 어깨를 으쓱해 보였다.

장진카이 펀도우코리아 대표 /이형석 기자 leehs@

◆ ‘아니면 말고’식 정보 100개보다 ‘확실한’ 정보 1개를 소중히

펀도우코리아의 공동 설립자인 장진카이, 왕쥔린(王俊霖) 대표는 86년생 동갑내기로 중국 산둥성(山東省) 의 한 고등학교 동창이었다. 마침 고등학교가 전라북도 군산의 호원대학교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었기에 둘은 한국 유학을 결심했다. 두려움 반 기대 반으로 시작한 한국 유학은 그러나 시작부터 삐걱거렸다.

“2005년, 이제 막 한국 유학 붐이 일기 시작할 때였어요. 한국 유학 관련 정보는 찾기 힘들었고, 호반대학교는 그냥 한국의 명문대학교 중 하나로만 알고 있었죠. 그런데 와보니까 좀 이상하더라고요. 게다가 함께 오기로 한 왕쥔린은 비자발급 문제로 저보다 6개월 늦게 입학했고요. 한국어도 잘 못할 때여서 답답한 점이 많았죠.”

모든 혁신은 불편함에서 시작됐다고 했던가. 호원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장 대표는 자신과 같이 유학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이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비자연장부터 부동산 계약, 대학교 전과 등은 굉장히 귀찮고 복잡한 업무였다. “아마 이렇게 저렇게 하면 될 거 같아”라고 말해주는 사람은 많았지만 정확하게 “이 서류를 준비해서 여길 찾아가라”고 하는 사람은 없었다.

유학 1년 뒤인 2006년, 장진카이와 왕쥔린은 ‘힘들어도 한국에서 노력하자’는 의미로 펀도우코리아 사이트를 만들고 한국 유학 정보를 올리기 시작했다.

“사이트 편집이나 디자인 같은 건 신경도 못썼어요. 둘이서 ‘유학비자 연장’, ‘국가장학금 신청’ 같은 질문을 올리고 답을 달았죠. 하루 접속자가 5명도 안 되는 날이 많았지만, 두 달 정도 계속하니 사람들이 늘기 시작했어요.”

마침 2006~2007년 한국 유학 붐이 일면서 펀도우코리아는 금새 유명해졌다. 서울에서 유학하는 회원들까지 합류하면서 ‘고려대학교 근처 원룸 싸게 구하는 법’, ‘서울 시립대 전과 학점 기준’ 같은 다양한 정보가 올라오기 시작했다. 여기에 여행, 부동산, 성형 등 정보를 추가하자 여행사와 방송사 등의 문의가 이어졌다.

장진카이 펀도우코리아 대표 /이형석 기자 leehs@

◆ 정보교류에 올인, 기업 광고요청에 법인 전환

“기업 홍보, 자문 요청을 받다 보니 회사에서 경비처리를 위해 영수증을 발급해달라는 경우가 생기더군요. 결국 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해 법인을 설립하게 됐죠. 면세점, 성형외과, 전자상거래 기업, 여행사 등 광고 문의가 줄을 이었습니다. 대박이었죠.”

2009년 정식으로 ‘신화국제’라는 관리회사를 세운 뒤에는 중국에서도 IT 및 마케팅 전문직원들을 채용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펀도우코리아의 서비스도 더 다양해졌는데 벼룩시장, 부동산 중개, 유학생 교류 등은 특히 인기가 많다.

“중간에 학교를 옮기거나 유학을 마치면서 부동산 계약 기간이 남는 방들이 생기잖아요? 옷장 밥솥 같은 가구도 처리하기 어렵고요. 회원들끼리 연락해 남는 기간만큼 빌려 사용하거나 팔면 서로 이익이죠. 부동산 같은 경우는 중개수수료도 안 들고요.”

펀도우코리아는 회원간의 거래에 일절 관여하지 않고 중간에서 수수료를 받지도 않는다. 매일 수십개의 성형 문의가 사이트를 돌아다니지만 성형외과와 환자를 연결시켜주는 ‘브로커’ 업무에도 관심이 없다. 다만 직원들이 모니터링을 통해 불법 거래, 잘못된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해 바로잡는다. 마찬가지로 매월 다양한 오프라인 교류활동을 진행하는데, 기업들로부터 행사협찬을 받는 것 외에 다른 수익은 남기지 않는다.

“올 봄엔 중국인 유학생 1200명이 모여서 한강 걷기대회를 했습니다. 잠실나루부터 63빌딩까지 20km를 함께 걸었는데 갤러리아 면세점에서 행사 후원을 해주셨고요. 또 부산 벚꽃놀이에는 200명이, 전주 1일 여행에도 200명이 함께 갔었죠. 30~40명씩 모여 등산도 자주 가고요. 펀도우코리아 사이트에서만 서로 인사하던 친구들이 같이 오프라인에서 만나니까 더 반갑더라고요.”

펀도우코리아가 진행한 2017년 봄 중국인 유학생 한강 걷기대회 행사 <사진=펀도우코리아>

◆ 금한령 완화로 ‘제2 전성기’ 기대

물론 지금은 100명이나 되는 직원들과 철저한 수익사업도 함께하고 있다. 2012년 오픈한 한국 관광정보 포털사이트 ‘한유망(韓遊網)’이 대표적인 케이스. 한유망은 한국 관광명소를 소개하고 ▲입장권 판매 ▲호텔 예약 ▲렌트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중국 여행사들과 제휴해 수익을 얻고 있다. 중국어로 만든 한국 여행 지도 ‘한유망 지도 앱’은 한국을 찾는 중국 여행자들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앱으로 꼽힌다.

다만 2016년 시작된 사드보복으로 인해 여행 사업이 위축되면서 한유망도 큰 타격을 입었다. 장 대표는 금한령 해제 기대감을 드러내며 밝게 웃었다.

“여행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나 싶더니 2016년 말 사드보복과 함께 중국인 여행객이 1/10로 줄었죠. 금한령이 지속되면 유학생들까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걱정도 했었는데 정말 다행입니다. 앞으로 웨이신(微信, 위챗) 페이스북 등에서 홍보를 담당하는 SNS전담팀을 확대해 한국 홍보에 나설 계획입니다.”

장 대표는 금한령에 따른 사업 타격에도 버틸 수 있었던 이유로 한국에 대한 열정과 이해를 꼽았다. 이미 12년을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양국 교류 발전의 필요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또 한국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함께하는 직원들도 모두 한국에서 5년 이상 생활한 유학생 출신들이다.

한유망의 성공을 바탕으로 장 대표는 더 큰 꿈을 꾸고 있다. 중국인들이 전 세계를 편하게 돌아다닐 수 있는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 한유망과 구분하기 위해 하이어우뤼여우(海鷗旅遊) 라는 여행 플랫폼도 새로 만들었다. 전세계 여행지도를 중국어로 서비스하며, 네비게이션 기능을 추가하고 관광객들의 평점도 함께 표시했다. 2018년부터는 한국어와 영어로도 서비스 할 계획이다.

 

[뉴스핌 Newspim] 백진규 기자 (bjgchi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윗집 발망치 소리, 내년부터 끝" [세종=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 세종시에 위치한 이곳에는 주택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시험동이 있지만, 5층짜리 실제 아파트 건물 한 동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구 한켠에는 'db35lab(데시벨 35 랩)'이란 영문과 숫자 표기가 부착돼 있었다. 아파트 1층 내부에 들어가야 이 표기의 의미를 알게 됐다. 이는 LH가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보다 낮은, 도서관처럼 조용한 집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층간소음기술연구소의 시험동 이름이다. 층간소음 등급별 시연 모습 [사진=국토부기자단 공동] 거실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화면에는 2층의 층간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런닝머신, 책상과 의자, 공 등의 도구들이 보였다. 우선 화면을 통해 윗층에서 아래층에 전달되는 성인의 발걸음 소리를 들려줬다. 말 그대로 '발망치' 소리였다. 들려오는 소음은 49데시벨로 4등급 수준이다. 층간소음의 기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2005년 전에 지어진 공동주택의 경우 일부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이다. 이번에는 실제로 윗층에서 걷는 소리를 듣는 순서였는데, 귀를 쫑긋 세우지 않고서는 소음을 느끼기 어려웠다. 미세한 진동음이 들리긴 했지만, 불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어 1m 높이에서 3kg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도 시연됐다. 이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중량충격음으로, 역시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운 소음과 진동이 느껴지지만, 이곳의 실제 시연에서는 역시 진동음이 확 줄었다. 의자 끄는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이어서 경량충격음이라고 하는데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했지만, 실제 시연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았다. 이처럼 층간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는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에 맞춘 성능으로 시공된 바닥 때문이었다. 기존 슬래브 두께보다 두꺼운 250mm로 시공하고, 그 위에 40mm 복합완충재와 30mm 고밀도몰탈 및 와이어 메쉬 등을 함께 깔아 놓은 바닥재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202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나, 슬래브 두께는 210mm로 상대적으로 얇고 낮은 등급의 완충재와 일반 몰탈을 적용해 3등급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를 매년 개선해 온 결과 올해 1등급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LH는 이러한 기술 개발을 실험동 연구에 그치지 않고, LH 공동주택 각 현장에 실증 시공을 하면서 실증 결과 데이터를 쌓아왔다. LH가 층간소음 저감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단지는 양주회천 A15블록으로, 당시 3등급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평택고덕 ab57-2블록에 2등급 수준으로 끌어 올려 적용했다. LH 연구원 관계자는 "이 같은 1등급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과 공법을 연구해 왔다"면서 "47개의 기술 모델 개발과 총 1347회에 걸친 실증을 거쳐 자체 1등급 기술 모델을 정립해 내년부터 주택 설계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1등급 기준 설계로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기존 공동주택 24평형(전용면적 59㎡) 기준으로 가구당 300만~400만 원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는 것으로 LH는 추정하고 있다. 정운섭 LH 스마트건설본부장은 "층간소음 1등급 설계 적용 때문에 수분양자의 분양가 상승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체 원가절감과 함께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인 슬래브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1등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감지기를 통해 경고 알람이 뜨는 월패드 시연 장면 [사진=국토교통부기자단 공동] 층간소음 1등급 설계는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서만 가능하다. 때문에 구축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 LH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층간소음 감지기를 IT업체와 협력해 개발 중이다. 바닥에 여러 차례 충격을 줄 경우, 층간소음 감지기의 센서가 작동해 해당 세대 월패드를 통해 주의를 당부하는 알람이 뜨도록 하는 장치다. 정승호 LH 스마트주택기술처 팀장은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없겠지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기준을 해당 세대에게 알림으로써 아래층 이웃과의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라고 말했다. 실제 이날 시연은 기존 공동주택에 적은 비용으로도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팸투어에 참여한 국토교통부 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사진=뉴스핌DB] LH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국한하지 않고, 옆 세대와의 벽간소음, 화장실 배관 소음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소음 저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벽간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차단 성능 1등급 벽체 구조는 2019년 11월부터 이미 설계에 반영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화장실 배관이 아래층을 통하지 않고 각 세대 내에서 설치되는 자체 배관을 적용해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구성이 좋은 장수명 주택,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 구성이 가능한 라멘 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주택 건설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택 유형에도 층간소음 1등급 접목 방안을 모색해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H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 저변을 민간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간의 고성능 신기술을 발굴하고, 다양한 1등급 기술 요소의 시장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올해에는 층간소음 기술 마켓을 통해 6개의 고성능 기술을 발굴했으며 LH 공공주택 현장에서 그 성능을 검증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LH는 층간소음 1등급 적용 확산을 위해 db35lab을 내년 3월부터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자체 층간소음 시험 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에 데시벨 35랩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LH는 또 그간 개발해 온 층간소음 저감 기술 요소와 시공법, 실증 결과를 중소 민간 건설사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기술 개발과 층간소음 저감 시공·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이한준 LH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제일 먼저 강조한 게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약속한 것이었다"면서 "내년부터는 LH가 짓는 모든 아파트에 1등급 기준을 적용해 국민 일상의 생활 고통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에서 벗어나 라멘(기둥식) 구조와 모듈러에도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을 적용해 100년 이상 가는 장수명 주택의 근간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dbman7@newspim.com 2024-11-24 11:00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