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
학과평가 순위는 10위 벗어난 적 없어
커리큘럼은 실습 위주…전기차 정비도
여성 입학 증가세…여성 정비사 인기↑
일반인 대상 지게차 운전 교육도 진행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대구 달성군에 위치한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
대구에는 영남이공대와 대구공업대 등 자동차 정비를 다루는 다른 학교가 많은데도 남대구캠퍼스 자동차과에 입학하는 학생 수가 매년 정원 50명을 넘는다.
<뉴스핌>은 지난 8일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를 방문해 이 비결을 찾아봤다.
1년 간의 전문기술 과정을 운영하는 남대구캠퍼스 자동차과는 최근 3년간 전체 폴리텍대학 250여개 학과 가운데 학과평가가 10위 밖으로 밀려나 본 적이 없다. 학과평가 결과 2021년 4위, 2022년 6위, 2023년 7위를 차지했다. 대구·경북 내 국립 지원을 받는 유일한 자동차 정비 학과기도 하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 입구 2025.05.09 sheep@newspim.com |
자동차과에서는 차체 수리 및 보수 도장, 광택, 건설 및 농기계 운전정비 등 외에도 전기차 전환에 대비한 전기차 정비까지 진행한다. 자동차 정비 기능장인 김원철 자동차과 학과장은 "현재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 정비는 수업 내용의 15% 정도를 차지한다"며 "향후 시장 상황에 맞춰 교육 비중을 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졸업생들은 보수 교육만 받으면 바로 (전기차 정비에) 투입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연료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까지 모든 학습이 과연 1년 안에 가능할까. 김원철 학과장은 "오전 9시에 등교해 8교시를 운영한다. 학생들이 처음 오면 '고등학교보다 수업이 더 많다'고 이야기한다"며 "수업 내용의 90% 이상이 실습이다. 2년제 전문대와 비교해도 실습량은 저희가 훨씬 더 많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과 학생들이 실습하고 있다. 2025.05.09 sheep@newspim.com |
자동차 정비가 '남초' 직업이라는 인식은 흐려지고 있다. 여성 입학생 수는 꾸준한 증가세로, 올해 신입생 51명 가운데 6명이 여성이다. 지난해 4명 대비 소폭 증가했다. 적은 수로 보이지만, 분명히 늘어나는 추세라는 설명이다.
강현준 남대구캠퍼스 교학처장은 "운전자가 여성이면 여성 정비사를 매우 선호한다"며 "요즘 여성(정비사) 인기가 좋다"고 강조했다. 강 교학처장은 전 자동차과 학과장으로, 김원철 학과장과 더불어 자동차 정비 기능장이기도 하다. 김 학과장은 "볼보 같은 경우 아예 여성 정비사를 채용하라고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과 학생들이 실습하고 있다. 2025.05.09 sheep@newspim.com |
올해 자동차과 전문기술 과정 신입생 51명을 보면 20대가 19명(37.3%)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세 이상 17명(33.3%), 30대 (21.6%) 순이었다. 나머지 4명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바로 입학했다. 20대는 주로 진로를 고민하다 입학한 경우가 많고, 40세 이상은 퇴직 이후 '제2의 인생'을 찾아 기술을 배우는 사례가 많다는 설명이다.
자동차과의 입학생 대비 졸업생 비율을 나타내는 양성률은 지난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차례대로 90.9%, 84.6%, 94.2%를 나타냈다. 취업률은 2022년 68.1%, 2023년 64.3%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강현준 교학처장은 "(폴리텍대학은) 그냥 졸업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기본 3년, 최대 5년까지 학생을 관리한다"며 "학생들이 오면 '네가 가고 싶은 진로가 이런 방향이면 2~3년은 어떤 식으로 일하고, 그 뒤에는 어떻게 하면 된다' 이런 식으로 컨설팅한다"고 설명했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과 건물 밖에 실습용 차량이 줄지어 주차돼 있다. 2025.05.07 sheep@newspim.com |
현대차와 기아, 토요타, 아우디폭스바겐, 르노 등 다양한 회사들과 인력양성 및 맞춤훈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것도 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을 줬다는 평가다.
다양한 회사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김원철 학과장은 "자동차 서비스 네트워크가 동네마다 있다. (여러 교육을 받으면) 근무 환경이 가장 좋은 곳을 골라 취업할 수 있다"며 "저희는 지금 (취업)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이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자동차과는 꿈드림공작소를 통한 3톤(t) 지게차 운전 교육 및 차량 자가정비 과정도 운영한다. 꿈드림공작소는 학교에 입학하지 않은 일반인이 대상이다. 한 회차에 약 10명씩 참여해 1년이면 250명가량이 지게차 운전 교육을 마친다.
프로그램에는 주변 공장 재직자들이 지게차 운전기능사를 취득하기 위해 많이 참여한다. 김 학과장은 "지역사회 요청만 있으면 언제든지 (교육)할 수 있도록 준비가 다 돼 있다"고 설명했다. 대구에는 남대구캠퍼스 바로 옆에 위치한 달성 1차 산업단지 외에도 달성 2차 산단, 대구테크노폴리스, 대구 국가산단 등 여러 산업단지가 있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기자가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내부에 구현된 지게차 실습코스에서 지게차 운전을 하고 있다. 차체 옆에서 김원철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장이 설명하고 있다. 2025.05.09 sheep@newspim.com |
강현준 교학처장은 "(지게차 꿈드림공작소는) 상당히 인기가 좋다"며 "학원에서는 1시간에 15만원을 받는데, (폴리텍대학은) 무료 교육을 한다"고 설명했다. 지게차 운전기능사가 취업에 실제로 유리한지 묻자 "공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한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취업의 기본 요소가 되었다는 의미다.
기자가 직접 체험해 보기 위해 안전모를 조이고 지게차에 올라 캠퍼스 내부에 마련된 실기시험 코스를 한 바퀴 돌았다. 뒷바퀴가 90도까지 움직여 방향을 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10분에서 15분가량 가장 느린 속도로 실기 코스를 한 번 돌고 나서야 어느 정도 적응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 하면 할 수 있겠는데'라는 아쉬움이 들면서 "운전만 하면 다 할 수 있다"던 강 교학처장의 설명이 떠올랐다. 실제 운전은 가상현실(VR)로 연습할 때보다 나았다. VR 체험은 하는 내내 '실패'가 화면에 떠 지켜보던 이들이 "원래 VR로 하면 멀미가 난다"고 위로의 말을 건넸다.
![]() |
[대구=뉴스핌] 양가희 기자 = 폴리텍대학 남대구캠퍼스 자동차학과 내부 2025.05.09 sheep@newspim.com |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