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 이 작가의 작업은 좀 다르다. 사유의 결과물이자, 한 편의 시 같은 미술이다. 바쁜 걸음을 멈추고, 호흡을 가다듬으며 봐야 하는 예민한 작업이다. 요즘 우리 미술계도 쇼킹하거나 스펙타클한 작업이 주를 이루지만 그의 작업은 작고 내밀한 것을 건드린다.
'한국을 대표하는 개념미술가'로 불리는 안규철(66)은 삶과 세계를 차분히 성찰하며 철학적인 작업을 내놓는다. 즉흥적, 즉물적인 작업과는 거리가 멀어 차분히 곱씹어봐야 하지만 의외로 흥미로운 구석이 많다. 마치 시인이 오랜 조탁 끝에 영롱한 시어들을 직조하듯, 그 역시 오랜 사유와 글쓰기와 드로잉을 거쳐 명징하고 독특한 작업을 직조해낸다. 우리 화단에서 흔치 않은 개념미술가이자 사유에 기반한 작업을 하는 작가가 바로 안규철이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기자=자화상에 해당되는 작업인 '무명작가를 위한 다섯 개의 질문'(1991_2021) 앞에 선 안규철. [사진=이영란 기자] 2021.6.2 art29@newspim.com |
올초 대학(한국예술좋합학교)을 정년퇴직하고,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선 안규철이 지난 30년의 작업을 꿰뚫는 전시를 열고 있다. 국제갤러리(회장 이현숙)는 한국 현대미술계에 다양한 표정을 불어넣은 안규철의 개인전을 부산점에서 지난 5월 개막했다. 전시의 타이틀은 '사물의 뒷모습'. "진실은 사물의 표면 보다 보이지 않는 이면에 숨어 있다"는 작가의 핵심적 사유를 함축한 제목이다.
안규철은 데뷔이래 줄곧 우리 주변의 사물과 우리의 일상을 꼼꼼히 관찰하며 이를 언어로 압축하거나 드로잉으로 표현해왔다. 이 기본작업을 오브제, 회화, 설치작업으로 발전시켰는데 이번 부산 전시에는 드로잉과 회화, 오브제와 설치미술 40여 점이 나왔다. 출품작에는 일상에서 무심히 넘겨버리는 사소한 것들의 의미, 나아가 제목에서 피력한 '사물의 뒷모습에 숨은 의미'를 일관되게 질문해온 작가의 30년 여정이 다채롭게 새겨져 있다.
국제갤러리 부산점에 발을 들이면 가장 먼저 '무명작가를 위한 다섯개의 질문Ⅱ'란 설치작업이 눈에 들어온다. 안규철이 꼭 30년 전에 제작한 작품이다.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졸업하고, 작가이자 미술전문지(계간미술) 기자로 8년간 활동하던 그는 1987년 유럽 유학길에 올랐다. 프랑스를 거쳐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미술학교에 들어간 그는 1991년 나무문 두짝과 의자가 어우러진 이 작품을 제작했다.
독일어로 'Kunst(예술)'라 쓰인 문에는 다섯 개의 손잡이가 달려 있는데 'Leben(인생)'이라 적힌 문에는 손잡이가 아예 없다. 왜일까? 서울에서의 안정된 삶을 접고, 지구 반대편으로 떠나온 삶은 '손잡이가 없는 문'이다. 되돌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에 예술의 세계로 들어서기 위해선 다섯 개(또는 그 이상)의 어려운 문제를 풀어야 했기에 '손잡이가 다섯 개인 문'으로 표현됐다. 절박했을 작가의 심정이 읽혀진다.
문짝 사이에는 기이한 의자가 놓여 있다. 3개의 다리는 허공에 붕 떠 있고, 한쪽 다리는 화분에 꽂혀 있다. 물이라도 주며 의자를 기르겠다는 것일까? 안규철은 "살아있는 나무도 아니고, 죽은 나무로 만든 의자를 화분에 심고 키우는 건 당연히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그 무모한 일을 하겠다고 나선 게 나였다. 가족까지 끌고와 '예술이란 걸 해보겠다'고 안간힘 쓰는 내 모습이니 자화상인 셈이다"고 소개했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기자= 안규철 '2/3 사회 II'. 2021. 가죽 고무 자석 등. [사진=안천호. 이미지 제공=국제갤러리]. 2021.6.2 art29@newspim.com |
당시 그는 '예술이 인생보다 중요하냐' '당신은 언제 예술가인가' '무얼 하길래 예술가인가' '한 번 예술가이면 죽을 때까지 예술가인가'같은 질문들을 끝없이 읊조리며 번뇌하는 무명작가로서의 시간을 보내야 했다.
이번 개인전에는 작가의 유학시절, 즉 1980년대말~1990년대초 일상의 사물과 언어를 소재로 인간사회의 모순을 드러냈던 오브제 작품들이 완결성있게 재현돼 관객과 만나고 있다. 이를테면 7개의 구두를 이어붙인 '2/3 사회'(1991)가 그렇다. 검은 신사화는 원형을 그리며 서로 맞물려 있는데 뒷굽으론 다른 구두를 슬쩍 밟고 올라섰지만, 앞코는 다른 구두에 눌려 있다. 열심히 달려 남을 제친 줄 알았지만 결국은 남의 발 밑에 눌려있는 현실을 '상호 맞물린 모습'으로 함축한 작업이다.
'단결해야 자유를 얻는다'는 의미 아래 세 벌의 외투를 하나로 연결한 1992년작 '단결 권력 자유'는 이번에 아홉 벌로 확장돼 구현됐다. 둥근 고리처럼 이어진 외투들은 자아와 타인, 우리와 그들, 안과 밖을 나누는 경계이기도 하고, 타자의 진입을 가로막는 장벽이기도 한다.
작업 초기 크고 작은 일상 사물을 활용하던 안규철의 오브제 작품은 귀국 후 스케일이 커지고, 깊이도 심화된다. 그리곤 2004년 삼성미술관 로댕갤러리 초대전을 계기로 건축적인 규모로 확장된다. 이번 전시에는 당시 전시를 통해 작가의 대표작으로 각인된 '112개의 문이 있는 방'(2004)이 축소된 모형으로 재제작됐다. 또 2015년 작업인 '침묵의 방' 등 사진으로만 전해지는 작품들이 재현돼 개념적 사고와 현실의 우회적 재현에 바탕을 둔 안규철의 작업세계를 살필 수 있다.
지난 2012년 광주비엔날레에서 선보였던 회화 '그들이 떠난 곳에서-바다'는 이번 부산 전시를 통해 본격적으로 구현됐다. 당시 작가는 A4용지만한 캔버스 200개에 바다를 그린 후 광주 시내 곳곳에 배치했다. 축대 틈새나 건물과 건물 사이에 놓아두고는 비엔날레 기간 내내 일간지에 '분실된 미술작품을 찾습니다'라는 공고를 냈다. 이 때 작가에게 되돌아온 그림은 200점 중 20여 점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행불'이었다. 비엔날레 전시관에는 20여 점만 걸었다. 대학졸업 후 '현실과 발언' 동인으로 활동하며 사회의식이 담긴 작업을 선보였던 작가는 그만의 방식으로 광주민주화운동으로 스러져간 영령을 소환해낸 셈이다.
[서울=뉴스핌] 이영란 기자= 안규철 '사소한 사건'. 1999_2021. Gold leaf on bronze [사진=안천호. 이미지제공=국제갤러리] 2021.6.2 art29@newspim.com |
안규철은 이번 개인전에 당시 관객이 볼 수 없었던, 200개 캔버스로 이뤄진 원래의 바다그림을 다시 그려 내걸었다. 광주 어딘가에 남아있거나 소실되었을 170여점의 그림과 부산에 다시 등장한 200점의 새 그림은 서로 대비되며 생성과 소멸, 개체와 조직의 의미를 되묻게 한다.
역대 대통령선거에 등장했던 69개의 선거벽보를 모노크롬 회화로 변형한 '약속의 색'(2020)도 설치됐다. 형형색색 요란했던 선거벽보를 평균치 색상으로 압축했더니 부드럽고 아름다운 단색조 회화가 탄생했다. 안규철만의 '사유의 도발'이 뜻밖에도 유려한 단색화로 빚어졌다.
작가는 매일매일 일기 쓰듯 드로잉을 하며 작업의 실마리를 풀어간다. 그에게 드로잉은 작업의 출발점이자 중요한 수단인데 전시에는 20여 점의 연필드로잉이 나왔다. 한점 한점 음미하다 보면 오브제나 회화 작품에서는 감지하기 어려운 작가의 생각과 작업에 임하는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안규철은 "이번 전시를 회고전으로 꾸밀 생각은 없었다. 그런데 정년을 하고 나서 '그동안 내가 무얼 했나' 살피다 보니 정리하게 됐다. 30년간 내가 추구한 건 인간과 사물의 감춰진 이면에서 진실을 찾는 것이었다. 흔히들 사람의 뒷모습을 보면 진짜 모습이 보인다고 하지 않던가. 일상에선 잘 보이지 않는 진짜 모습의 의미를 추적한 게 나의 작업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랫동안 개념미술가로 각인돼 피도 눈물도 없는 인간인줄 아는데 나 역시 실없는 농담을 좋아한다. 앞으론 시각적 매혹을 줄 수 있는 작업도 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안규철은 우리가 간파하지 못한 '사물과 인간의 본질'을 꿰뚫는 작업을 계속 이어갈 것이 확실하다. 이는 그가 최근 펴낸 '사물의 뒷모습'이란 산문집에서 여지없이 드러나 있다. 안규철은 지난 2014년부터 월간문예지 '현대문학'에 글과 그림을 연재했는데 그 중 69편을 엮어 책을 출간했다. 그의 창작세계에서 중요한 축을 이루는 '글쓰기'와 미술작업을 연동시킨 이 책은 안규철이란 작가의 올곧은 예술행보를 드러내고 있다.
작가는 '우리가 배우지 않은 것'이란 글에서 이렇게 말한다. "무슨 일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일이 어떻게 끝날지를, 그 일의 반대편에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멈추는 법을, 말하기 위해서는 침묵하는 법을, 기억하기 위해서는 잊는 법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외로움을 견디는 법을 알아야 한다. 문제는 우리가 앞으로 가는 방법만을 배웠지 멈추는 방법을 배우지 못했다는 사실이다. 뭔가를 이루고 소유하는 방법만을 배웠지 그것과 헤어지는 방법은 배우지 못했다. 그러므로 지금은 다시 멈춰야 하는 시간, 우리가 배우지 않았던 것들을 위해 지평선 너머를 응시해야 하는 시간이다"(P. 224). 한국을 대표하는 '사유하는 미술가'의 30년 궤적을 한자리에서 음미해보는 이번 부산 전시는 7월 4일까지 계속된다.
art2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