맘다니 압승 여부, 사회주의 민주 정책 정착 영향
'첫 여성 주지사' 뉴저지·버지니아 선거도 주목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4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중 첫 선거가 진행되고 있다. 뉴욕시장과 뉴저지 주지사 등을 뽑는 이번 선거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의제에 대한 민심이 어떻게 반영될 지 주목된다.
뉴욕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의 조란 맘다니 후보의 당선이 유력하다. 34세의 맘다니는 한때 대선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던 무소속 앤드루 쿠오모 전 뉴욕 주지사와 지지율 격차를 두 자릿수대로 벌린 상태다. 맘다니가 당선되면 뉴욕시는 역사상 첫 무슬림계 시장을 두게 된다.
뉴욕타임스(NYT)는 맘다니 후보가 압도적인 과반 승리를 거운다면 그와 그의 민주사회주의 동료들이 수년간 지지해 온 진보적 비전에 대한 선거 상의 명확한 위임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부유층에 대한 세금 인상을 통해 교통 및 사회 복지 프로그램에 보조금 형태로 투입해 생활비 부담을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뉴저지와 버지니아 주지사 선거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의제에 대한 반발의 강도가 확인될 수 있다. 애드임팩트(AdImpact)의 데이터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 두 곳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언급하는 선거 광고에 1800만 달러를 썼다. 반면 공화당은 같은 성격의 광고에 130만 달러만을 지출했다.
민주당 소속인 필 머피 주지사가 8년간 이끌어온 뉴저지주에서는 민주당의 미키 셰릴 후보는 공화당의 잭 시타렐리 후보가 접전을 펼치고 있다. 민주당 성향이 강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뉴저지주에서는 지난 2010~2018년 공화당의 크리스 크리스티가 주지사를 맡은 바 있다.
버지니아주에서는 민주당 애비게일 스팬버거 후보가 윈섬 얼시어스 공화당 후보를 앞서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두 지역에서 누가 주지사에 당선되든 각 주는 첫 여성 주지사를 맞이하게 된다. 버지니아주의 얼시어스 후보가 당선된다면 미국 역사상 첫 흑인 여성 주지사가 탄생한다.
![]() |
| 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 자치구에서 열린 뉴욕 시장 선거의 선거일에 유권자들이 투표소에서 투표하고 있다.[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11.05 mj72284@newspim.com |
캘리포니아주에서는 텍사스주의 게리맨더링(특정 정파에 유리한 자의적 선거구 조정)에 맞서 민주당이 공화당의 5개 의석을 가져갈 수 있게 선거구를 조정하는 내용이 담긴 '발의안 50'에 대한 투표가 핵심 쟁점이다.
투표는 버지니아주에서 오후 7시에 마무리되며 이어 뉴저지(오후 8시)와 뉴욕(오후 9시), 캘리포니아(오후 11시) 순으로 종료된다.
사전 투표 열기도 뜨거웠다. 버지니아와 뉴욕, 뉴저지에서는 300만 명 이상의 시민들이 이미 투표를 마쳤는데 이는 4년 전 수준을 웃돈 결과다. 뉴욕시에서는 2021년보다 4배가 넘는 73만5000명이 이미 사전 투표를 마쳤다.
하지만 이번 선거는 대선이나 연방 의회 선거가 포함되지 않은 오프이어(off year) 선거로 내년 중간선거에서 각 정당이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를 가늠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선거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공화당의 전략가인 더글러스 헤이는 "버지니아나 뉴저지에서 일어나는 일은 미주리의 하원 선거구나 메인주의 상원 선거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지 우리에게 크게 알려주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다만 이번 선거는 트럼프 집권 2기 후반기 연방 상·하원의 주도권을 결정할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양당에 어떻게 선거운동을 할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민주당이 지난 거의 10년 동안 다양한 선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항하는 선거 운동 방식을 채택해 왔으며 이날 선거 결과가 성공적이라면 내년 중간선거에서도 같은 전략에 더 박차를 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렇지 않을 경우 민주당이 다른 문제에 에너지를 집중하게 할 것으로 전망했다.
mj7228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