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 녹지생태도심 전략으로 규제 완화
녹지·문화 품은 혁신 업무지구로 재탄생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오는 2030년 서소문로에 서울광장 1.3배 규모의 대규모 녹지가 조성되고 강북권 최초 '클래식 전문 공연장'이 들어선다. 향후 이 일대는 서울역 북부역세권·힐튼 부지 등 재개발 사업과 함께 대규모 녹지를 품은 혁신 업무지구(154만㎡)로 재탄생, 새로운 도심 비즈니스 축으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5일 '녹지생태도심 선도 사업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 착공식'을 갖고 지난 3년간 서소문 일대 3개 지구 재개발(서울역-서대문 1·2구역 1지구, 서소문 11·12지구, 서소문 10지구)과 함께 추진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성과를 발표했다.
![]() |
| 통합조경 계획(안) [사진=서울시] |
착공식은 오세훈 서울시장, 김인제 서울시의회 부의장, 김길성 중구청장, 삼성생명 대표이사 등 사업 관계자와 지역 주민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지난 2022년 4월 서울시는 도심 활성화를 위해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수립했다. 이 전략은 민간 사업자가 개방형 녹지를 확보할 경우 건축규제를 완화해 도시개발과 환경 보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 방안이다.
시는 '녹지생태도심'을 위해 2023년 서울도심기본계획·2030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고시했으며, 지난해 8월에는 규제를 추가로 완화한 2030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변경을 고시했다.
시는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의 녹지형 개방 공간을 확대해 초기 계획인 8010㎡에서 1만8140㎡로 226% 증가시켰다. 사업자가 제안한 개방형 녹지에 따라 높이·용적률 인센티브를 제공해 공공 예산 없이 대규모 녹지 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녹지형 개방 공간에는 시민들에게 생태숲, 정원, 무대, 수경시설 등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현재 서소문 일대와 양동구역, 수표구역 등 36개 지구에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한 정비사업이 진행 중이다. 이러한 정책 시행으로 연평균 2.7건이던 도심 정비사업이 연평균 12.8건으로 늘어났다.
이들 사업이 완료되면 서울광장의 약 8배에 해당하는 대규모 민간 녹지가 조성돼 '정원도시 서울'에도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서울 전역의 도시정비형 재개발 사업에서도 이 전략을 도입해 서울을 친환경 녹색 도시로 바꿔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은 중구 순화동 7번지 일대에 지하 8층에서 지상 38층까지의 업무·문화 복합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2030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서소문 일대는 문화와 녹지를 품은 혁신 업무지구로 탈바꿈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소문빌딩 오피스 면적은 약 3.5배 커지고, 수용 인원도 3배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강북권 최초의 '클래식 전문 공연장'도 들어선다. 호암아트홀은 1100석 규모 클래식 공연장으로 거듭나, 도심 서측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오세훈 시장은 "오늘 착공은 단순한 개발사업이 아니라 서울이 녹색도시로 다시 태어나는 도심 전환의 출발점"이라며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녹지를 확보하는 새로운 재창조 모델 '녹지생태도심' 전략을 통해 서울 전역을 녹색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글로벌 녹색도시로 발돋움시키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