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수혜 '일본주'…대만·중국 일부 취약
[편집자] 이 기사는 9월 16일 오후 2시 24분에 뉴스핌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뉴스핌=배효진 기자] 아시아 주요국 주식시장이 미국의 9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투자 전문가들이 수혜주와 비수혜주를 물색하고 있다. 금리인상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여전한 가운데, 이미 시장참가자들은 금리인상을 전제로 투자처 찾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16일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 금리인상에 대해 상반된 분위기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이 어렵다는 분위기가 강한 반면 채권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에 대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CME그룹의 페드워치에 의하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 투자자들은 9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 올릴 가능성을 25%로 보고 있다. 지난달 45%에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국채시장은 발빠른 대응이다. 15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2년 만기 미 국채는 장중 한때 0.778%까지 올랐다.(채권 가격 하락) 2년 만기 국채는 기준금리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기 채권이다.
이처럼 상반된 분위기 속에 투자자들은 아시아 증시에서도 일본 주식시장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꼽고 있다.
◆ 위너는 일본 기업들… 강달러·수익개선 기대
전문가들이 일본 증시를 투자처로 제시하는 배경에는 금리인상 이후 가팔라진 달러화 강세가 큰 폭의 엔화 약세를 유도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있다.
리오리엔트증권의 유위 파파트 애널리스트는 "달러화 강세는 엔화 가치를 낮추고 주식시장을 부양할 것"이라며 "달러화 강세로 원자재 디플레이션은 일본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이처럼 수입된 디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저조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경우, 일본은행이 내년까지 2% 물가 달성이라는 목표를 사수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게 만들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기업들의 수익이 개선될 여지가 큰 가운데 주식이 저렴한 수준에 거래되고 있는 것도 매력적인 요소다. 이는 연준이 양적완화를 시작한 2009년 이후 일본 기업들이 대규모 임금삭감 등을 통해 비대해진 몸집을 줄인 까닭이다.
크레디리요네의 니콜라스 스미스 일본 전략가는 "현재 일본 기업의 세전 이익마진률 평균은 6.5%이며 기업 대다수의 자기자본이익율(ROE)은 한 자릿수에 그친다"며 "기업들의 평균 손익분기점이 달러당 92엔이고 현재 달러/엔이 120엔 수준임을 감안하면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배당률이 높은 반면 주가순자산배율이 낮은 스미토모미쓰이파이낸셜그룹(종목코드:8316.JP)과 소니(6758.JP), 대형 주택 제조사 세키스이하우스(1928.JP), ABC마트(2670.JP), 대형 정보통신기업인 사이버에이전트(4751.JP)가 추천주로 제시됐다.
스미스 전략가는 아베 신조 내각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단행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일본정부가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히는 일본우정 산하 3개 업체를 오는 11월 4일 동시 상장키로 결정한 데 이어, 이달 말에서 다음 달 초 사이에 3조~5조엔 규모의 부양책이 발표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는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의 수혜를 볼 종목으로 대형 건축업체 오바야시(1802.JP)를 선정했다.
◆ 중화권 기업 주의보…달러화 표시 채무↑
이처럼 일본 기업들이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은 반면 중화권 기업들은 금리인상에 취약하다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는 중국 기업들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 규모가 여타 신흥국보다 가파르게 늘어난 영향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의하면 미국을 제외한 기업들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 규모는 지난해 9월말 기준 9조2000억달러다. 그 중 36%인 3조3000억달러가 신흥국 기업부채로 10년 전에 비해 3배가 늘었다. 특히 중국기업은 신흥국 기업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의 3분의 1수준인 1조1000억달러를 안고 있었다.
골드만삭스의 수닐 코울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론이 장기화된 가운데 중국이 지난달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서면서 달러화 부채에 대한 채무부담이 가중된 것은 물론 만기연장(차환) 비용도 올라갔다"며 "중국의 평가절하 조처로 자국 통화가 강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신흥 아시아 역시 큰 부담"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금리인상에 취약한 기업으로는 대만 위탁생산업체 위스트론(3231.TW)과 시틱텔레콤(1883.HK), 중국 최대 렌트카 업체 차이나오토렌탈(699.HK), 중국 최대 판지 제조업체 이문제지(2314.HK) 그리고 중국해양유전서비스(2883.HK)가 각각 지목됐다.
이 밖에 코울 애널리스트는 "외국인들이 대규모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태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역시 금리인상 이후 추가적인 자본유출이 발생하기 쉽다"며 "예년보다 부진한 투자가 경제성장의 걸림돌은 물론 자본유출에 대한 압력을 키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뉴스핌=배효진 기자] 아시아 주요국 주식시장이 미국의 9월 금리인상 가능성에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는 상황에서, 투자 전문가들이 수혜주와 비수혜주를 물색하고 있다. 금리인상을 둘러싼 갑론을박이 여전한 가운데, 이미 시장참가자들은 금리인상을 전제로 투자처 찾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이다.
16일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 금리인상에 대해 상반된 분위기다. 선물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이 어렵다는 분위기가 강한 반면 채권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에 대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CME그룹의 페드워치에 의하면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 투자자들은 9월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 올릴 가능성을 25%로 보고 있다. 지난달 45%에서 절반 가까이 줄었다.
반면 국채시장은 발빠른 대응이다. 15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2년 만기 미 국채는 장중 한때 0.778%까지 올랐다.(채권 가격 하락) 2년 만기 국채는 기준금리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단기 채권이다.
이처럼 상반된 분위기 속에 투자자들은 아시아 증시에서도 일본 주식시장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꼽고 있다.
◆ 위너는 일본 기업들… 강달러·수익개선 기대
전문가들이 일본 증시를 투자처로 제시하는 배경에는 금리인상 이후 가팔라진 달러화 강세가 큰 폭의 엔화 약세를 유도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있다.
리오리엔트증권의 유위 파파트 애널리스트는 "달러화 강세는 엔화 가치를 낮추고 주식시장을 부양할 것"이라며 "달러화 강세로 원자재 디플레이션은 일본기업들의 실적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가장 중요한 것은 이처럼 수입된 디플레이션으로 물가가 저조한 수준을 벗어나지 못할 경우, 일본은행이 내년까지 2% 물가 달성이라는 목표를 사수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게 만들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일본 기업들의 수익이 개선될 여지가 큰 가운데 주식이 저렴한 수준에 거래되고 있는 것도 매력적인 요소다. 이는 연준이 양적완화를 시작한 2009년 이후 일본 기업들이 대규모 임금삭감 등을 통해 비대해진 몸집을 줄인 까닭이다.
크레디리요네의 니콜라스 스미스 일본 전략가는 "현재 일본 기업의 세전 이익마진률 평균은 6.5%이며 기업 대다수의 자기자본이익율(ROE)은 한 자릿수에 그친다"며 "기업들의 평균 손익분기점이 달러당 92엔이고 현재 달러/엔이 120엔 수준임을 감안하면 수익성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스미토모미쓰이FG,소니,세키스이하우스,ABC마트,사이버에이전트,오바야시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 추이 <출처=구글파이낸스> |
스미스 전략가는 아베 신조 내각이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단행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일본정부가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히는 일본우정 산하 3개 업체를 오는 11월 4일 동시 상장키로 결정한 데 이어, 이달 말에서 다음 달 초 사이에 3조~5조엔 규모의 부양책이 발표될 수 있다는 판단이다.
그는 정부의 대규모 부양책의 수혜를 볼 종목으로 대형 건축업체 오바야시(1802.JP)를 선정했다.
◆ 중화권 기업 주의보…달러화 표시 채무↑
이처럼 일본 기업들이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 평가를 받은 반면 중화권 기업들은 금리인상에 취약하다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는 중국 기업들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 규모가 여타 신흥국보다 가파르게 늘어난 영향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의하면 미국을 제외한 기업들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 규모는 지난해 9월말 기준 9조2000억달러다. 그 중 36%인 3조3000억달러가 신흥국 기업부채로 10년 전에 비해 3배가 늘었다. 특히 중국기업은 신흥국 기업이 보유한 달러화 부채의 3분의 1수준인 1조1000억달러를 안고 있었다.
골드만삭스의 수닐 코울 애널리스트는 "미국의 연내 금리인상론이 장기화된 가운데 중국이 지난달 기습적인 위안화 평가절하에 나서면서 달러화 부채에 대한 채무부담이 가중된 것은 물론 만기연장(차환) 비용도 올라갔다"며 "중국의 평가절하 조처로 자국 통화가 강한 하락 압력을 받고 있는 신흥 아시아 역시 큰 부담"이라고 분석했다.
위스트론,시틱텔레콤,차이나오토렌탈,이문제지,중국해양유전서비스 연초 대비 주가 추이 <출처=구글파이낸스> |
이 밖에 코울 애널리스트는 "외국인들이 대규모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태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역시 금리인상 이후 추가적인 자본유출이 발생하기 쉽다"며 "예년보다 부진한 투자가 경제성장의 걸림돌은 물론 자본유출에 대한 압력을 키우고 있다"고 진단했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