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DB금융투자에서 08일 CJ ENM(035760)에 대해 '이 생에 ENM이 서프라이즈를 낸 건에 대하여'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107,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28.3%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CJ ENM 리포트 주요내용
DB금융투자에서 CJ ENM(035760)에 대해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4Q23 매출액 12,596억원(-14.0%yoy, +13.4%qoq), 영업이익 587억원 (+789.4%yoy, +693.2qoq)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345억원)를 크게 상회. 티빙은 영업적자 228억원 Fifth S. 영업흑자 194억원으로 양사 합산 이익이 3Q23 대비 약 400억원 규모의 적자가 축소된 점이 양호한 실적의 주요인. F/S은 총 4Q 4개 작품을 공급 완료했고, 티빙도 400만 유료 가입자를 달성하며 적자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음악 OP도 354억원으로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는데 이익 기여도가 높은 아티스트인 제베원 미니 앨범, INI/JO1 콘서트 등이 반영.'라고 분석했다.
또한 DB금융투자에서 '24년 콘텐츠 적자 축소로 체질 개선 기대: 24년 연결 매출액은 50,378억원(+15.3%yoy), 영업이익 2,005억원(흑전yoy)이 예상. 티빙은 콘텐츠 투자 비용을 23년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24년 3 월부터 광고 도입 & 6월 요금제 인상이 예정돼 있어 탑라인 성장에 따른 적자 축소가 기대. F/S도 1Q24 최소 2편 이상 공급한 것으로 파악되며, 연간 25편 가이던스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음악은 제베원 일본 데뷔, Me:I 데뷔 등이 예정 되어있는 바, 높은 23년 기저에도 불구하고 24년 연간 영업이익 +17%yoy 성장이 예상. 비용 측면에서도 23년 하반기부터 분기당 250~300억원 수준의 인건비를 효율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24년 실적에도 약 500~600억원 수준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음.'라고 밝혔다.
◆ CJ ENM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85,000원 -> 107,000원(+25.9%)
- DB금융투자,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DB금융투자 신은정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107,000원은 2024년 01월 19일 발행된 DB금융투자의 직전 목표가인 85,000원 대비 25.9%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DB금융투자가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3년 02월 10일 13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23년 10월 11일 최저 목표가인 60,000원을 제시하였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처음 목표가에는 못 미치지만 최저 목표가보다는 다소 상승한 가격인 107,000원을 제시하였다.
◆ CJ ENM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102,786원, DB금융투자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DB금융투자에서 제시한 목표가 107,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102,786원 대비 4.1%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교보증권의 115,000원 보다는 -7.0% 낮다. 이는 DB금융투자가 타 증권사들보다 CJ ENM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102,786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93,529원 대비 9.9%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CJ ENM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CJ ENM 리포트 주요내용
DB금융투자에서 CJ ENM(035760)에 대해 '어닝 서프라이즈 기록: 4Q23 매출액 12,596억원(-14.0%yoy, +13.4%qoq), 영업이익 587억원 (+789.4%yoy, +693.2qoq)으로 컨센서스(영업이익 345억원)를 크게 상회. 티빙은 영업적자 228억원 Fifth S. 영업흑자 194억원으로 양사 합산 이익이 3Q23 대비 약 400억원 규모의 적자가 축소된 점이 양호한 실적의 주요인. F/S은 총 4Q 4개 작품을 공급 완료했고, 티빙도 400만 유료 가입자를 달성하며 적자를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음악 OP도 354억원으로 예상치를 크게 상회했는데 이익 기여도가 높은 아티스트인 제베원 미니 앨범, INI/JO1 콘서트 등이 반영.'라고 분석했다.
또한 DB금융투자에서 '24년 콘텐츠 적자 축소로 체질 개선 기대: 24년 연결 매출액은 50,378억원(+15.3%yoy), 영업이익 2,005억원(흑전yoy)이 예상. 티빙은 콘텐츠 투자 비용을 23년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24년 3 월부터 광고 도입 & 6월 요금제 인상이 예정돼 있어 탑라인 성장에 따른 적자 축소가 기대. F/S도 1Q24 최소 2편 이상 공급한 것으로 파악되며, 연간 25편 가이던스를 목표로 하고 있음. 음악은 제베원 일본 데뷔, Me:I 데뷔 등이 예정 되어있는 바, 높은 23년 기저에도 불구하고 24년 연간 영업이익 +17%yoy 성장이 예상. 비용 측면에서도 23년 하반기부터 분기당 250~300억원 수준의 인건비를 효율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24년 실적에도 약 500~600억원 수준의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음.'라고 밝혔다.
◆ CJ ENM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상향조정, 85,000원 -> 107,000원(+25.9%)
- DB금융투자,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DB금융투자 신은정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107,000원은 2024년 01월 19일 발행된 DB금융투자의 직전 목표가인 85,000원 대비 25.9% 증가한 가격이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DB금융투자가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3년 02월 10일 13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23년 10월 11일 최저 목표가인 60,000원을 제시하였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처음 목표가에는 못 미치지만 최저 목표가보다는 다소 상승한 가격인 107,000원을 제시하였다.
◆ CJ ENM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102,786원, DB금융투자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낙관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DB금융투자에서 제시한 목표가 107,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102,786원 대비 4.1%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교보증권의 115,000원 보다는 -7.0% 낮다. 이는 DB금융투자가 타 증권사들보다 CJ ENM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102,786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93,529원 대비 9.9%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CJ ENM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낙관적임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