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하부 공동 탐사·노후 하수관로 정비로 불안감 해소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 성동구는 오는 5월부터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선제적으로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전국 각지에서 도로함몰 사고가 증가해 주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성동구는 도로 하부에 대한 본격적인 공동 탐사를 진행한다. 공동은 지반 내 형성된 빈 공간을 의미하며, 이는 노후 지하 시설물 파손이나 대규모 공사장 주변의 지하수 유출로 발생할 수 있다.
![]() |
공동규모 확인을 위한 내시경 촬영 모습 [사진=성동구] |
구는 지난 2022년부터 매년 도로 하부의 공동 위치와 규모를 정밀하게 탐지해 지반침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으며, 지금까지 305km 구간을 탐사했다. 지난해 동북선 도시철도 구간 탐사도 완료했다고 구는 덧붙였다. 올해는 구 관리 도로와 대규모 공사장 주변, 노후 상수도관 인근 도로를 탐사한다.
발견된 공동은 천공·내시경 촬영을 통해 확인 후 유동성 채움재를 사용해 신속히 복구하며, 큰 공동은 굴착 후 항구적으로 복구해 위험 요소를 제거할 방침이다. 지속적인 노력으로 성동구 내 공동의 수는 2022년 54개소에서 2023년 23개소, 2024년 13개소로 매년 감소했다.
구는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노후 하수관로 정비에도 힘쓰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지반침하 867건 중 하수관 손상이 원인인 사고가 394건으로 전체의 45.4%에 달한다. 구는 최근 5년간(2020년~2024년) 총 35km에 달하는 하수관로 교체·개량공사를 실시했으며, 올해는 2.2km 구간을 정비할 계획이다.
구는 현장 실사와 무인카메라(CCTV) 조사를 통해 구조적 결함을 확인 후 노후 정도에 따라 적절한 정비를 실시한다. 필요 재원 마련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아울러 구는 2017년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도로 하부의 이상징후를 모니터링하는 '지하공간 안전관리시스템'을 전면 도입하고, 2020년부터는 상수관로를 상시 모니터링하는 '지하공간 누수진단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공동으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정밀 조사가 중요하다"며 "세심한 점검으로 주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