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상승률 0.14%…전주 대비 0.02%p ↑
관망 수요, 규제 적응에 매수로 전환…"공급 대책 발표 시점 중요"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6·27 대출 규제 이후 잠잠했던 서울 집값이 다시 뛰면서 향후 집값 방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이라는 특단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6주 만에 강남권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된 것이다.
시장에선 이를 본격적인 상승 전환의 신호탄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다만 규제에 대한 적응이 이뤄진 만큼 추가 공급 대책이 늦어질 경우 상승세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 |
◆ 서울 집값 상승률 0.14%…전주 대비 0.02%p ↑
11일 업계에 따르면 6·27 대출 규제 이후 6주만에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확대됐지만 절대적인 거래량이 여전히 적은 만큼 상황을 지켜봐야 한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상승폭이 둔화됐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꿈틀대고 있다. 대출 규제 시행 직전인 6월 23일 기준 0.43%였던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정부 발표 이후 매주 상승폭이 줄어들며 지난달 28일 기준 0.12%까지 낮아졌다. 하지만 8월 첫째주 상승폭이 확대되며 전주 대비 0.02%포인트(p) 오른 0.14%를 기록했다.
특히 강남권과 마용성을 비롯해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오름세가 가팔라질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성동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주 0.22%에서 이번주 0.33%로 0.11%p 올랐다. 광진구(0.17%→0.24%)와 강동구(0.07%→0.14%), 용산(0.17%→0.22%), 강남(0.11%→0.15%), 마포(0.11%→0.14%) 등도 상승폭이 확대됐다.
재건축 추진 단지와 역세권·학군지 등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문의 증가와 더불어 상승 거래가 나오면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고가 단지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출 의존도가 높지 않은 데다 매도자 입장에서 매물을 급하게 팔 이유가 없다 보니 가격 조정폭이 크지 않았던 것이다.
실제로 강남구 개포동 '개포자이프레지던스' 59㎡는 지난달 7일 31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갱신했다. 지난 6월 29억2000만원에서 1억8000만원 올랐다. 마포구 하주옹 '한강밤섬자이' 전용 168㎡는 지난 6월 29일 33억2500만원에 손바뀜됐다. 지난 3월 30억5000만원에서 2억7500만원 올라 최고가를 찍었다.
다만 규제 효과가 떨어졌다고 보기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주간 변동률이 많이 뛸 때는 서울이 0.7%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0.1%대에 불과하고 거래량도 (대출 규제 이전에 비해) 3분의 1 수준"이라며 "가을 이사철 전월세 가격과 매물량, 금리 인하 이슈 등에 따른 영향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 관망 수요, 규제 적응에 매수로 전환…"공급 대책 발표 시점 중요"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자들이 규제에 대한 적응이 이뤄졌다는 시각도 있다. 규제 이후 매수심리가 위축되며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추가적인 규제나 공급 대책이 발표되지 않자 매수세로 돌아서고 있다는 것이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규제에 대한 적응이 됐다고 본다"면서 "규제 정책 이후 관망세가 이어졌고 이후 공급 대책이나 추가적인 규제, 세제안 등 큰 변화가 없다는 판단이 서면서 관망하던 수요가 매수세로 전환되며 누적이 되고 있다고 보여진다"고 말했다.
선호 지역 위주의 상승폭 확대가 서울 전역으론 확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봤다. 송 대표는 "지금 시장의 가격선을 주도하는 곳이 강남권이나 마용성 같은 지역"이라며 "전통적인 매수세가 있는 지역들 중심으로만 이뤄지지 전반적인 시장에 다 적용되기는 좀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시장에선 대출 규제로 인한 수요억제는 어느정도 인정하면서도 장기적인 안정세를 유지하기 위해선 공급 대책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향후 금리 인하 기대감과 전세 시장 불안이 맞물릴 경우 집값 반등세가 더 뚜렷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전세가격이 오르기 시작하면 매매 전환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적절한 공급 대책 발표 시점이 하반기 시장 안정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단기간에 시장을 진정시키는 효과는 있었지만 수급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으면 가격은 다시 움직일 수밖에 없다"면서 "서울 전역으로 상승세가 번지기 전에 공급 물량과 시기를 명확히 제시해 수요자들의 불안 심리를 잡아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