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시간 충분히 줬다...이번에 성과 내야"
"日과 합의 회의적"...당초 24%에서 대폭 상향 경고
[뉴욕=뉴스핌]김근철 특파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오는 9일로 다가온 무역 협상 유예 기간을 연장할 생각이 없으며, 일본과의 협상이 결렬될 경우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최대 3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플로리다 방문 일정을 마치고 워싱턴 DC로 돌아오는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일본과 거래해 왔다. 그러나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 확신이 없다. 나는 회의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 |
전용기에서 기자회견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7.02 kckim100@newspim.com |
그는 "일본이 미국 농산물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자국 내 심각한 쌀 부족을 겪고 있다"면서 "우리는 일본산 수입품에 대해 30% 또는 35%, 또는 우리가 정하는 수치만큼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대일 관세율 2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협상 시한을 연장할 생각은 없다"며 "각국은 이미 충분한 시간을 가졌다. 이번에는 결과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전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에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을 '해방의 날'로 명명하면서 주요 무역 상대국별로 고율의 상호 관세를 발표했다. 하지만 이러한 관세 조치로 증시, 채권 시장, 환율 시장 등이 요동치자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별 협상을 위해 90일간 상호 관세 부과를 유예한다고 밝혔다. 이 유예 시한은 오는 7월 8일 종료된다.
미국 정부는 유예 기간 동안 10%의 임시 관세율을 적용하면서 무역 상대국에 ▲ 미국산 제품 구매 확대 ▲ 관세 감축 ▲ 비관세 장벽 해소 ▲ 지재권 보호 강화 등 다양한 무역 요구를 충족하는 관세 협상에 나서라고 압박해 왔으나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일본과의 협상은 농산물 시장 개방, 자동차 부품 원산지 기준,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 등에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연일 일본과의 무역 협상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내며 이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담은 서한을 일본 정부에 보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백악관은 이날 별도 성명을 통해 "대통령은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일방적 조치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kckim1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