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석화 시멘트 3개업종 감축량 120만톤
[뉴스핌=홍승훈 기자] 정부가 2014년 온실가스를 1550만톤 감축키로 했다. 산업과 발전부문 감축량은 각각 320만톤, 123만톤 규모에 이른다.
2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에 이어 세 번째로 산업․발전부문 426개 관리업체에 대한 내년도 온실가스 및 에너지 감축목표를 설정해 통보했다.
산업부측은 기업의 투자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개별기업의 특성을 최대한 고려했으며 업체별 통보후 이의제기 절차를 통해 미반영 사항을 추가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내년도 예상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5억8300만톤CO2인 반면 배출허용량은 5억6700톤CO2로 업계 감축총량은 1550만톤CO2 규모로 잡혔다. 감축률은 2.66% 수준이다.
부문별 감축량을 보면 산업부문은 예상배출량(3억900만톤CO2), 배출허용량(3억500만톤CO2)으로 설정돼 감축량이 320만톤CO2규모이며 발전부문은 예상배출량(2억7500만톤CO2), 배출허용량(2억6200만톤CO2)으로 감축량은 1230만톤CO2 수준.
17개 업종중 온실가스 배출허용량이 1억톤CO2를 초과하는 발전과 철강이 각각 1, 2위를 차지했고 석유화학, 시멘트, 정유가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는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 상위 3개 업종의 감축규모가 120만톤CO2인데, 이는 산업부문 감축량(320만톤CO2)의 38%를 차지한다.

업체별로는 포스코, S-Oil 및 삼성전자 등 배출허용량 상위 10개 기업이 130만톤CO2를 감축해야 하는데 이는 산업부문 감축량의 39.9%에 달한다.
산업부 김호철 온실가스감축팀장은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량(320만톤CO2)은 전기차 187만대를 도입하는 효과와 동일하다"며 "발전부문은 1230만톤CO2의 온실가스를 감축, 50만KW급 화력발전소 4기 건설에 해당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기대효과를 설명했다.
또한 감축목표를 부여받은 관리업체는 목표를 부여받은 날로부터 30일이내에 이의신청이 가능하다.
한편 산업부는 2015년 이행실적을 평가해 미달성 업체에게 개선명령을 부과하고, 미이행시 최대 1000만원 과태료를 부과할 방침이다.
[뉴스핌 Newspim] 홍승훈 기자 (deerbear@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