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고립은둔 청년 성과공유회 통해 고립‧은둔청년, 현장활동가 등과 만남
올해 총 1119명 신청‧발굴…557명 선정‧지원 연말까지 맞춤 프로그램 지원
[서울=뉴스핌] 이진용 기자=# 8년간 고립은둔 생활을 했고, 마지막 3년동안은 고시원과 PC방을 오가며 지냈습니다. 성북구 지역 교회를 통해 서울시 사업에 연결되어 리커버리센터 공동생활 숙소에 들어오게 되었어요. 저는 공동생활을 하며 일상 루틴을 바꿨고 서로 배려하며 소통하는 법을 익혔습니다. 리커버리 야구단, 요가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회복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저와 비슷한 경험을 하는 청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싶다는 꿈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지금 사회복지사 공부도 하고 있습니다. 저의 8년간의 고립은둔 생활은 너무나 힘든 시기였지만, 동시에 너무나 값진 스펙이기도 합니다. (용○○, 29세)
# 계속되는 임용고시 실패로 우울감이 커졌고 반복된 취업 실패로 자존감이 낮아졌어요. 3평 남짓한 원룸에서 나오지 못하고 8개월간 고립 생활을 경험했습니다. 우연한 계기로 서울시 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더 큰 효과를 봤습니다. 소모임과 집단상담에 참여하면서 심리적으로 신체적으로 많은 도움을 얻었어요. 사업을 통한 주기적인 활동은 일상생활을 되찾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신체적으로는 체중 7kg과 골격근량 4kg이 증가되어 건강을 되찾아 가고 있습니다. (조○○, 27세)
서울시가 11일 '2023 서울 고립은둔청년 성과공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올해 서울시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에 참여한 청년들과 함께 활동하는 모습과 성장과정 등을 담은 전시‧공연‧영상‧토크콘서트 등의 구성을 통해 되돌아보며 서로를 지지하는 시간을 갖고자 마련됐다.
성과공유회는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중구 명동11길 14)에서 열렸으며 사업 참여자,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다.
이날 행사에는 오세훈 시장도 참석해 서울시 사업에 참여한 '고립은둔 청년'들의 진솔한 목소리를 직접 듣는다. 이 자리에 참여한 청년들은 프로그램을 통한 성장과정과 소감 등을 발표하며, 고립‧은둔 청년을 둔 '부모님'도 자리해 가족으로서 겪는 어려움 등을 나눈다.
현장에서 고립탈출을 돕는 '매니저'와 은둔청년으로 구성된 리커버리 야구단을 코칭하는 '이만수 야구 감독'도 동석해 현장 에피소드를 생생하게 전한다.
서울시는 지난 4월 25일 전국 최초로 고립은둔 청년 종합지원대책을 발표하고, 고립감을 느끼거나 자신의 집, 방에서 나오지 않고 사회와 단절된 채 하루를 지내는 고립‧은둔 청년을 대상으로 다시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다양한 회복 프로그램을 지원해 왔다.
서울 고립‧은둔 청년 종합지원대책은 ①청년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발굴부터 맞춤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체계적 청년 지원'과 ②고립은둔 청년에 대한 차별이나 무관심 대신 사회적으로 응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사회적 관심 확산'을 골자로 추진됐다.
올해 스스로 의지를 갖고 용기를 내 서울시 사업에 참여 신청한 고립은둔 청년은 총 1119명으로, 이후 척도 검사(청년의 사회적 고립 척도)와 초기 상담을 거쳐 유형분류 후(활동형, 활동제한형, 은둔형) 실제 프로그램을 지원받은 인원은 557명에 달한다.
또 이들 청년에 대한 단순 프로그램 지원을 넘어, 사업 참여 이후 실제 청년들의 고립감이 얼마나 회복되었는지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도 진행됐다. 검사 결과, 청년의 전반적인 고립감이 22% 감소(평균 67.7점⇢ 52.8점)됐으며, 전체적으로 고립 위험군 수준에서 저위험군 수준으로 개선되어 정책 효과성도 입증됐다.
또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업참여 이후 3개월 이내에 진로 변화, 자립을 경험한 청년은 126명(응답자 310명 중)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취업 48명, 아르바이트 46명, 진학 14명, 교육 및 자격증 취득 9명, 구직활동 시작 8명, 자영업 1명이 자립에 성공했다.
은둔형 청년들이 집에서 나와 공간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
한편, 서울시는 올해 사업의 성공사례와 개선과제를 면밀히 분석해 내년 사업을 양적, 질적으로 한층 업그레이드 한다는 방침이다.
첫째, 고립은둔 청년의 성공적 회복과 자립을 돕고 2~3년의 장기관리를 위해 전담센터를 구축한다. 전문 민간위탁을 통한 맞춤형 사례관리와 사후관리를 지속적으로 해나가 고립은둔의 장기화를 방지한다.
둘째, 당사자뿐 아니라 부모, 지인 등 고립은둔 청년의 주변 사람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도 확대된다. 이와 관련해 오시장은 지난 9월 청년 정책 콘테스트 패널로 참여해 청년 제안자와 정책 아이디어를 모으는 과정에서 고립은둔 청년 부모 등 가족 지원에 대한 정책 필요성을 제시한 바 있다. 가족 지원에 대한 지원방향과 내용은 내년에 구체화되어 가동될 예정이다.
은둔형 청년들이 야구를 하며 사회활동을 하고 있다. [서울시 제공] |
셋째, 올해 정책 사례와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성과를 좀 더 면밀히 분석하여 프로그램 고도화 방안을 마련하고, 찾아가는 지역거점 상담을 신설하여 발굴체계 및 홍보를 강화하는 등 다방면의 처방을 담은 서울형 고립은둔 청년대책 시즌2를 선보일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지난 4월 서울시의 고립은둔 청년 종합대책이 발표된 뒤 그 사업들이 현장에서 잘 진행되면서 많은 고립은둔 청년들이 활력을 되찾아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올 기회를 얻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흐뭇함을 느꼈다"며 "한 명의 고립은둔 청년이라도 더 사회와 함께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자립할 수 있도록 서울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응원하고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jycaf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