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인재 대거 영입·최연소 CEO…3세 경영 본격화
본업 전략 실종?…'조직 리빌딩만으론 한계' 우려도
현대해상측 "(희망퇴직 추진) 검토도 없어, 사실무근"
[서울=뉴스핌] 이윤애 정광연 기자 = 현대해상이 오너 3세 정경선 전무 체제를 본격화하면서 조직 전면 쇄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정 전무가 직접 영입한 외부 인재들이 핵심 보직에 전진 배치됐고 창사 이래 최연소 CEO까지 선임되며 '정경선 체제'가 본궤도에 올랐다는 평가다.
1974~75년생 이상 고연차 인력을 대상으로 대규모 희망퇴직 추진 소식도, '외부 인재 영입 → 조직 리빌딩 → 세대교체'로 이어지는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3세 경영 승계가 시작됐다.
다만 희망 퇴직 대상 연령대를 50세까지 낮추는 등 빠른 세대교체 속도에 내부 반발도 감지된다. 복합적 요인에 따른 기업 위기의 책임을 직원들에게만 전가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현대해상이 실적 부진으로 고전을 겪는 가운데 현대해상이 어떤 방식으로 본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수익성을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청사진은 여전히 불분명하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 "정경선 체제 본격화…'젊은 현대해상'에 방점"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대해상은 지난해 12월 정몽윤 회장의 장남 정경선 전무가 최고지속가능책임자(CSO)로 합류한 이후 대규모 인사 및 조직 개편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핵심 키워드는 '젊은 조직'이다.
지난해 말 단행된 조직개편에선 총 12명의 부문·본부장급 임원 가운데 절반 이상이 외부 출신 인사들로 채워졌다. 이들은 모두 정 전무가 직접 발탁했다. 이들의 특징은 1970~1980년생으로 젊은 세대다. 다만 보험업의 경험은 전무하다.
윤리경영실장 박계현 부사장은 차장검사 출신이고 기술지원부문장 김택수 전무는 카카오 CPO(최고제품책임자)를 역임했다. 디지털전략본부장 김성재 상무와 브랜드전략본부장 주준형 상무는 각각 SK하이닉스와 SK수펙스협의회 출신이다. 이 외에도 넷마블, 엔씨소프트, 컨설팅사 등 IT·전략 분야 외부 인재들이 전진 배치됐다.
이 과정에서 정승진 기업보험부문장 조윤상 기획관리부문장(1964년생), 이권도 장기보험부문장(1965년생), 박주호 자동차보험부문장(1966년생) 등 1960년대 중반생 고연차 임원들이 대거 퇴진했다.
올해 초엔 이석현 전무가 신임 대표이사에 올랐다. 1969년생으로 창사 이래 최연소 대표다. 기존 조용일(1958년생)·이성재(1960년생) 공동대표가 임기를 1년여 남기고 사임하면서다. 이 대표는 1986년생인 정 전무를 제외하고 현대해상 전무·부사장급 중 가장 젊다.
1969년생인 이석현 대표 체제 아래 진행되는 이번 희망퇴직은 세대교체의 명분 아래 차기 대상으로 1974~75년생 이상이 지목되는 것은 정해진 수순처럼 보인다.
![]() |
◆ 조직은 젊어졌는데…본업 경쟁력 회복은 과제
일각에서는 현대해상이 실적 부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세대교체에만 방점을 두는 것이 오히려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핵심인 보험 본업의 경쟁력 회복을 위한 전략이 아직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정경선 전무는 현대해상 입사 이후 제4인터넷전문은행 진출을 주도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렌딧, 자비스앤빌런즈 등 핀테크 기업들과 'U뱅크' 컨소시엄을 꾸리기도 했으나, 사업 추진은 최종적으로 보류됐다.
이런 가운데 현대해상은 본업인 보험 부문에서 손해율 악화, 신계약 감소 등으로 수익성 둔화가 이어지고 있다. 2025년 1분기 순이익은 2032억원으로 전년 동기(4768억원) 대비 57.4% 급감했다. 증권가에서는 현대해상의 2분기 실적도 부진할 것으로 전망한다. 일부 증권사들은 전년 대비 약 30% 줄어든 2400억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고 있다.
자본건전성에 대한 우려도 여전하다. 한국신용평가는 최근 현대해상의 보험금지급능력평가(IFRS17 기반)와 후순위채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그 배경으로는 보험이익 변동성 확대와 지급여력비율(RBC) 및 킥스(K-ICS) 비율 관리 부담이 꼽힌다.
한신평은 "올 3월 말 자본성증권 발행 등의 영향으로 159.4%로 소폭 반등했지만 여전히 업계 대비 낮은 수준으로 제도 변경과 할인율 현실화가 진행되면서 지급여력 비율에 추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시장 지위와 이익창출능력, 신계약 유입 실적, 자산부채관리(ALM)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자본적정성의 중장기적인 개선 추세를 모니터링하겠다"고 짚었다.
익명을 요구한 현대해상 관계자는 "자본건전성 개선과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면밀한 검토와 논의가 필요한데 지금 경영진은 3세 경영승계를 위한 인적쇄신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정 전무를 향한 직원들의 불만이 커지는 이유"라고 말했다.
다만 현대해상 관계자는 "(희망퇴직 검토는) 사실무근"이라며 "검토를 한적도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