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 국무회의 심의·의결
관리재정수지 104.8조 적자…GDP 대비 4.1%
세계잉여금 2조…추경 투입 가능 재원 2000억원 불과
[세종=뉴스핌] 백승은 기자 = 지난해 세금이 30조원 이상 덜 걷히며 나라 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가 104조원 적자를 봤다. 관리재정수지의 적자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4.1%로, 재정준칙 상한(-3%)에 미치지 못했다.
걷은 세금 중 지출 후 '남은 돈'을 뜻하는 세계잉여금은 2조원이다. 이중 근거 법령에 따라 추가경정예산(추경) 재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은 2000억원 수준이다.
기획재정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회계연도 국가결산'을 8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다.
◆ 작년 '세수 펑크' 30.8조…관리재정수지 적자 폭 커져
작년 기업 실적 악화로 법인세 등이 덜 걷히며 국세수입이 30조8000억원 덜 걷혔다.
![]() |
지난해 총세입은 535조9000억원, 총세출은 529조5000억원이다. 총세입 중 국세수입은 336조5000억원으로 예산 대비 30조8000억원이 부족했다. 아울러 순수입에서 순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43조5000억원 적자로, GDP대비 -1.7%다.
이 기간 관리재정수지는 104조8000억원으로 GDP대비 -4.1%를 기록했다. 관리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에서 4대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해 나라의 실질적인 재정 상황을 보여준다. 이는 관리재정 적자비율이 -3%를 넘겨서는 안 된다는 재정준칙을 초과한 수준이다.
기재부는 세수가 덜 걷힌 상황에서 민생 관련 지출을 지속해 관리재정수지가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박봉용 기재부 재정관리국장은 "당초보다 세입이 적게 들어왔지만, 민생과 직결된 사업을 유지한 결과"라고 말했다.
작년 국가채무는 1175조2000억원으로, GDP 대비 46.1%였다. 2023년 결산 대비 48조5000억원이 증가했고, 2024년 예산 대비로는 20조5000억원 줄었다.
![]() |
2024회계연도 중앙정부 재정수지 결산 결과 [사진=기획재정부] 2025.04.07 100wins@newspim.com |
국가부채는 2585조8000억원으로 2023년 결산 대비 146조3000억원 증가했다. 국가채무는 일반적으로 지급 시기와 금액이 확정됐지만, 국가부채는 시급시기와 금액이 확정되지 않는 비확정 부채까지 포함된다.
박봉용 국장은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보려면 국가채무를 봐야 하는데, 세수가 덜 들어왔음에도 채무는 예산 대비 줄었다"고 언급했다.
◆ 세계잉여금 2조원 남짓…추경 사용 가능 재원 2000억 수준
국고에 남은 돈 중 추경에 사용 가능한 재원은 2000억원 수준으로, 정부가 언급한 추경 규모(10조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총세입에서 총세출과 이월액을 제한 세계잉여금은 2조원이다.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4000억원, 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은 1조6000억원이다.
박봉용 국장은 "추경 재원으로 쓸 수 있는 (일반회계 세계잉여금) 4000억원 중 공적자금상환기금 출연, 채무 상환에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사용할 수 있는 추경 재원이 약 2000억원인데 이를 추경 재원으로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또 다른 판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100wi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