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역량 강화
차량용반도체 조달 출입국시 격리면제 신속심사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등 관련 기술개발(R&D)에 2022년까지 2047억원을 투입된다. 이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부품 자립화가 추진된다.
또 팹리스, 파운드리의 차량용 반도체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완성차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안전 평가·신뢰성 인증 인프라가 구축된다.
정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제6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 '차량용 반도체 단기 수급 대응 및 산업역량 강화 전략'을 발표했다. 안건에는 ▲차량용 반도체 단기 수급 대응 ▲중장기 산업역량 강화 ▲자동차-반도체 기업간 연대·협력의 구체적인 추진방안이 담겼다.
NXP 반도체의 애리조나 생산시설 [사진=로이터 뉴스핌] |
우선 미래차 핵심 반도체 R&D에 2020~2022년간 2047억원을 지원한다.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기술개발 사업,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등 관련 R&D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부품 자립화를 지원하는 것이다. 올해는 ▲차량용 AP 및 엣지컴퓨팅 칩 ▲레벨4 자율차용 부품 ▲기안전주행 플랫폼 등으로 지원영역을 확대한다.
차량용 반도체의 빠른 사업화를 위해 가전·산업·모바일용 등 기존 비차량용 반도체를 차량용으로 전환·개조를 지원한다. 차량용 반도체에 대한 기존 R&D 과제 지원은 지속 확대하고 자율주행 반도체 개발 시 필요한 학습용 데이터를 개방한다.
전기차, 자율차 등 미래차의 전력 소비 확대에 대응해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차세대 전력 반도체 기술역량을 강화한다. 특히, 실리콘(Si) 대비 전력 효율과 내구성이 뛰어난 실리콘카바이드(SiC), 질화갈륨(GaN) 등 신소재 기반 반도체의 초기 시장 선점을 위한 R&D를 추진한다.
또한 팹리스, 파운드리의 차량용 반도체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완성차 적용을 지원하기 위해 기능안전 평가·신뢰성 인증 인프라를 구축한다. 차량용 반도체의 기능안전 시험평가와 신뢰성 인증을 위한 시설과 시험평가 장비를 5년간 20여종 구축하고 구축된 인프라는 팹리스의 공동 활용·연구용 오픈랩으로 운영한다.
국내·외 차량용 반도체 파운드리를 팹리스가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도록 시제품 제작 비용 지원도 강화한다. 차량용 반도체 R&D, 시제품 제작, 기능안전과 신뢰성 평가'로 이어지는 양산 전 단계 전주기 지원체계를 마련한다. 향후 증가하는 자동차, 가전 등의 차세대 반도체 수요에 적기 대응하기 위해 국내 파운드리 투자 지원도 강화한다.
아울러 차량용 반도체의 차질없는 조달을 위해 민·관 협력 채널을 활용한 주요 국가, 해외 반도체 기업, 협회 등과 긴밀히 협의를 진행 중이다.
자동차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난달 17일부터 차량용 반도체 부품에 대한 신속 통관을 지원하고 차량용 반도체 조달 관련 출·입국 시 격리면제 신속심사, 차량용 반도체 구매·조달 등 필수목적 출국 기업인에 대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추진한다.
국내 업체에서 개발 완료한 차량용 반도체 부품·모듈에 대한 성능평가 긴급 지원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조기 사업화도 지원한다. 자동차기업과 파운드리, 팹리스 등 반도체 기업이 연계한 소재·부품·장비 협력모델을 발굴해 패키지로 지원한다.
이밖에도 국내 자동차-반도체 업계의 긴밀한 연대·협력을 위한 협의채널을 구축하고 현황조사와 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해 차량용 반도체 발전전략을 마련한다.
정부 관계자는 "차량용 반도체 자립화를 위한 기업간 연대·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되도록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