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는 7일 '퇴직연금 도입 20년, DB형에서 DC형으로의 머니무브가 시작됐다'를 주제로 한 투자와연금리포트 제69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국내 퇴직연금의 중심축이 DB형에서 DC형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분석하고, 그 배경으로 임금 구조 변화와 운용환경 개선을 제시했다.
![]() |
| [사진=미래에셋증권] |
보고서에 따르면 DB형 비중은 2012년 73.9%에서 지난해 49.7%로 낮아지며, 퇴직연금 도입 이후 처음으로 과반에 미달했다. 이는 임금체계의 구조적 변화로 DB형 퇴직연금의 기대 효용이 점차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신입과 장기근속자 간 임금 격차가 완만해지고(2016년 2.3배, 2024년 2.0배) 실질임금 상승률 역시 2000년대 평균 2.3%에서 최근 5년간 0%대에 머무르는 등 임금 상승의 관성 약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퇴직연금 운용환경 개선도 DC형 확산을 뒷받침했다. 2015년 '포지티브'에서 '네거티브'로의 규제 전환, 같은 해 위험자산 한도 상향, 2022년 디폴트옵션 도입 등 제도 개선으로 승인 상품 내 위험자산 편입이 최대 100%까지 가능해졌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DC형 운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글로벌 분산투자와 연금 자산 리밸런싱을 자동화하는 TDF·일임형 상품의 역할도 확대될 전망이다. 실제 DC형 퇴직연금의 실적 배당형 비중은 2024년 23.3%로, 최근 5년간 7.6%포인트 상승했다.
이규성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선임연구원은 "저성장·임금 평탄화 환경에서는 최종 임금보다 글로벌 분산투자와 주기적 자산 리밸런싱이 노후 성과를 좌우한다"며 "디폴트옵션 개선과 금융투자 교육을 통해 가입자의 자산이 스스로 일하는 구조를 만들어가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rkgml92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