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뉴딜일자리 일경험 인정 못받아
민간 위주 복지·신산업 일자리 집중
[서울=뉴스핌] 채명준 기자 = 취업 사다리가 아닌 '용돈 주기'라는 오명을 듣던 '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이 10주년을 맞아 본래의 취지를 강화하기 위한 대대적인 사업 개편에 나선다.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뉴딜일자리의 사업 갱신 평가 기준을 대폭 상향하고 민간형, 특히 복지와 4차 산업 관련 사업 비중을 늘려 일자리 연계 기능을 강화한다.
서울시청 전경. [서울=뉴스핌] |
2013년 처음 도입된 서울형 뉴딜일자리는 청년을 비롯한 참여자들에게 일경험과 취업에 필요한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해 민간일자리로의 취업을 돕는 사업이다.
우선 시는 뉴딜일자리 사업 갱신 평가 기준을 대폭 상향한다. 기존 평가 기준은 정성평가와 정량평가를 종합해 '우수'(20%), '양호'(50%), '미흡'(30%) 세 등급으로 나눠 우수는 사업 지속, 양호는 신규사업과 경쟁 후 선정, 미흡은 폐지를 하는 식이었다. 그러나 내년부터는 '우수'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신규사업으로 대체된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현재 운영 중인 사업 226개 중 우수 평가를 받은 60개의 사업을 제외한 166개 사업은 내년에 신규 사업으로 대체된다. 우수 평가를 받은 사업은 '약자동행형'인 서울50플러스재단의 ▲중장년 중소기업 전문인력 양성 등 12개와 '경력형성형'인 ▲MICE 전문인력 양성 등 48개다.
또한 뉴딜일자리의 약 80%를 차지하던 '공공형'의 비중을 줄여 '민간형'과의 비율을 5:5로 맞춘다. 아울러 일자리의 성격도 ▲자립준비청년 지원 멘토 ▲골목상권 브랜딩 매니저 등 '약자와의 동행형' 사업과 ▲바이오 ▲핀테크 ▲AI 등 '첨단 산업형' 위주로 제공해 사업 본래 취지인 '취업 연계'를 강화한다.
민간 영역을 늘리는 만큼 사업 예산도 기존 765억원에서 800억여원으로 약 35억원 늘어난다. 지금과 같이 3고(고물가·고금리·교환율) 등 불경기가 지속될 경우 추경을 통해 예산은 증액될 전망이다.
사업 선정은 일자리 전문가 및 보조금 심사위원회 위원 등 총 6명으로 이뤄진 평가위원들을 통해 공공형은 올해 말까지 민간형은 내년 2월까지 마무리 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서울연구원에서 청년정책을 담당하는 김승연 박사는 "뉴딜일자리에서 민간비중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면서도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뉴딜일자리 경력이 민간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직무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라고 의견을 밝혔다.
또한 "변화된 청년들의 직업관을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다"면서 "요새는 'N잡'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라 이번 뉴딜일자리 개편에도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사업 개편은 공공형이든 일반형이든 뉴딜일자리 사업에 참여한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일경험을 잘 축적해 성공적인 민간 취업으로 이어지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다"라며 "관련 전문가들의 도움을 빌어 목표에 부합한 사업들을 발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Mrnobod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