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광주·전남

속보

더보기

구례군 9년간 '귀농귀촌'인 4001명 유입

기사입력 : 2021년10월22일 14:28

최종수정 : 2021년10월22일 14:28

[구례=뉴스핌] 오정근 기자 = 전남 구례군은 지난 9년 동안 총 2831가구 4001명이 구례로 귀농귀촌했다고 22일 밝혔다.

군에 따르면 지난 2013년 360명에서 2014년 336명, 2015년 461명, 2016년 685명, 2017년 251명, 2018년 386명, 2019년 526명, 2020년 523명, 올해 9월까지 473명으로 매년 수백명씩 귀농귀촌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지난 9년간 귀농귀촌한 인구수는 구례군 8개 읍면 중 3개 면 단위 인구와 맞먹는 숫자다.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전경 [사진=구례군] 2021.10.22 ojg2340@newspim.com

이처럼 귀농귀촌 인구가 꾸준하게 이어지고 정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등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과 월 10만원에 빈집을 임대하는 구례정착보금자리 등 타 지자체과 차별화된 파격적인 정책 추진이 있었다.

체류형농업창업지원센터 일명 '귀농사관학교'로 불리며, 매년 귀농귀촌 희망자 35가구를 선발하고 10개월간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농촌이해와 농촌적응, 농업 창업 과정 실습 및 교육, 체험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해 체계적으로 농촌정착을 돕는다.

또한 '구례정착 보금자리사업'은 5년간 임대 조건으로 빈집소유자에게 리모델링비 2000만원을 지원하고, 귀농귀촌 희망자에게는 1년간 보증금 200만원에 월 임대료 10만원으로 구례에서 살아볼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현재 보금자리 21개소를 운영 중에 있다.

'농촌에서 살아보기'는 올해 처음 시행한 사업으로 1~6개월간 체험마을에서 임시거주하며 마을 이장님과 농촌이해, 영농실습, 지역탐색, 농촌체험 등 농촌 전반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지역민과의 소통 등을 경험하는 프로그램이다.

집을 구입하거나 5년 이상 임차한 귀농·귀촌인에게 주택수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농업경영체를 등록한 귀농인은 귀농인 정착 농업시설 지원사업으로 저온저장고와 하우스설치, 농기계 구입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지원받을 수 있다.

주택 및 농업창업 융자지원 사업으로 연이율 2% 금리로 농업 창업자금 최대 3억원까지, 주택 구입 또는 신축자금 7500만원까지 융자가 가능하다.

김순호 군수는 "귀농귀촌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으로 민선 7기 동안 구례 전체 세대의 12%, 인구의 8%에 달하는 귀농귀촌인을 유치했다"며 "앞으로도 체계적이고 파격적인 지원책들을 추진해 지방소멸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ojg234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