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OECD/WTO, "무역통계 현실 왜곡…부가가치 반영해야"

기사입력 : 2013년01월17일 17:33

최종수정 : 2013년01월17일 18:02

- 서비스부문 기여도 37% 그쳐…고부가가치 중심 통상정책 수립해야

[뉴스핌=최영수 기자] 총교역량을 기준으로 한 무역통계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이를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바꿔 통상정책을 재수립해야 한다는 보고서나 나와 주목된다.

16일(현지시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세계무역기구(WTO)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교역국의 무역현황을 부가가치 기준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서는 최종재의 수출입액을 기준으로 한 총교역량 방식은 중간재가 이중으로 반영되어 무역규모가 과대평가 된다는 점이 지적됐다.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무역 8강'으로 도약하며 위상이 한층 높아졌지만, 무역규모와 실제 부가가치는 다르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다.


◆ 한국, 중국수출 40%는 중간재 '거품'

이번 OECD/WTO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2009년 기준)은 총교역량 방식 적용시 전체 수출의 27%를 차지하지만 부가가치 기준을 적용하면 19%로 감소했다. 이는 중국 수출품에 중간재 비중이 그만큼 높다는 뜻이다(도표 참조).

또한 우리나라의 수출에서 해외 부품 또는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40%로 나타났다. 이는 OECD 국가 중에서 룩셈부르크와 슬로바키아, 헝가리에 이어 4위 수준으로 우리나라 수출의 대외의존도가 그만큼 높다는 뜻이다.

수출에서 운송, 물류, 금융 등의 서비스부문 기여도 역시 37%에 그쳤는데, 이는 멕시코, 칠레, 노르웨이와 함께 OECD 국가들 중에서 하위권 수준으로 분석됐다.

(자료: OECD)


◆ '총교역량 방식' 중간재 이중계상…무역현실 왜곡

이처럼 총교역량 방식이 무역의 현실을 왜곡시키는 것은 몇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이중계상의 문제다. A국이 B국으로 중간재를 수출하고 B국이 중간재를 가공해 최종재를 C국으로 수출한다고 가정해 보자. 최종재 수출가격에 중간재 가치가 포함되므로 중간재 가치가 A국 수출과 B국 수출실적에 이중으로 반영된다.

또한 교역의 왜곡 현상이다. 2009년 중국은 미국에 아이폰을 수출하면서 총교역량 기준으로 19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아이폰 생산에 필요한 대부분의 부품을 다른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7300만달러 흑자에 불과하다.

서비스부문의 기여도가 과소평가되는 점도 문제다. 기존 무역 측정 방식은 운송, 물류, 금융 등 무역에 필수적인 서비스부문의 기여도가 과소 평가된다.


◆ "실제 부가가치에 따라 통상정책 재수립해야"

따라서 OECD와 WTO는 실제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무역규모를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통상정책을 재수립해야 왜곡된 무역현황을 바로 잡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보고서는 "부가가치 기준 적용시, 실제 생산된 부가가치에 따라 보다 정확한 교역 상황의 파악이 가능하다"면서 "교역상황의 재분석을 통해 실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통상정책을 새롭게 수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의 분화로 제품 생산의 국적이 곧 세계가 되는 'made in World' 시대가 도래한 것"이라며 "보호무역주의 정책은 글로벌 공급망의 흐름을 차단해 결국 자국의 부가가치 창출을 저해하는 요소로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더불어 수출에 있어 서비스 부문의 기여도가 더욱 높게 평가되기 때문에,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인 서비스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中, 3조 미국산 쇠고기 타국산 대체중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중 관세 전쟁으로 인해 중국 내 스테이크 레스토랑들이 미국산 쇠고기 대신 호주산 혹은 자국산으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중 양국의 관세 분쟁으로 인해 미국산 쇠고기 가격이 급등할 것을 전망하는 중국 내 레스토랑 업체들이 미국산 쇠고기 사용을 중단하고 있다고 중국 관영 환구시보가 22일 전했다. 이들 레스토랑은 호주산 쇠고기로 공급선을 전환하고 있다. 현재 미국은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은 맞불 관세 125%를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고 있다. 중국 내 미국산 쇠고기 재고는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수입되는 미국산 쇠고기 가격은 같은 등급의 호주산에 비해 50% 이상 비싸다. 미국산 쇠고기를 사용하던 중국 레스토랑들은 속속 미국산 사용을 포기하고 있다. 베이징의 유명 스테이크 체인인 번레이(本垒)는 "미국산 쇠고기를 사용해왔지만 이제는 호주산을 사용할 방침"이라며 "다음 달부터는 호주산 쇠고기와 소시지를 원자재로 구매해 사용할 예정이며, 돼지갈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미국산을 사용하지 않고 캐나다산을 사용할 방침"이라고 소개했다. 중국의 대형 마트 역시 미국산 소고기 판매를 감소시키고 있다. 기존의 재고가 소진되면 미국산 소고기를 더이상 판매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미국 쇠고기의 대중국 수출액은 20억 달러(2조 8500억 원)였다. 미국산 쇠고기는 중국 내에서 주로 호텔, 고급 레스토랑 등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높은 단가의 메뉴에 사용되어 왔다. 미국 쇠고기 수입분은 호주산, 중국산 제품으로 전량 대체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브라질산 쇠고기의 수입도 증가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워싱턴 이스턴 마킷 소고기 판매 매장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3.28 kongsikpark@newspim.com ys1744@newspim.com 2025-04-22 10:04
사진
이낙연 "개헌 연설, 뉴스핌TV 100만뷰"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낙연 전 국무총리가 22일 자신이 연설한 개헌연대 영상이 조회수 100만 돌파한 것을 언급하며 "많은 분들이 상식에 목말라 계시고, 상식에 위로받고 싶으셨던 것은 아닐까 짐작한다"고 밝혔다.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을 맡고 있는 이 전 총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유튜브 뉴스핌TV 영상을 게재하며 이같이 말했다. 해당 영상은 지난 17일 이 전 총리가 용산 전쟁기념관에서 '개헌연대 국민대회'를 열고 연설한 내용이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 2024.04.12 leehs@newspim.com 이 전 총리는 "유튜브 뉴스핌TV가 전한 저의 연설이 4일 만에 조회 100만을 돌파했다"며 "조회수 못지 않게 놀라운 것은 정성을 담은 2만여 개의 댓글"이라고 짚었다. 그는 "쇼츠가 사랑받는 시대에 30분 넘는 연설이, 기발하지도 않고 그냥 상식적인 말이 어떻게 이처럼 뜨거운 반향을 불러 일으켰는지, 어리둥절하다"며 "여러분의 마음을 더 잘 헤아리겠다"고 강조했다. 이 전 총리는 영상에 담긴 연설에서 "위기극복, 정치개혁, 사회통합에 뜻을 같이하는 세력이면 그 누구와도 협력하겠다"며 제3지대 연대를 시사했다. 이 전 총리는 "분명히 말씀드리는 것은 권력만을 위한 권력을 잡기 위해 또는 뺏기지 않기 위한 이합집산에는 관심이 없다"며 "외롭다고 아무나 손잡지 않겠다"고 했다. 이 전 총리는 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전 대표를 향해서는 "지난 3년 동안 (이재명 전 대표) 방탄 외에 국민을 위해 한 일이 무엇이냐"며 "억지방탄으로 보호받은 사람을 대통령으로 만들어서 최강의 방탄복을 입히면 대한민국의 법치주의는 어떻게 되고, 민주주의는 어떻게 되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ycy1486@newspim.com 2025-04-22 17:09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