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EU 요청에 따라 7월 9일까지 유예"
기술주 중심으로 '반등 랠리'… 트럼프 미디어 10%↑
연준, 금리 동결 기조 유지… 카시카리 "관세 인플레 지켜봐야"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유럽연합(EU)에 부과 예정이던 50% 수입 관세를 한 달 이상 유예하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증시가 메모리얼데이 연휴 이후 첫 거래일인 27일(현지 시각) 개장 전 급등했다. 관세 압박 완화와 기술주 강세가 맞물리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다.
미 동부시간 오전 9시 15분 기준,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E-미니 다우 선물은 전장 대비 461.00포인트(1.12%) 상승한 4만2,135.00에 거래 중이다. S&P500 선물은 72.25포인트(1.24%) 오른 5,889.25, 나스닥100 선물은 293.75포인트(1.43%) 전진한 2만1,274.50에 각각 거래되고 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 트럼프 "EU 요청에 따라 7월 9일까지 유예"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의 요청을 받아들여 관세 발효 시점을 6월 1일에서 7월 9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23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EU와 협상은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다음 달 1일부터 EU산 제품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하지만 글로벌 투자은행 UBS는 "현 관세 수준은 안정한 평형 상태가 아니다"라며 "7월까지 미국과 EU 양측이 합의에 도달하는 것을 기본 시나리오로 보고 있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 기술주 중심으로 '반등 랠리'… 트럼프 미디어 10%↑
투자 심리가 회복되면서 빅테크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다. ▲애플(종목코드:AAPL)이 개장 전 거래에서 2% 가까이 올랐고, 알파벳(GOOGL)은 1.7%, 테슬라(TSLA)는 2.6% 급등했다. ▲트럼프 미디어&테크놀로지 그룹(DJT)은 암호화폐 투자 확대 계획 보도에 5% 가까이 급등했다.
시장의 주목을 받는 반도체 대표주 ▲엔비디아(NVDA)는 27%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엔비디아는 28일 장 마감 이후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 연준, 금리 동결 기조 유지… 카시카리 "관세 인플레 지켜봐야"
이날 개장 후 발표될 미국의 5월 소비자 신뢰지수와 더불어 시장은 28일 공개될 연준의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도 주목하고 있다. 이어 29일에는 1분기 미국 국내총생산(GDP) 잠정치, 30일에는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와 5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확정치 등이 발표를 앞두고 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이날 "트럼프의 고율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명확해지기 전까지는 금리를 동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직전 주엔 관세·부채 우려로 급락… "완화 기대에 반등"
지난주 뉴욕증시는 트럼프의 관세 확대 경고와 연방 부채 우려 속에 일제히 2% 이상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감세 법안이 하원을 통과하면서, 재정적자 확대 전망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하지만 이번 주는 관세 유예와 인플레이션 안정 신호가 맞물리며 '위험자산 선호(risk-on)' 분위기가 살아나는 모습이다.
S&P500 지수는 사상 최고치 대비 약 6% 낮은 수준이지만, 4월 저점 대비로는 빠르게 회복 중이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