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경환 기자 = 의대 정원 확대 정책 등에 반발해 전공의들이 집단휴진에 나선 지 이틀째, 파업 참여율이 3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전국 전공의 중 31.1%가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2996명 가운데 비근무 인원이 932명이었다.
이는 전공의 수련기관 244곳 중 101곳이 응답한 결과로, 비근무 비율은 인턴이 35.7%(1206명 중 430명 비근무), 레지던트 3년차가 27.6%(1044명 중 288명 비근무) 그리고 레지던트 4년차가 28.7%(746명 중 214명 비근무)였다.
순차 파업 첫날인 지난 21일에는 비근무 비율이 인턴 38.9%, 레지던트 4년차 55.2%를 기록했다. 인턴은 2705명 가운데 1052명이, 레지던트 4년차는 1535명 가운데 847명이 근무하지 않았다.
복지부 측은 전날에 비해 이날 파업 참여율이 준 것에 대해 "레지던트 4년차는 휴일근무를 배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비근무 비율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점검 범위를 수도권으로 좁히면, 이날 전공의들의 비근무 비율(50곳 응답)은 인턴 36.1%, 레지던트 3년차 28.9%, 레지던트 4년차 28.6%다.
한편,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지난 21일 인턴과 레지던트 4년차를 시작으로 순차 파업에 돌입했다. 이날에는 레지던트 3년차, 오는 23일에는 레지던트 1년차와 2년차가 업무를 중단한다.
![]() |
전공의들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추진 등에 반발해 무기한 집단휴진에 들어간 가운데 22일 서울성모병원 앞에서 한 전공의가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ho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