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년 경과 113명은 촉탁 계약직으로 채용
[수원=뉴스핌] 정은아 기자 = 경기 수원시가 공공부문 파견·용역 비정규직 근로자 25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임용했다고 8일 밝혔다.
수원시는 2019년 1월 1일 자로 60세 미만 비정규직 근로자 255명을 공무직으로 전환 임용하고, 정년(60세)을 경과한 113명은 촉탁 계약직으로 채용했다.
![]() |
2일 수원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공공부문 파견·용역 비정규직 근로자임용식 (사진=수원시청) |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들은 기존 임금보다 평균 25% 높은 임금을 받게 된다. 복지포인트, 건강검진 등 복지혜택도 받게 돼 근로여건이 개선됐다.
시는 파견·용역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거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직무급제'라는 새로운 임금체계를 도입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시는 지난해 10월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열고, 전체 파견·용역근로자 825명 중 414명의 정규직 전환을 협의했다. 411명은 사회취약계층 일자리 보전, 업무특성(전문성)에 따라 전환대상에서 제외됐다.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하면서 임금 상승에 따른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금체계는 '직무급제'로, 정년은 현 정규직과 같은 60세로 정했다.
전환대상자 중 시설물 청소·경비직종 등 '고령자친화사업' 근로자는 60세 이상인 경우 최대 65세까지, 65세 이상자는 전환 완료 후 연령에 따라 1년~2년간 촉탁 계약 근로 형태로 고용을 보장한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시 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당사자들에게는 그동안의 설움과 아픔을 꿋꿋하게 견뎌낸 보람이 되고, 다른 비정규직 노동자들에는 희망이 될 것"이라며 "선공후사(先公後私)의 마음으로 수원시와 시민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jea060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