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금융지원 재연장·가계부채·빅테크 논의
"이자 상환유예 지원실적·대출잔액 크지 않아"
고 위원장 "현안 소통 자리 자주 만들겠다"
[서울=뉴스핌] 이정윤 기자= 고승범 금융위원장과 금융권 협회장들이 만나 코로나19로 어려움에 놓인 소상공인·중소기업을 위한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에 합의하고 질서있는 정상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또한 가계부채 관리, 빅테크 금융업 진출 등 금융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고승범 위원장은 16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은행연합회·금융투자협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 등 5개 협회장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는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 김주현 여신전문금융협회장,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과 최성일 금융감독원 은행‧중소서민금융 부문 부원장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는 취임인사를 겸하는 자리로, 금융위원장 취임 후 금융권 협회장들과 공식 모임을 갖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고승범 위원장이 1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뱅커스클럽에서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정희수 생명보험협회장, 정지원 손해보험협회장, 김주현 여신전문금융협회장, 박재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최성일 금감원 중소서민금융 부문 부원장과 가계부채 관리, 디지털 금융혁신을 위한 규제체계 등 금융산업 현안 관련 금융권 간담회를 진행했다. (사진=금융위원회) |
고 위원장과 협회장들은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한 가운데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큰 상황을 고려해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내년 3월까지 6개월 더 연장하는데 최종 합의했다.
금융협회장들은 코로나19 확산세 등으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자 상환유예 지원실적과 대출잔액이 크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해 연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정부는 코로나19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4월부터 전 금융권이 동참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를 시행 중이다. 지난 7월 기준 총 222조원이 지원됐다. 이중 만기연장된 금액은 209조7000억원, 원금 상환유예된 규모는 12조1000억원, 이자상환이 유예된 금액은 2000억원이다. 중기중앙회가 330개 기업을 통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원을 받은 중소기업은 58.8%에 달했다.
다만 지원조치가 장기화되면서 금융기관의 잠재부실 우려와 장기유예 차주의 상환부담 누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만큼 '질서 있는 정상화'를 위해 ▲연착륙 내실화 ▲채무조정 지원 강화 ▲정책금융 프로그램 등 보완방안을 마련해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한차례 더 연장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금융규제 유연화 조치도 추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추가 검토 후 오는 29일 금융위에 상정될 예정이다.
이밖에 가계부채 관리,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 등 최근 금융현안도 논의했다.
금융협회장들은 "가계부채 관리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점에 공감하고 이를 위해 금융권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며 "빅테크의 금융업 진출에 대해서는 혁신과 소비자 보호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고 위원장은 "이날 논의된 사안들은 향후 정책 추진과정에서 꼼꼼히 살펴볼 것이며, 앞으로도 금융권과 함께 현안에 대해 소통하는 자리를 자주 만들겠다"고 말했다.
jyo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