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생활권 로컬브랜딩' 18곳 선정…특교세 91억원 교부
인구 감소 지역 중심으로 생활 인구 증가 기대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행정안전부는 2025년도 '생활권 단위 로컬 브랜딩 활성화 사업'을 공모해 세종시와 전북 남원시 등 18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3개월 앞당겨 지급된 특별교부세 총 91억원으로 지역 경기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 |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행정안전부가 2025년도 '생활권 단위 로컬 브랜딩 활성화 사업'에 대한 공모를 진행해 세종시와 전북 남원시를 포함한 18개 지자체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보다 3개월 앞당겨 지급된 특별교부세 91억원을 통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목적이 있다.[사진=행안부제공] kboyu@newspim.com |
이번 사업은 2023년부터 본격 추진 중인 생활권 로컬 브랜딩 사업으로 각 지역의 고유성을 기반으로 생활권 단위(도보 15분 내외)로 '살 만하고 올 만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올해는 지역 특색을 살리는 '기획 디자인 유형'과 맞춤형 거점 공간을 조성하는 '특화 인프라 유형'을 신설해 지자체가 여건에 맞게 신청할 수 있도록 공모 방식이 조정됐다.
선정된 11개 지자체는 기획 디자인 유형으로 각각 3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으며 지역 고유성을 바탕으로 로컬 브랜딩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민간 사업과 연계해 추진할 계획이다.
특화 인프라 유형에 선정된 7개 지자체는 각기 4억에서 10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고, 지역 매력을 반영한 맞춤형 거점 공간을 조성하며 지역다움을 살린 콘텐츠도 개발·운영할 예정이다.
이번 공모에서 18개 선정지 중 12곳이 인구 감소 지역으로, 이들 지역의 생활 인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행안부는 지자체의 안정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전문가 자문, 컨설팅 및 교육을 제공하고, 관련 세미나와 공동 워크숍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순기 지방재정경제실장은 "지방 소멸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지역의 공통점은 고유 자원을 매력 자원으로 재해석했다는 점"이라며 "살고 싶고, 찾아오고 싶은 지역을 만들어가는 생활권 로컬 브랜딩 사업이 현장에 안착하고 활성화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