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산학일체 교육·연구 모델과 지역 협력 사례 공유
지방대학 육성·자생력 강화 위한 사례 공유하고 정책화 논의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교육부는 오는 17일 국회의원 김영호 교육위원장과 함께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리며 사전 등록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
| [서울=뉴스핌] 황혜영 인턴기자 =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국회토론회 포스터. [사진=교육부] 2025.11.14 hyeng0@newspim.com |
교육부는 지난 9월 "지역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을 목표로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방안은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연계해 권역별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지자체·산업계·학계·연구기관이 참여하는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아울러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통해 중·소규모 지역대학도 특성화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상생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이번 토론회는 수도권 중심의 일극체제에서 벗어나 국가균형성장을 이루고 대학이 정부 재정지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지역-기업 간 연계·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주제 발표는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이 맡는다. 김 원장은 인공지능(AI) 시대에 대응하는 산학일체형 교육·연구 모델의 국내외 성공사례를 분석하고 새로운 협력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김송년 산업연구원 지역산업정책실장은 지방시대위원회 5극3특 특위 위원으로서 지역 산업과 연계한 대학-지역 협력 확산 방안을 발표한다.
이어지는 토론에서는 국정기획위원회 사회 2분과장이었던 홍창남 부산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배상훈 성균관대 교수가 대학 교원 인사 혁신 사례를, 양성환 엠코테크놀로지코리아 제조본부장과 최돈웅 파마리서치 연구소장이 각각 전남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및 지자체와 실제 협력한 사례를 공유한다. 박재민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 부회장은 대학의 산학협력 수익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에 나선다.
교육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사례와 정책 의견을 바탕으로 오는 12월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수립할 예정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대학은 지역의 희망이다. 대학이 살아야 지역이 살고 나라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정부가 산학일체 전략의 설계자가 돼 대학의 교육·연구가 지역 및 산업현장과 연계되는 지속 가능한 성장 생태계를 만들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hyeng0@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