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과학기술

속보

더보기

[VivaTech 2025] ⑬ IDCITI "Connecting Where GPS Cannot Reach"

기사입력 : 2025년06월04일 18:30

최종수정 : 2025년06월04일 18:3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Sejong=NewsPim] Reporter Kyoungtae Yi = In 2025, there is a company changing the paradigm of smart cities. It's IDCITI, a startup that started in Songdo, Incheon. This company is gaining attention in the global smart city market with its innovative technology 'uGPS (underground GPS),' which provides satellite-level precise location information even in spaces where conventional GPS signals cannot reach, such as underground areas, tunnels, and inside large buildings.

IDCITI's uGPS fundamentally solv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GPS. Using SDR (Software Defined Radio) technology, it artificially generates GPS signals in underground and indoor spaces that are almost identical to actual satellite signals. Thanks to this, existing GPS receivers installed in smartphones or navigation systems can receive and use location information directly without needing to install additional hardware or software. This means providing a new experience where navigation works seamlessly even in tunnels or underground parking lots.

The strength of uGPS is that it can be used immediately upon installation and requires no additional preprocessing or separat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t also enables real-time precise location tracking even on high-speed moving objects traveling over 100km/h, and is very precise with an average location error within 3m in GPS shadow areas. It also has excellent cost-performance compared to competing solutions. It's noteworthy that it provides global standar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ignals, making it universally usable anywhere in the world.

IDCITI's uGPS system [Photo=IDCITI] 2025.06.03 biggerthanseoul@newspim.com

Demonstration and commercialization results are also remarkable. IDCITI has verified uGPS performance at various sites including Seoul's Namsan Tunnel No. 1, Metropolitan Area Ring Expressway No. 1, and Incheon Startup Park underground parking lot. Particularly at Jamsil Transit Center, it significantly improved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accuracy by drastically reducing bus arrival prediction error from 600 seconds to 14 seconds. In 2025, they are accelerating global market expansion by participating in CES, the world's largest IT exhibition, and VivaTech, Europe's largest tech event, to begin full-scale entry into North American and European markets, and signing PoC agreements with North American defense-related companies.

Technical reliability is also high. uGPS has already obtained KC certification and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 and European CE certifications, and has filed patents in major markets including the US, EU, and China, pursuing global business expansion based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DCITI's uGPS is evaluated as the core of future urban infrastructure including smart cities, autonomous driving, smart mobility, public transportation, smart parking, logistics automation, and emergency rescue, beyond being a simple lo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The company is deploying expansion strategies into various industrial sectors based on B2G (government) and B2B (business) business models. CEO Ryu Ji-hoon stated, "uGPS will become the basic infrastructure of smart cities," expressing his ambition to "lead the global indoor positioning market starting with Europe and North America."

IDCITI launched as a campus startup at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in 2020 and is growing into a global specialized company with both technological completeness and commercialization experience in a short period. The world's attention is focused on IDCITI's moves leading indoor and underground location innovation in smart cities.

biggerthanseoul@newspim.com

[VivaTech 2025] ⑬ IDCITI « Connecter là où le GPS ne peut pas atteindre »

[Sejong=NewsPim] Journaliste Kyoungtae Yi = En 2025, il y a une entreprise qui change le paradigme des villes intelligentes. C'est IDCITI, une startup qui a commencé à Songdo, Incheon. Cette entreprise attire l'attention sur le marché mondial des villes intelligentes avec sa technologie innovante 'uGPS (underground GPS),' qui fournit des informations de localisation précises au niveau satellite même dans des espaces où les signaux GPS conventionnels ne peuvent pas atteindre, tels que les zones souterraines, les tunnels et l'intérieur de grands bâtiments.

L'uGPS d'IDCITI résout fondamentalement les limites du GPS existant. Utilisant la technologie SDR (Software Defined Radio), il génère artificiellement des signaux GPS dans les espaces souterrains et intérieurs qui sont presque identiques aux signaux satellites réels. Grâce à cela, les récepteurs GPS existants installés dans les smartphones ou systèmes de navigation peuvent recevoir et utiliser directement les informations de localisation sans avoir besoin d'installer du matériel ou logiciel supplémentaire. Cela signifie fournir une nouvelle expérience où la navigation fonctionne sans interruption même dans les tunnels ou parkings souterrains.

La force de l'uGPS est qu'il peut être utilisé immédiatement après installation et ne nécessite aucun prétraitement supplémentaire ou construction d'infrastructure séparée. Il permet également le suivi de localisation précise en temps réel même sur des objets en mouvement à haute vitesse voyageant à plus de 100km/h, et est très précis avec une erreur de localisation moyenne dans les 3m dans les zones d'ombre GPS. Il a également d'excellentes performances coût-efficacité par rapport aux solutions concurrentes. Il est remarquable qu'il fournisse des signaux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tandard mondiaux, le rendant universellement utilisable partout dans le monde.

Les résultats de démonstration et de commercialisation sont également remarquables. IDCITI a vérifié les performances de l'uGPS sur divers sites incluant le Tunnel Namsan No. 1 de Séoul, l'Autoroute circulaire métropolitaine No. 1, et le parking souterrain d'Incheon Startup Park. Particulièrement au Centre de transit de Jamsil, il a significativement amélioré la précision des informations de transport public en réduisant drastiquement l'erreur de prédiction d'arrivée des bus de 600 secondes à 14 secondes. En 2025, ils accélèrent l'expansion du marché mondial en participant au CES, la plus grande exposition IT au monde, et VivaTech, le plus grand événement tech d'Europe, pour commencer l'entrée à grande échelle sur les marchés nord-américains et européens, et signant des accords PoC avec des entreprises liées à la défense nord-américaine.

La fiabilité technique est également élevée. L'uGPS a déjà obtenu la certification KC et les certifications de la Commission fédérale des communications des États-Unis (FCC) et CE européenne, et a déposé des brevets dans les principaux marchés incluant les États-Unis, l'UE et la Chine, poursuivant l'expansion commerciale mondiale basée sur les droits de propriété intellectuelle.

L'uGPS d'IDCITI est évalué comme le cœur de l'infrastructure urbaine future incluant les villes intelligentes, la conduite autonome, la mobilité intelligente, les transports publics, le stationnement intelligent, l'automatisation logistique et le sauvetage d'urgence, au-delà d'être une simple technologie d'information de localisation. L'entreprise déploie des stratégies d'expansion dans divers secteurs industriels basées sur les modèles d'affaires B2G (gouvernement) et B2B (entreprise). Le PDG Ryu Ji-hoon a déclaré, « l'uGPS deviendra l'infrastructure de base des villes intelligentes », exprimant son ambition de « mener le marché mondial du positionnement intérieur en commençant par l'Europe et l'Amérique du Nord ».

IDCITI a été lancé comme startup de campus à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en 2020 et grandit pour devenir une entreprise spécialisée mondiale avec à la fois la complétude technologique et l'expérience de commercialisation en peu de temps. L'attention du monde se concentre sur les mouvements d'IDCITI menant l'innovation de localisation intérieure et souterraine dans les villes intelligentes.

biggerthanseoul@newspim.com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sponsorship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법사위, 尹 서울구치소 CCTV 열람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수감 중 특혜 제공 여부와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 폐쇄회로(CC)TV를 열람하기 위해 현장검증에 나섰다.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이날 오전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거부와 수감 특혜 의혹 등을 점검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불참했다.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1일 오전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거부와 수감 특혜 의혹 등을 점검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불참했다. 2025.09.01 jeongwon1026@newspim.com 김용민 의원은 "국민의힘은 오늘 현장검증이 '망신주기용'이자 인권 침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정작 중요한 검증 절차에는 참여하지 않고 뒤에서 정치적 언사만 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의원 불참에 유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오늘 검증해야 할 사안은 대한민국 형사사법시스템에서 매우 중차대한 문제"라며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구치소에서 편하게 지내고 있다는 국민적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 한 대한민국 사법시스템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지 못할 것"이라며 현장검증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전현희 의원도 "CCTV를 열람하는 것은 윤석열에 대한 망신주기 목적이 아니다. 중대 범죄자의 체포영장 거부라는 법치주의 파괴 행태와 구치소 측의 특혜는 없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며 "법치주의를 바로세우고 헌정질서를 회복하는 과정의 일환인 현장검증에 국민의힘이 자리를 비운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추미애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 조금의 양심이라도 있다면 응당 책임을 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법치를 무시하고 부끄러운 모습을 연출하는 등 수사방해를 일삼고 있다"며 "오늘 현장검증을 통해 특혜 및 수사방해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수용규칙 위반 등 사실이 확인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구치소 측에 8월 한달 간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 횟수와 구치소 내 변호인 접견방 개수, 변호인 접견 규정 일체 등의 자료를 요청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과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이명박·박근혜 전직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 관련 자료와 윤 전 대통령의 총 접견 시간 및 인원 등 통계 자료를 요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9-01 11:08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제1회 산세타령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자료= 인공지능 AI 이미지] 판소리 춘향가에는 '산세타령'이라는 눈대목(가장 재미있는 부분 중 하나)이 있다. 방자가 춘향이에게 이몽룡의 사람됨을 각 지방 산세에 비유하며 설명하는 대목이다. 방자가 춘향이에게 "여보게 춘향이! 낭군을 얻으려면 뚜렷한 서울 양반 낭군을 얻지. 아, 어찌 시골 무지랭이를 얻으려는가?" 했다. 이에 춘향이가 "미친 녀석! 낭군도 시골 서울이 다르단 말이냐?"하며, 방자 말이 땅에 떨어지기도 전에 이불 개듯 개어 방자 귀에 쑤셔 넣었다. 방자는 "하믄 다르지야. 인걸은 지령이라. 사람이 하는 것은, 산세 따라 나는 법이여. 내가 우리 도련님 성품을 이를 테니 잘 들어 보소. 경상도 산세는 산이 웅장 허기로 사람이 나면 정직하고. 전라도 산세는 산이 촉(비옥함)하기로 사람이 나면 재주가 있고. 충청도 산세는 산이 순순하기로 사람이 나면 인정이 있고. 경기도 올라, 한양 터 보면 천운봉이 높고 백운대 섰다. 삼각산 세 가지 북주가 되고 인왕산이 주산이요, 종남산이 안산인디 동작이 수구를 막았기로, 사람이 나면 선할 때 선하고 악하기로 들면 별악지상(別惡之象)이라." 서울 남산 아래, 선할 때 선하지만 악하기로 들면 별악지상(別惡之象)인 땅. 그곳이 지금의 용산기지다. 이몽룡이 장원급제하고 남원골 춘향이를 만나러 간 길도 남대문-용산고-용산기지 23번 게이트-한강나루-남태령-과천 길이다. 용산은 용산구 효창공원 일대와 원효로 서쪽 일대 구릉지대를 말한다. 한강을 따라 서쪽으로 흐르는 구릉이 마치 용이 꿈틀대는 모습이어서 용산이라 불렀다. 대통령실이 들어선 국방부, 합참 지역의 구릉은 둔지산(屯之山)이다. 조선시대 때 직업군인 집단 거주 마을이 있었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는 일본군 병참기지로, 병자호란 때는 청나라군 후방지휘소였다. 임오군란 때는 흥선 대원군이 용산기지 캠프 코이너에서 청나라로 납치돼 갔다. 용산고 앞에서 청나라군과 조선군 간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894년 7월 청일전쟁이 터졌다. 일본군 소장 오시마가 이끄는 8000여 명의 일본군이 용산기지에 주둔했다. 조선총독부, 조선주차군사령부가 용산기지에 터를 잡았다. 부대 정문은 용산역 맞은편 아모레 퍼시픽 건물과 용산우체국 사이로 난 길을 따라 200m 정도 들어가면 나오는 문이다. 어김없는 별악지상(別惡之象) 땅이었다. 1950년 6월 25일 01:00 용산기지 내 육군본부 상황실에 전화벨이 울렸다. 당직 장교 작전국 대위 조병운이 수화기를 들었다. "충성! 옹진반도 제17연대입니다. 현재 시간 국사봉 북쪽 능선으로 병력 미상의 북한군이 접근하고 있습니다" 03:00 또 전화벨이 울렸다. "충성! 문산 제1사단입니다. 북한군이 구화리에서 도하용 주정(舟艇)을 운반하고 있습니다" 03:30 또 전화벨이 울렸다. "충성! 의정부 제7사단입니다. 적 포탄이 전 진지에 떨어지고 있습니다" 창밖에는 태풍 엘시가 비를 뿌리고 있었다. 육군본부 정보국 당직 장교 중위 김종필은 정보국장 장도영 대령에게 "전 전선에서 북한군이 공격해 오고 있습니다. 전군에 비상을 내려야 합니다. 국장님께서 빨리 상황실로 오셔야겠습니다"라고 보고했다. 용산기지가 또다시 별악지상(別惡之象)의 땅이 되고 있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01 08: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