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가유산청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개관 20주년을 맞아 1920년 제작된 창덕궁 벽화 6점을 한 자리에 모았다.
정용재 국립고궁박물관장은 13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개관 20주년 특별전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기자간담회에서 "이번 전시는 20주년과 관련해서 특별전으로 준비했다. 1920년대에 제작된 6점의 벽화가 한 공간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100년의 시간을 지나 한 자리에 모으게 됐다"고 밝혔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전시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2025.08.13 alice09@newspim.com |
이번 전시는 박물관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창덕궁 내전의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을 장식했던 벽화 6점과 초본(정본을 완성하기 전 밑그림) 1점을 최초 일괄 공개하는 특별전이다. 공개되는 벽화 6점은 높이가 각각 180~214cm, 너비가 각각 525~882cm에 달하는 대작들로 크기 면에서 비슷한 사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기념비적인 작품이며, 조선왕실의 마지막 궁중회화이다.
이날 정 관장은 "국립고궁박물관이 2005년 8월 15일 첫 특별전인 '백자, 달항아리'로 시작해 크고 작은 전시 80개를 개최해왔다. 이번 전시는 2015년 창덕궁 대조전 벽화 특별전, 2017년 희정당 벽화 특별전에 이어 오랜 연구와 전시활동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성과를 담고자 기획됐다. 또한 2023년 복원처리를 마친 경훈각의 벽화와 백학도 초본을 최초로 공개하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이어 "1920년 제작된 6점의 벽화가 한 공간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00년의 시간을 지나 드디어 여러분 앞에 모이게 됐다.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과 황비 순정효황후가 자리 잡고 살고 있던 창덕궁 내전 전각이 화재로 소실되자, 3년 뒤인 1920년 소실된 내전을 다시 재건하면서 당시 조선화단을 대표하는 화가를 불러 벽화를 그리게 했고, 그것이 이번에 소개하는 벽화들"이라고 부연했다.
![]() |
정용재 국립고궁박물관 관장. [사진=뉴스핌DB] |
정 관장은 "화가들은 궁중화풍으로 그린 벽화에 본인의 이름과 근사를 함께 썼다. 이는 전통회화 속에 본인을 드러내는 것과 동시에 시대의 변화가 함께 녹아든 상징이기도 하다"라며 "전통적인 궁중화풍을 계승해 화려한 필채로 완성한 이 그림은 마지막 궁중 회화로 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명작을 많은 분들이 즐길 수 있게 돼 뜻 깊게 생각한다. 특히 이러한 벽화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이라고 말했다.
노명구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장 "우리 박물관은 개관 20주년을 기념해 궁궐을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인 창덕궁 벽화 6점을 한대 모아 근사한 전시를 소개하게 됐다. 희정당, 대조전, 경훈각 등으로 구성돼 있는 창덕궁 내전은 마지막 황제인 순종이 생활하던 공간이었다. 화재로 소실된 창덕궁 내전은 3년에 걸친 공사 이후 새롭게 재건됐다. 전각 내부를 장식하는 대규모 벽화가 함께 여섯 명이 그린 화가가 그린 작품은 궁중화풍으로 그려진 아름다운 그림"이라고 소개했다.
노 과장은 "20주년인 올해에는 경훈각 벽화 2점을 포함해 6점을 최초로 한 자리에 모아 공개하게 됐다. 이번에는 이 벽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도 준비해 조금 더 많은 관람객이 충분히 창덕궁 벽화의 아름다움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20주년 특별전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 전시 전경. [사진=국가유산청] 2025.08.13 alice09@newspim.com |
전시는 총 2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순종의 접견실이었던 희정당의 벽화, 황제 부부의 침전인 대조전 벽화, 서재 겸 휴식공간인 경훈각의 벽화를 감상할 수 있다. 2부에서는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 아트 '근사한 벽화, 다시 깨어나다'를 전시한다. 오랜 세월 사랑을 받은 금강산의 절경과 봉황과 백학 등의 움직임이 실감영상으로 재현됐다.
전시를 기획한 이홍주 학예연구사는 "이번에 소개되는 벽화는 우리나라 조선의 궁중회화 전통을 잇는 마지막 궁중장식화"라면서 "전시 제목 '근사'는 '삼가 올린다'는 뜻인데, 이 벽화를 그린 화가들은 조선의 궁중 화가들과 달리 그림에 자기 이름을 남겼다. 근대 회화에서 작가 개인의 존재감이 부각되기 시작한 흐름을 보여준다"고 했다.
그는 "희정당 벽화 공간에서는 대청마루 동쪽과 서쪽 벽 상단을 채운 금강산을 보실 수 있다. 동쪽 벽 위쪽은 '총석정절경도'가 위치해 있었으며, 총석정은 금강산 북쪽 강원도 통천군 동해안에 위치한 정자"라며 "해변을 따라 솟은 주상절리가 이루는 빼어난 경치를 바라보고 있어 관동팔경 중 제일로 꼽혔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대조전 내부. [사진=국가유산청] 2025.08.13 alice09@newspim.com |
이어 "해당 그림을 그린 김규진은 서예와 사군자로 이름이 높았던 사화가로, 1920년 6월 희정당 벽화 제작 의뢰를 받고 금강산에 가서 벽화의 밑그림을 그려왔고, 바다에 나가 바라본 총석정 전경을 스케치한 작품이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전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되는 것이 바로 '백학도'와 그 초본이다. 이 학예연구사는 "창덕궁의 대조전 대청 서쪽 벽 상단을 장식한 게 '백학도'이다. 왕실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십장생 중 하나인 학 16마리가 보름달이 떠오른 하늘을 배경으로 그려져 있다. 벽화에 등장하는 소나무, 모란, 바위, 불로초 등 십장생 그림 소재는 황제 내외의 평안과 장수를 기원하는 것이기도 했다"고 말했다.
'백학도'가 대조전 대청 서쪽에 위치했다면, 동쪽 벽쪽은 '봉황도'가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는 "태평성세를 상징하는 봉황 10마리가 붉은 해 아래 그려져 있으며, 왕실의 번영과 자손 번창을 기원하는 봉황 그림은 궁궐 그림의 주요 소재이기도 했다"라며 "그림의 오른쪽 끝에는 우리나라 최초 근대적 미술교육기관인 서화미술회 1기 졸업생인 당시 31세 오일영과 16세 이용우의 서명과 인장이 남아 있다"고 부연했다.
마지막 '경훈각 벽화' 공간에서는 '삼선관파도'와 '조일선관도'가 소개된다. 이홍주 학예연구사는 "'삼선관파도'에는 세 명의 신선이 있는데 각자 자신이 얼마나 오래 살았는지 자랑을 한다. 신선들 머리 위로는 장수를 상징하는 복숭아 나무가 있으며, 이 그림 황실의 평안과 황제 내외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다"고 말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에서 전시되는 김규진_금강산만물초승경도. [사진=국가유산청] 2025.08.13 alice09@newspim.com |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창덕궁의 근사한 벽화'에서 전시되는 김은호의 '백학도'. [사진=국가유산청] 2025.08.13 alice09@newspim.com |
이어 "'조일선관도'의 경우 아침 해가 떠오른 신선 세계를 그린 작품으로, 그림 곳곳에 복숭아와 연잎 위의 거북이, 두 명의 동자, 신선의 전각 등 길상적인 상징이 있다. 이는 전통적으로 무병장수를 바라며 제작된 축수화에 등장하는 소재"라고 덧붙였다.
그리고 마지막 2부에서는 창덕궁 벽화를 주제로 한 미디어아트 '근사한 벽화, 다시 깨어나다'를 전시한다. 오랜 세월 사랑받은 민족의 영산 금강산의 절경과 봉황과 백학의 상서로운 날갯짓, 영생을 누리는 신선의 세계를 관객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환상적인 실감영상으로 재현해 보는 재미를 더한다.
이번 궁궐을 장식한 마지막 궁중회화 6점은 오는 14일부터 10월 12일까지 국립고궁박물관 2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된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