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정치

속보

더보기

고전으로 풀어내는 시진핑 주석의 정치 메시지, 역사로 현대정치를 말하다

기사입력 : 2019년03월15일 16:51

최종수정 : 2019년03월18일 14:15

시 주석 중요 연설마다 성어 고전 인용 잦아
고전을 통해 역사적 교훈을 현대 정치에 적용

[타이베이=뉴스핌] 강소영 기자=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중요 연설에서 사자성어나 고문을 인용하기 좋아한다. 고대 정치적 환경과 역사적 배경을 통해 남겨진 고전 문구는 현대인에게도 많은 교훈과 시사점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시 주석의 중요 연설 때마다 사용되는 고전 문구는 그의 깊은 인문학적 조예를 드러냄과 동시에, 시 주석의 정치적 방향성 및 정부의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중국 펑황망(鳳凰網)은 올해와 지난해 양회에서 시 주석이 인용한 고전 문구를 정리해 보도했다. 그 중 일부를 발췌하고 해석을 더해 소개한다. 

 

  "사람은 추상적인 사물이 아닙니다. 피가 흐르고 살이 붙어있는 생명이죠. 앞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갖가지 위험과 도전을 극복하려면, 중국 당 19기 지도부가 그린 거대한 청사진을 순조롭게 실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선, '대붕지동, 비일우지경야. 기기지속, 비일족지력야(大鵬之動,非一羽之輕也;騏驥之速,非一足之力也)'라는 말처럼, 우리 인민이 반드시 끈끈하게 서로에게 기대야 합니다. 중국이 높이 날고 빨리 달리기 위해선 14억 인민의 방대한 역량을 모으고 그 힘을 분발시켜야 합니다".

올해 3월 4일 전국정협 문화예술계 및 사회과학계 연합 조별 회의에서 시진핑 주석이 남긴 말이다. 여기서 시진핑 주석은 「잠부론·석난(潛夫論·釋難)」에 나오는 '是故大鵬之動,非一羽之輕也;騏驥之速,非一足之力也。'라는 문구를 인용했다.

이 문구는 대붕이 깃털 하나의 가벼움에 의지해 하늘로 비상하는 것이 아니고, 준마가 전력질주할 때 다리 하나의 힘으로만 달리지 않는다라는 뜻이다. 14억 전 인민이 한마음으로 똘똘 뭉쳐야 함을 강조하기 위해 문구를 인용했다.

  "초심을 잃지 않아야, 항상 시종일관 같은 태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초심은 무엇인가요? 상하이의 스쿠먼(石庫門), 난후(南湖)의 홍선(紅船) 등이 중국 공산당을 탄생시켰고, 14년간의 항전끝에 우리는 역사적 승리를 거두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립하였습니다. 공화국의 색깔은 붉은색입니다. 이 색깔이 옅어져서는 안됩니다. 수많은 선열들이 우리의 기치를 붉은 피로 물들이셨고, 우리는 그들이 자신을 희생하며 치열하게 세운 공화국을 제대로 건설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결코 듣기만 좋고 가벼운 분위기에 호도되어 '격강유창후정화(隔江猶唱後庭花)'과 같은 결과를 초래해서는 안 됩니다".

이 역시 같은 날 전국정협 문화예술계 및 사회과학계 연합 조별 회의에서 거론한 말이다. '격강유창후정화(隔江猶唱後庭花)'는 당나라 시인 두목(杜牧)의 시 '박진회(泊秦淮)'의 한 구절이다.

烟籠寒水月籠沙(연롱한수월롱사)
夜泊秦淮近酒家(야박진회근주가)
商女不知亡國恨(상녀부지망국한),
隔江猶唱後庭花(격강유창후정화).

안개가 찬 강물 위에 서리고 달빛이 모래톱을 감싸는
깊은 밤, 진회 나루에 정박하니 주점들이 지척에 있네.
상나라 여인은 망국의 한도 모르고,
강 너머에서 오히려 '후정화'를 부르네.

'후정화(後庭花)'는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의 줄임말로 남북조 시대 진(陳)의 후주(後主) 진숙보(陳淑寶)가 쓴 가곡이다. 진나라 마지막 왕이었던 그는 사치하고 주색에 빠져 항상 연회를 베풀며 나랏일을 등한시하여 나라의 멸망을 초래하였다. 이 때문에 그의 가곡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는 망국의 노래로 일컬어지고 있다.

시진핑 주석은 이 시구를 인용해 외부의 소리에 흔들려 공산당 정신을 잃으면 나라가 멸망하는 과오를 범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풀이된다.

"정본청원(正本清源), 수정창신(守正創新)'. 한 나라와 민족은 자신만의 영혼을 가져야 합니다. 이데올로기를 지키는 중요한 진영과도 같은 문화예술 및 사회과학계는 더욱더 영혼이 필요합니다. 영혼은 우리의 역사에서 응집되고 만들어집니다".

같은 날 같은 장소에서 이뤄진 시 주석의 연설 내용이다. 근본적인 측면에서 철저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정돈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정본청원(正本清源)'라는 문구를 인용했다.

'정본청원(正本清源)은 근본을 바르게 세우고, 근원을 밝게 한다는 뜻으로 「진서·무제기(晉書·武帝紀)」에서 나온 구절이다. 원문은 '(詔曰)思與天下式明王度;正本清源;於置胤樹嫡;非所先務'이다.
이 문구는 "천하에 황태자 옹립의 제도를 바르게 알려 근본을 바로 세우려 한다. 여기에 적자를 세워 대를 잇게 하는 것은 내가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바가 아니다."라는 의미로 풀이할 수 있다. 

 

이날 시 주석은 다음과 같은 말도 남겼다. "인민은 마르지 않는 창작의 샘물과 같습니다. 인민의 삶에 초점을 맞춰야만 '취지부진, 용지부갈(取之不盡、用之不竭)'의 원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취지부진, 용지부갈(取之不盡、用之不竭)'은 꺼내 써도 끝이 없이 나오고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매우 풍성하고 풍요로운 것을 형용한다. 이 구절은 소동파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서 비롯됐다. 다음은 해당 구절이 포함된 전적벽부의 일부 내용이다.

唯江上之清風,與山間之明月(유강상지청풍,여산간지명월)
耳得之而為聲,目遇之而成色(이득지이위성,목우지이성색)
取之無禁,用之不竭(취지무금,용지부갈)
是造物者之無盡藏也(시조물자지무진장야)
而吾與子之所共適。(이오여자지소공적)

강 위의 시원한 바람과 산골 사이 뜬 밝은 달은
그것을 귀로 들으면 음악이 되고,
눈으로 보면 아름다운 광경이 되네.
이는 취해도 누가 막지 않고,
사용해도 마르지 않는 다네.
이 모든 것이 조물주의 무한한 저장물로
나와 그대가 함께 향유하는 것이라네.

"보잘것 없는 작은 공로라도 많이 쌓아야 합니다. 작은 일, 소소한 부문은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부분을 통해 우리 당의 당성, 원칙, 인격이 드러나게 됩니다. 우리는 '제궤의공,기설침망(堤潰蟻孔,氣泄針芒)'의 옛 교훈을 마음에 새겨, 작고 소소한 부분에서부터 수양을 강화하고, 조금씩 자신을 개선해 나하고, 엄격하게 수신하여 바른 마음으로 정도를 나아가야 할것입니다. 또한, 나쁜 일이 경미한 수준일 때 더욱 확대되지 못하도록 하고, 시시각각 인민의 공복으로의 역할에 충실해야 합니다".

지난해 3월 양회에서 충칭대표단 회의에 참석하여 남긴 말이다. '제궤의공,기설침망(堤潰蟻孔,氣泄針芒)'는 작은 개미가 판 작은 구멍에 제방이 무너지고, 바늘 구멍에 기가 세어나간다는 뜻이다. 즉, 작은 일이라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큰 사고가 날 수 있음을 경계하는 말이다. 시 주석은 이 문구를 통해 중국의 인민대표들이 사소한 일에도 주의를 기울여 사회 전체가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할 것을 주문했다.

이 문구의 출처는 「후한서·곽진열전(後漢書·郭陳列傳)」이다. 臣聞輕者重之端,小者大之源,故堤潰蟻孔,氣泄針芒,是以明者慎微,智者識幾。'신이 듣기를 가벼움은 무거움의 시작이고, 작은 것은 큰 것의 근원입니다. 옛말에 개미 구멍에 제방이 무너지고, 기가 바늘 끝에서 새어 나간다고 하였습니다. 고로 현명한 자는 작은 것에 신중하고, 지혜로운 자는 징조를 잘 알아차린다 하였습니다'라는 의미이다.

jsy@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윗집 발망치 소리, 내년부터 끝" [세종=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 세종시에 위치한 이곳에는 주택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시험동이 있지만, 5층짜리 실제 아파트 건물 한 동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구 한켠에는 'db35lab(데시벨 35 랩)'이란 영문과 숫자 표기가 부착돼 있었다. 아파트 1층 내부에 들어가야 이 표기의 의미를 알게 됐다. 이는 LH가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보다 낮은, 도서관처럼 조용한 집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층간소음기술연구소의 시험동 이름이다. 층간소음 등급별 시연 모습 [사진=국토부기자단 공동] 거실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화면에는 2층의 층간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런닝머신, 책상과 의자, 공 등의 도구들이 보였다. 우선 화면을 통해 윗층에서 아래층에 전달되는 성인의 발걸음 소리를 들려줬다. 말 그대로 '발망치' 소리였다. 들려오는 소음은 49데시벨로 4등급 수준이다. 층간소음의 기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2005년 전에 지어진 공동주택의 경우 일부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이다. 이번에는 실제로 윗층에서 걷는 소리를 듣는 순서였는데, 귀를 쫑긋 세우지 않고서는 소음을 느끼기 어려웠다. 미세한 진동음이 들리긴 했지만, 불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어 1m 높이에서 3kg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도 시연됐다. 이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중량충격음으로, 역시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운 소음과 진동이 느껴지지만, 이곳의 실제 시연에서는 역시 진동음이 확 줄었다. 의자 끄는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이어서 경량충격음이라고 하는데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했지만, 실제 시연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았다. 이처럼 층간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는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에 맞춘 성능으로 시공된 바닥 때문이었다. 기존 슬래브 두께보다 두꺼운 250mm로 시공하고, 그 위에 40mm 복합완충재와 30mm 고밀도몰탈 및 와이어 메쉬 등을 함께 깔아 놓은 바닥재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202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나, 슬래브 두께는 210mm로 상대적으로 얇고 낮은 등급의 완충재와 일반 몰탈을 적용해 3등급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를 매년 개선해 온 결과 올해 1등급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LH는 이러한 기술 개발을 실험동 연구에 그치지 않고, LH 공동주택 각 현장에 실증 시공을 하면서 실증 결과 데이터를 쌓아왔다. LH가 층간소음 저감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단지는 양주회천 A15블록으로, 당시 3등급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평택고덕 ab57-2블록에 2등급 수준으로 끌어 올려 적용했다. LH 연구원 관계자는 "이 같은 1등급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과 공법을 연구해 왔다"면서 "47개의 기술 모델 개발과 총 1347회에 걸친 실증을 거쳐 자체 1등급 기술 모델을 정립해 내년부터 주택 설계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1등급 기준 설계로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기존 공동주택 24평형(전용면적 59㎡) 기준으로 가구당 300만~400만 원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는 것으로 LH는 추정하고 있다. 정운섭 LH 스마트건설본부장은 "층간소음 1등급 설계 적용 때문에 수분양자의 분양가 상승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체 원가절감과 함께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인 슬래브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1등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감지기를 통해 경고 알람이 뜨는 월패드 시연 장면 [사진=국토교통부기자단 공동] 층간소음 1등급 설계는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서만 가능하다. 때문에 구축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 LH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층간소음 감지기를 IT업체와 협력해 개발 중이다. 바닥에 여러 차례 충격을 줄 경우, 층간소음 감지기의 센서가 작동해 해당 세대 월패드를 통해 주의를 당부하는 알람이 뜨도록 하는 장치다. 정승호 LH 스마트주택기술처 팀장은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없겠지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기준을 해당 세대에게 알림으로써 아래층 이웃과의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라고 말했다. 실제 이날 시연은 기존 공동주택에 적은 비용으로도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팸투어에 참여한 국토교통부 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사진=뉴스핌DB] LH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국한하지 않고, 옆 세대와의 벽간소음, 화장실 배관 소음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소음 저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벽간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차단 성능 1등급 벽체 구조는 2019년 11월부터 이미 설계에 반영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화장실 배관이 아래층을 통하지 않고 각 세대 내에서 설치되는 자체 배관을 적용해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구성이 좋은 장수명 주택,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 구성이 가능한 라멘 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주택 건설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택 유형에도 층간소음 1등급 접목 방안을 모색해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H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 저변을 민간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간의 고성능 신기술을 발굴하고, 다양한 1등급 기술 요소의 시장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올해에는 층간소음 기술 마켓을 통해 6개의 고성능 기술을 발굴했으며 LH 공공주택 현장에서 그 성능을 검증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LH는 층간소음 1등급 적용 확산을 위해 db35lab을 내년 3월부터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자체 층간소음 시험 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에 데시벨 35랩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LH는 또 그간 개발해 온 층간소음 저감 기술 요소와 시공법, 실증 결과를 중소 민간 건설사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기술 개발과 층간소음 저감 시공·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이한준 LH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제일 먼저 강조한 게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약속한 것이었다"면서 "내년부터는 LH가 짓는 모든 아파트에 1등급 기준을 적용해 국민 일상의 생활 고통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에서 벗어나 라멘(기둥식) 구조와 모듈러에도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을 적용해 100년 이상 가는 장수명 주택의 근간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dbman7@newspim.com 2024-11-24 11:00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