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인플루언서·쇼호스트 등 디지털 휴먼 개발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브레인이 페이스 스와핑을 위한 '스무스 스왑(Smooth Swap)'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페이스 스와핑은 틱톡이나 스냅챗 등의 SNS에서 본인의 얼굴을 다른 얼굴로 바꾸는 데 쓰이는 기술이다. 카카오브레인이 개발한 스무스 스왑은 아키텍처(설계구조)를 단순화해 벡터로 표현하는 얼굴 이미지를 이전 기술보다 빠르고 구현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기존 페이스 스와핑 모델은 3D 페이스 모델링을 비롯한 여러 요소들을 모델에 적용하는 만큼 아키텍처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지만, 스와핑 스왑 모델은 이를 하나의 통합된 형태(아이덴티티 임베더)로 구축하는 방식으로 복잡도를 낮췄다는 설명이다.
![]() |
카카오브레인 CI. [사진=카카오브레인] |
카카오브레인 측은 "추후 스무스 스왑 모델을 통해 가상 인플루언서, 쇼호스트, 아나운서 등 다양한 직업군의 디지털 휴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차별화된 아이덴티티 임베딩 접근 방식을 통해 대상의 얼굴 형태를 변경할 시에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카카오브레인은 페이스 스와핑에 대한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을 다음 달 열리는 글로벌 학술대회 'CVPR 2022'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