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에서 상반기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12%넘게 증가해 1000만대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 판매량이 모두 두자리수의 높은 성장세를 보인 가운데 상반기에는 특히 중국 로컬 자동차의 약진세가 두드러졌다.
◇생산·판매량 증가, 수출량은 감소
11일 중국 매일경제신문(每日經濟新聞)은 중국자동차공업협회가 10일 발표한 통계를 인용, 올해 1~6월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12.34% 늘어난 1078만2200대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판매량 증가율도 전년 같은기간 보다 9.41%포인트 증가했다.
또한 같은 기간 자동차 생산량은 전년 동기대비 12.83% 늘어난 1075만1600대로 생산량 증가율도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8.75% 확대됐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특히 상반기 중국 국산 승용차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 눈길을 끌었다. 올 1~6월 중국 국산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13.2% 증가한 356만6700대로 승용차 전체 판매량의 41.2%에 달했다.
6월 자동차 생산량과 판매량은 각각 167만4200대, 175만4100대였다. 이는 각각 전년 동기대비 9.3%, 11.2% 늘어난 수치다.
그 중에서 승용차 생산과 판매는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각각 8.2%, 9.3% 증가해 전체 자동차 생산량 및 판매량 증가율 보다는 낮았다. 상용차의 6월 생산량과 판매량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14.4%, 19.5% 늘어나 승용차 보다 높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상반기 자동차 영업 호조세를 보인 상위 5개 로컬 업체는 상하이자동차(上汽), 둥펑(東風), 이치(一汽), 창안(長安), 베이치(北汽) 순으로 나타났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올해 자동차 산업 성장세가 매우 양호한 편이라며 1분기 생산과 판매 증가율이 모두 10%를 넘어선데 이어 4~6월 생산량 증가율은 각각 15.3%, 13.5%, 9.3%를 기록했다며, 증가폭이 다소 떨어지긴했지만 전체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반면 상반기 중국 자동차 수출량은 48만6800대로 전년 동기대비 0.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승용차 수출량이 전년 같은기간 보다 2.3% 늘어난 29만4300대로 집계됐지만, 상용차 수출이 전년보다 4.8% 줄어든 19만2500대에 그쳤기 때문이다.
중국 자동차 수출이 줄어든 상위 5개 국가는 이라크와 베네수엘라, 이란, 베트남, 터기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전했다.
둥양(董揚)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사무총장은 "5월 들어서부터 자동차 수출이 줄어들기 시작해 수출 감소세가 6월까지 지속됐다"며 "올해 중국 자동차 수출량이 100만대 가량으로 떨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 원인에 대해 둥양 사무총장은 세계 시장 침체 외에도 위안화 평가절상이 자동차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밖에 업계 전문가들은 상반기 중국 국산차의 시장 점유율이 많이 상승하긴 했지만 여전히 외국산 승용차와는 현저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구매제한 8개 도시로 확대시행 될 듯
한편 중국자동차공업협회는 당국이 실시하고 있는 자동차 구매제한 조치가 아직까지는 교통 질서와 환경을 개선하는데 큰 효과를 보이지 않고 있어 구매제한 시행 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 구매제한이 확대시행되면 중국 국산차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스젠화(師建華) 중국자동차공업협회 부사무총장은 "톈진(天津), 선전(深圳), 항저우(杭州), 스자좡(石家莊), 충칭(重慶), 칭다오(青島), 우한(武漢) 등 8개 도시로 자동차 구매제한이 확대 시행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구매제한 조치가 일단 시행되면 해당 지역 자동차 생산량이 25% 가량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체 자동차 판매량 중 40만대 정도가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렇듯 구매제한으로 감소된 자동차 판매량은 중국의 연간 자동차 판매 중 2%를 차지한다.
전문가들은 자동차가 사회소비재 총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이상일 뿐만 아니라 자동차 구매세와 소비세도 전체 세수의 3%를 차지하는 3000억 위안에 달하고 있어, 중국 내수 시장에서 자동차 소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구매제한 조치가 확대되면 국산차가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스젠화 부사무처장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에 구매제한 정책이 시행된 후 국산 승용차 시장 점유율이 50%가까이 떨어진 10%를 겨우 유지하고 있다"며 "이는 국산 승용차 중국 전체 점유율 32%에도 못 미치는 수치"라고 소개했다.
둥양 사무처장도 "구매제한 정책의 주요 규제 대상은 대기오염에 취약한 가솔린 차량으로 아직까지 가솔린 엔진 차량 위주인 중국 국산차에 큰 타격을 미칠 수 있다"며 "구매제한 보단 대중교통 시스템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헌차를 신차로 교체할 때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구환신(以舊換新) 정책 실시, 자동차 세수 시스템 개선 등 경제적 정책 수단을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