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부터 미국·유럽산 유제품 관세 제로(0)...국산 우유 위기감
주요 유업체 '위기대응책' 주목...품질 높이고 수익성 방어, 수출 확대도
서울우유는 A2전환 속도...매일·남양은 '고강도 효율화' 허리띠
[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새해가 밝으면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우유 시장 완전개방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수입 유제품 더 저렴하게 들어오게 되면 국산 우유의 입지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주요 유업체들은 각각 위기대응체제를 가동하고 우유 경쟁력 강화, 수출 및 신사업 확대 등 대책을 속속 내놓고 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오는 2026년부터 미국과 유럽 우유가 국내에 무관세로 수입된다. 미국산 유제품은 올해 관세가 2.4% 적용되지만 내년부터 제로(0)가 된다. 유럽산 유제품도 마찬가지로 내년 무관세 적용을 앞두고 있다. 유제품 강국인 호주, 뉴질랜드의 무관세 적용 시기는 각각 2033년, 2034년으로 10년도 채 남지 않았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고객들이 우유 제품을 고르고 있다. 2021.10.01 mironj19@newspim.com |
우유 시장 개방을 앞두고 위기감이 높아진 주요 유가공업체들은 올해 내부적으로 위기대응체제에 돌입하고 품질강화 및 사업 다각화, 고강도 효율화 작업 등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먼저 업계 1위인 서울우유협동조합은 2030년 'A2우유' 전면 전환을 목표로 세웠다. 서울우유가 생산하는 약 1900t의 원유 100%를 A2우유로 바꾸겠다는 계획이다. 관련해 지난해 말까지 이중 3%인 50t을 A2우유로 생산했다. A2우유는 A2단백질을 보유한 젖소에서 얻은 우유로 소화가 용이한 프리미엄 우유로 분류된다. 국내 시장 점유율이 높은 만큼 수입산 저가 우유 공습에 대비해 고품질로 승부하겠다는 구상인 것으로 풀이된다.
관련해 서울우유는 국내 우유 시장 점유율 약 45%(2023년 10월 기준)를 차지하는 업계 1위 업체다. 그 외 남양유업(12,2%), 빙그레(9.8%), 매일유업(9.5%) 등이다.
매일유업은 올해 들어 경영진을 기존 2인 체제에서 김선희 부회장에 이인기 대표·곽정우 대표 등 3인 체제로 개편, 사업 부문 고도화에 나선다. 신임 이인기 대표는 연구 개발, 품질 안전, 생산, 물류, 경영 관리 등 회사의 운영 전반을 담당하고 곽정우 대표는 회사의 매출과 수익성을 극대화하는 포괄적인 업무를 총괄한다. 김 부회장은 미래 전략사업과 해외사업 육성에 집중한다.
특히 매일유업은 성인영양식을 담당하는 매일헬스뉴트리션, 디저트 사업 담당 엠즈베이커스, 외식사업을 담당하는 엠즈씨드 등 계열사를 통한 사업다각화에 나서는 한편 경쟁력 없는 사업의 효율화 작업도 병행한다. 김 부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매일유업은 현재의 상황을 엄중한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고 2025년 비상 위기 경영을 실행한다"며 "기존 추진하고자 하였던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나 그 중에 효율이 나오지 않는 사업·투자·자산에 대하여 재평가를 하고 경쟁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효율화를 검토할 계획"이라고 피력했다.
지난해 오너리스크를 털어낸 남양유업은 올해 연간 흑자전환에 도전한다. 남양유업은 지난해 한앤컴퍼니에 경영권이 넘어가면서 신규 경영진이 출범, 고강도 경영쇄신을 추진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 3분기, 20분기 만에 분기 흑자전환에 달성했으며 올해는 여기서 나아가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강화해 연간 흑자 전환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우유시장 감소를 대비한 탈(脫) 우유 전략도 가속화한다. 남양유업은 제약사 녹십자웰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브랜드 '이너케어'를 선보이고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또한 단백질 보충을 위한 브랜드 '테이크핏'도 주력상품으로 내놓고 있다.
빙그레는 바나나우유, 붕어싸만코, 메로나 등 핵심 제품 중심의 수출 확대에 적극 나선다. 현재 빙그레는 미국, 중국, 베트남 3개국에 해외 법인이 두고 각 법인을 기점으로 미국, 캐나다, 중국, 대만, 베트남, 필리핀을 비롯해 네덜란드,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지역과 호주 등 30개가 넘는 국가에 수출 중이다.
올해에는 유럽, 오세아니아 등 미개척 국가 공략에 더욱 집중한다. 유럽의 경우 수입 유제품에 높은 비관세 장벽을 넘기 위해 '식물성 메로나'를 개발해 대응 중이다. 또 주요 제품의 할랄 인증 취득을 통해 중동 등 시장 개척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우유 시장 위기가 가속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FTA개방 외에도 고환율로 인한 원가 상승, 소비 침체 등 위기 요인이 가중되고 있어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가중되면서 어느 때보다 어려운 경영환경이 예상된다"며 "유제품 뿐 아니라 식물성 음료 등 유업계 대표 신사업 등에서도 생존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