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세 아끼려 불 끄고 배식 준비...1평 휴게실엔 창문·환풍구 없어
"죽음 이후 바뀐 것 없다" 코로나 직격탄에 거리에 내몰린 근로자들
[서울=뉴스핌] 이학준 기자 = 지난해 8월 9일 서울대학교 제2공학관 건물에서 근무하던 미화원 A(67) 씨가 교도소 독방 1.9평보다 작은 1.06평 휴게실에서 사망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났지만 미화원을 비롯해 학생식당·매점·카페 등 근로자들은 여전히 열악한 환경에서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1평 남짓한, 환풍 시설이 없어 냄새가 가득한 휴게실 아닌 '휴게실'은 여전했고, 그곳에서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근로자가 있었다.
올해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일부 학생식당 등이 문을 닫게 되자 근로자들은 억지로 유급휴가를 가고 있다. 학생식당을 운영하는 서울대 생활협동조합(생협)은 파산 직전이지만 서울대는 묵묵부답이다. 미화원이 사망한지 1년이 지난 지금, 또 다른 서울대 근로자들은 거리로 내몰릴 위기에 처했다.
서울대학교 정문 전경 /김학선 기자 yooksa@ |
◆ "전기세 아끼라며"…불끄고 일하는 식당 근로자들 설움
지난 6일 오전 11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캠퍼스 내 위치한 학생회관 식당 불은 꺼져 있었다. 배식이 시작되기 불과 30분 전이지만 밖에서 보면 영락없이 문을 닫은 식당처럼 보였다. 그러나 안에서는 배식 준비에 여념이 없는 근로자들이 있었다.
이들이 불을 켜지 않은 이유는 전기료를 절감해야 하기 때문이다. 서울대 학생식당 근로자들이 소속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대학노동조합 서울대지부(노조)는 학교와의 발전협의회에서 적자인 학생식당을 위해 전기료를 지원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되돌아온 답은 "전기를 아껴라"였다.
노조에 따르면 당시 한 서울대 관계자는 "(직접) 학생회관 식당을 10시 30분쯤 돌아봤다"며 "아직 오픈을 안했지만 조명은 환하게 켜져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기요금 납부를 못할 정도로 어려우면 직원들도 다 힘든 것을 알고 전기를 아끼려고 해야 한다"며 "직원들 교육을 시키셔야 할 듯하다"고 했다고 한다.
결국 식당 근로자들은 불을 끈 채 배식 전·후 청소를 하고 있었다. 에어컨은 생각하지도 못한다. 한 식당 근로자는 "어려운 시국이니까 전기세를 아끼라고 하는 것은 인정한다"면서도 "지금같이 비가 많이 오면 습한데 덥기까지 하니까 살이 무르고 들러붙는다"고 호소했다.
◆ 1평 남짓 환풍기 없는 '휴게실'에서 어깨통증 호소
서울대 학생회관 식당 내부를 지나 카페 구석에는 근로자를 위한 휴게실이 하나 있다. 문을 열면 알 수 없는 냄새와 습한 열기가 이들을 맞이한다. 창문은 고사하고 환풍기도 없다.
휴게실 전체 면적은 5평이 넘지만 창고와 겸해서 사용되기 때문에 정작 쉴 수 있는 공간은 1평 남짓이다. 벽면 이음새 곳곳에는 청테이프가 붙어 있다. 아래층에 위치한 보일러가 작동되며 내뿜는 가스, 바로 옆에 위치한 쓰레기 분리수거장에서 넘어오는 냄새를 막기 위해서다.
[서울=뉴스핌] 이학준 기자 = 창문은 고사하고 환풍기도 없는 서울대 근로자들을 위한 휴게실에는 알 수 없는 냄새와 뜨거운 습기가 가득했다. 2020.08.07 hakjun@newspim.com |
이곳에서 1991년부터 지금까지 부식 등 물품을 배달하고 있는 B씨를 만날 수 있었다. "내가 서울대의 산 증인"이라며 농담을 건네는 B씨는 임금 인상보다 근무환경 개선이 더 시급하다고 했다. 최소인원으로만 돌아가는 빡빡한 일정 때문에 무리하게 일할 수밖에 없는 근로자들은 병을 달고 산다는 것이다.
B씨도 어깨통증을 호소했다. 최근 의사로부터 3개월 동안 주사를 8번 맞아야 하지만 효과는 장담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B씨는 "여직원들 중에서도 나랑 비슷한 사람들이 꽤 있다"며 "내가 이정도인데 식당 쪽은 더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B씨는 휴게실에 대해 "A씨 사망 사건 이후로 휴게실이 바뀐 건 없고, 내가 여기 온 이후로도 바뀐 건 없다"고 했다. 이어 "하루종일 밖에서 일하기 때문에 휴게실에서 쉴 수 있는 시간은 사실 많지 않다"면서도 "말 그대로 휴게공간 역할을 못 한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학준 기자 = 서울대 카페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을 위한 휴게실 중 하나. 허리를 굽혀야만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2020.08.07 hakjun@newspim.com |
서울대 동원관에 위치한 느티나무 카페 근로자들이 사용하는 휴게공간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계단 밑에 위치한 휴게실은 휴게실이란 이름이 무색하게 의자, 박스 등 각종 물건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사실상 이들에게 허용된 것은 허리를 굽혀야만 들어갈 수 있는 기역자 모양의 좁은 통로와 의자 하나, 스탠드 불빛뿐이었다.
수형자 1인당 최소 수용 면적 2.58평 절반도 안 되고, 교도소 독방 1.9평보다 작은 휴게실에서 사망한 A씨 사건은 서울대 근로자들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세상에 알렸다. 지난해 10월 서울대 국정감사에서도 A씨 죽음은 주요 현안 중 하나였다.
당시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이었던 여영국 전 정의당 의원은 서울대 미화원 휴게실 146곳 중 33곳에 냉·난방 시설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서울대는 고용노동부 권고사항을 반영해 올해 2월까지 휴게실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 코로나 직격탄...식당 등 문닫아 거리 내몰릴 위기
근로자들이 이렇게 일하며 받는 기본급은 5호봉 기준 약 194만원이다. 특별 수당은 배우자 4만원, 자녀 1명당 2만원이 전부다. 시간 외 수당이 있지만 인건비 절감을 위해 시간 외 근무는 시키지 않고 최소인원으로만 운영된다고 한다.
그러나 코로나19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이마저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됐다. 학생 이용자가 급감하면서 일부 학생식당 및 카페 등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결국 근로자들은 3월부터 순차적으로 기본급 70%만 받는 유급휴가를 시작했다. 사정이 더 어려워지면서 억지로 연차를 소진하며 버티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학준 기자 = 서울대 302동에 설치된 A씨를 위한 추모공간. 2020.08.07 hakjun@newspim.com [사진=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 |
서울대 학생식당 등을 운영하는 생협은 올해 상반기만 9억원의 적자를 봤다. 2학기도 비대면 수업이 많아질 경우 사실상 파산 위기다. 이에 학생들과 노조는 서울대가 직접 학생식당 등을 운영하는 '직영화'를 촉구하고 있다. 학생식당 운영은 학내 복지이기 때문에 학교 당국이 책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서울대 측은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서울대 총학생회인 '2020 서울대학교 단과대학생회장연석회의' 등 학생·시민단체는 A씨가 사망한 302동과 학생회관에 추모공간을 설치하고 10일까지 추모주간을 진행한다.
hakj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