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늘 비판적으로 소비되던 이 말이 스포츠에선 오히려 시장을 키운 동력이라는 사실을 부인할 수 있을까.
세상은 때론 정반대의 진실을 품고 있다. 1등만 기억하기 때문에, 스포츠는 오히려 더 크고 강력해졌다. 타이거 우즈가 그랬다. 압도적인 실력과 카리스마, 드라마 같은 승부로 세계 골프계를 흔들어놓았다. 그 한 명이 골프장 수를 늘렸고, 중계권료와 스폰서 계약을 미친 듯이 끌어올렸다. 골프 역사를 알고 싶으면 타이거 이전과 이후로 나누면 된다.
![]() |
[트룬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타이거 우즈가 지난해 7월 20일 디오픈 2라운드 18번 홀을 끝낸 뒤 갤러리들을 향해 손을 흔들어 보이고 있다. 그는 중간 합계 14오버파 156타로 컷 탈락하며 2015년 US오픈 이후 9년 만에 최악의 스코어를 냈다. 2024.07.20 zangpabo@newspim.com |
메이저리그엔 "홈런왕은 캐딜락을 타고, 타격왕은 포드를 탄다"는 말이 있다. 최상위 포식자인 오타니 쇼헤이와 에런 저지가 모든 걸 가져간다. 그야 말로 한끗 차이로 크게 처우 차이가 난다.
국내에선 프로당구의 김가영이 대표적이다. PBA리그 출범 초기부터 화제의 중심에 선 그는 8개 대회 연속 우승과 38연승으로 시청률과 팬 확보의 일등공신이 됐다. 김가영의 독주는 당구 팬층을 여성과 가족 단위로 확장시켰다. 만약 김가영이 시즌 내내 우승을 독차지하는 걸 두고, 독재라고 깎아내리거나 "함께 갑시다"라고 강권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 |
큐대만 잡으면 눈빛이 변하는 김가영. [사진=PBA] |
배드민턴 안세영 역시 마찬가지다. "한국 여자 단식은 안 돼"라는 인식을 깬 그는 세계 1위를 찍고,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비인기종목 배드민턴의 위상을 단숨에 끌어올렸다. 광고와 스폰서 계약이 늘고, 여자단식 경기를 향한 관심은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그가 만들어내는 스토리는 팬들에게 다시 보고 싶은 경기를 선사한다.
이쯤 되면 '1등만 기억하는 세상'은 더는 부정적인 말이 아니다. 어떤 이에겐 1등에게만 쏠리는 화려한 조명이 불편하게 느껴질 지 몰라도, 그 빛이 결국 주변까지 비춘다는 사실을 부정해선 안 된다.
![]() |
승리 후 포효하는 안세영. [사진=BWF] |
1등에게 집중된 상금과 스포트라이트는 역피라미드 구조이지만, 그 꼭대기에서 뿜어져 나온 빛이 마침내 시장 전체를 덮는다. 언뜻 보면 부익부 구조가 불공정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빈익빈은 아니다. 덕분에 더 많은 이들이 선수로 입문하고, 더 많은 이들이 팬이 되면서 시장은 커진다. 굳이 낙수효과라는 논란이 있는 말로 어지럽히지 말자. 사실만 바라보면 된다.
스포츠는 감동과 드라마가 있지만, 실제로는 냉정하기 짝이 없다. 늘 승패가 나오고, 승자에겐 보상이 주어진다. 그 보상은 단순한 상금만이 아니라 '기억'이라는 형태로 팬들의 마음속에 각인된다. 스타는 콘텐츠가 되고 브랜드가 된다.
그래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 아니라, 그래서 희망이 있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어느 분야든 1등은 외롭고 힘들다. 하지만 그 외로움과 고난 속에서 나온 성과가 시장을 움직인다. 이제 더 이상 1등이 단순히 1등이어서 손가락질 받고, 국정감사에 불려다니고, 감옥에 가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zangpab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