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용산·성동구 시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 보여
[서울=뉴스핌] 이동훈 선임기자 = 서울시 공시지가가 1년새 4.02% 상승했다. 최고가 토지는 중구 충무로1가 24-2 네이처리퍼블릭 화장품 업소가 있는 부지로 21년째 서울시는 물론 전국 최고 공시지가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5년 1월 1일 기준 개별 공시지가가 결정·공시됐다. 대상은 개별지 86만1300필지며 가격의 공정성과 균형성을 확보하기 위해 자치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쳤다.
개별공시지가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된 개별 토지의 단위 면적당(㎡) 적정 가격을 말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월 '2025년도 표준지공시지가'를 결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별 토지 특성을 조사하고 감정평가사 검증을 거쳐 개별공시지가를 확정했다.
올해 개별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4.02% 상승했다. 2024년 개별공시지가는 전년 대비 1.33% 상승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올해 상향 결정된 표준지공시지가의 영향을 받아 개별공시지가 또한 일정 수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과 2022년에는 정부의 공시가격 인상 로드맵에 따라 11.54%씩 오른 바 있다.
모든 자치구의 공시지가가 상승한 가운데 시 평균 변동률(4.02%) 이상으로 상승한 자치구는 5곳으로 강남구가 5.47%로 가장 많이 올랐다. 뒤이어 ▲용산구(5.21%) ▲성동구(4.82%) ▲서초구(4.81%) ▲송파구(4.05%) 순으로 높았다.
![]() |
[자료=서울시] |
개별지 86만1300필지 중 지가가 상승한 토지는 85만1037필지(98.8%)며 하락한 토지는 5273필지(0.6%)에 불과했다. 지난해와 공시지가가 같은 토지는 2618필지(0.3%)며 신규토지는 2372필지(0.3%)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공시지가가 가장 높은 곳은 명동상업지역내 중구 충무로1가 24-2에 위치한 네이처리퍼블릭 매장이 있는 상업용 토지다. 해당 토지의 공시지가는 ㎡당 1억8050만원으로 지난해(1억7540만원)에 비해 2.7% 올랐다. 네이처리퍼블릭 매장 부지는 2004년부터 22년 연속 최고지가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시 최고가 토지는 1990년 공시지가 제도가 시행된 이후 2003년까지 14년간 명동의 우리은행(중구 명동2가 33-2) 부지였으나 2004년 중구 충무로1가 24-2로 바뀌었다.
최저가 필지는 도봉구 도봉동 산30(자연림)으로 ㎡당 6730원이다. 지난해(6710원)보다 0.3% 상승했다.
개별공시지가는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또는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토지 소재지를 입력하면 조회할 수 있다.
개별공시지가에 이의가 있는 경우 5월 29일까지 이의신청서를 작성해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해당 구청 또는 동 주민센터에 우편, 팩스 또는 직접 방문 제출하면 된다. 이의신청 토지에 대해선 토지 특성 등의 재조사가 이뤄진다. 이후 감정평가사의 검증과 자치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6월 26일 조정·공시될 예정이다.
시는 이의신청 기간 동안 감정평가사 상담제도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감정평가사와 유선 상담을 원할 경우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요청하면 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개별공시지가는 각종 세금과 부담금의 기초 자료로 시민 재산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며 "앞으로도 공정하고 균형 잡힌 공시지가 산정을 위한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