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2025년 보행 안전 실행 계획 발표
고령 운전자 위한 능력 평가 시스템 도입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행정안전부는 어린이·노인과 같은 보행 약자의 안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 과제를 추진한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2025년 국가 보행 안전 및 편의 증진 실행 계획으로, 제1차 국가 보행 안전 및 편의 증진 기본 계획(22~2026)에 따른 구체적인 방안이다.
![]() |
어린보 보호구역 단속카메라=김보영 기자kboyu@newspim.com |
주요 내용으로는 위험이 높은 도시 이면도로 구간을 '보행자 우선 도로'로 지정하는 작업이 포함됐다. 또한 우회전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에 신호등을 설치하고, 교차로와 횡단보도 간 거리를 확대해 도로 환경을 개선할 예정이다.
차량이 인도로 돌진할 위험이 큰 지점에는 차량용 방호 울타리를 설치하는 내용의 '도로 안전 시설 설치 및 지침' 개정도 진행될 계획이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에는 보도 및 방호 울타리와 같은 안전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다음 달까지 '어린이 보호구역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고령 보행자를 위한 방안으로는 보행 신호 자동 연장 시스템과 음성 안내 보조 장치 확충이 예정되어 있으며, 읍·면 지역 도로에는 '마을 주민 보호 구간'을 추가 지정해 도로 정비를 실시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말부터 75세 이상 운전자를 위한 교통 안전 교육 과정에 운전 능력 객관적 평가 시스템이 시범 도입된다.
이외에도 드라이브 스루와 같은 차량 진출입 보도에 안전 요원 배치 가이드라인이 마련되며, 농촌 지역에서는 보행로, 산책로, 전망 데크, 친수 광장을 포함한 보행 편의 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는 OECD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여전히 보행자 사망 사고는 많다"며 "모든 국민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교통환경을 조성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