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슨 센터 윤 선 선임연구원 "중에 미치는 영향 별로 없어"
"북러 협력은 美에 골칫거리...中은 이를 활용수도"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이 급속히 밀착하고 있는 데 대해 중국은 실제로 크게 신경쓰지 않으며, 오히려 호재로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싱크탱크인 팀슨 센터가 25일(현지시간) 개최한 화상 포럼에서 중국 전문가인 윤 선 선임 연구원은 중국이 일반박으로 알려진 바와 달리 북러 정상회의와 양국간 협력 강화 움직임에 크게 우려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에서 북러 관계의 기존 조약과 선언을 대체하는 '포괄적인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서명 후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
윤 연구원은 국제무대에서 중국이 미치는 경제적 영향력 등을 고려할 때 중국 입장에선 북러 협력을 별로 신경쓰지 않을 것이며, 북러 정상이 서명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이나 경제 협력도 "단기적으로 중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푸틴 대통령이 방북하기 한달 전 이미 중국을 먼저 방문한 것은 현재 지정학적 상황에서 러시아에 중국이 북한보다 우선시되는 국가라는 점을 분명히 방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러 간 군사적 협력 강화가 오히려 미국 정부에 더 큰 골칫거리로 작용하기 때문에 미중경쟁 측면에서 중국에 유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원은 "(북러협력은) 중국에게 나쁜 소식만은 아니다"라면서 "많은 사람들이 간과하는 것은 북러관계의 심화가 누구보다도 미국에 더 큰 문제가 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전했다.
그는 이어 "북러관계 심화는 반미 연합을 강화하고, 중국과의 전략적 경쟁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위기를 다루는 미국을 더욱 혼란스럽게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현재 중국이 북러 사이 영향력을 잃지 않기 위해 북한, 러시아와 개별적으로 양자관계를 유지하는 한편 최근 서울에서 열린 한중일 회담을 갖는 등 한국, 일본과도 협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고 설명했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