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2018년 주요 대기업 인금체계 현황' 설문조사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대기업 근로자의 2명중 한명은 근속연수가 늘수록 임금이 오르는 '호봉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과 무관하게 임금이 올라 국내기업의 경쟁력 악화 요인으로 지적받고 있다.
전국경제연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0일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주요 대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 주요 대기업 인금체계 현황'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응답기업의 근로자 39만8915명 중 51.2%는 기본급으로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오르는 '호봉급'을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 수행 능력에 따른 '직능급'을 받는 근로자는 36.2%, 직무 성격 및 난이도에 따른 '직무급'을 받는 근로자는 4.4%로 조사되었다.
직종별 기본급 유형을 보면, 사무직과 연구직에서는 '직능급'이 각각 61.2%, 54.0%로 가장 많았다. 반면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는 '호봉급'이 각각 84.7%, 50.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근로자(39만8915명) 중 26.9%(10만7124명)는 평사원급에서 관리자급으로 승진하면 임금체계를 전과 달리 적용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중 평사원급(7만4338명)은 모두 호봉제를 적용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자급(3만2786명)은 주로 직능급(71.4%)을 적용받았으며 호봉제를 적용받는 경우는 없었다.
한경연은 "호봉제는 생산성과 관련 없이 임금이 매년 오르는 문제가 있다"며 "기업들이 평사원급에는 호봉제를 적용하지만 권한과 책임이 큰 관리자급에는 직능급 등을 적용하는 것은 능력과 성과에 대해 보상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려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대기업 170개사 중 호봉급이 있는 곳은 119개사였다. 이들 기업은 호봉급에 따른 문제점으로 장기근속자 고용 유지 부담(42.9%), 근로자의 성과 관리 어려움(36.1%),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응 어려움(11.8%) 순으로 응답했다.
그럼에도 호봉급 체제를 현재까지 유지하는 이유로는 기존 관행상(39.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 순으로 나타났다. 호봉급의 대표적 장점으로 꼽는 근로자의 장기 근속 유도는 10.1%에 그쳤다.
주요 대기업의 50.6%는 현행 임금체계의 최대 문제점으로 '성과가 달라도 보상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을 꼽았다. 이에 따라 올해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 사항으로 58.8%가 '성과 중심의 보상체계 확대'라고 응답했다.
주요 대기업은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임금체계가 나아갈 방향으로 사무직과 연구직에서 직무급을,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에서 직능급을 가장 많이 꼽았다.
호봉급은 현재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약 절반이 적용받지만 모든 직종에서 가장 적게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기업은 정부가 임금체계 관련 중점 추진할 사항으로 공공부문 임금체계의 선도적 개편(34.1%)을 꼽았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이 '호봉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해외 유수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능력·직무,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로 전환해 생산성을 높여야한다"면서 "정부가 '일자리정책 5년 로드맵'의 핵심과제로 포함한 직무·능력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이 조속히 추진되어 사회적 공감대가 빨리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