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속보

더보기

130년 전 마차로 시작한 벤츠, 자동차의 역사가 되다

기사입력 : 2016년01월29일 11:11

최종수정 : 2016년01월29일 11:15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국내엔 1987년 구형 S클래스 수입되며 인연 시작

[뉴스핌=송주오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첫 자동차를 개발한 지 올해로 130년을 맞이했다. 130년 전 현재의 자동차의 모태가 된 모터 구동식 마차를 시작으로 최첨단 장비가 탑재된 차량까지 벤츠는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로써의 역할을 지켜왔다.

1886년 칼 벤츠와 벤츠 페이턴트 모터 카.<사진=벤츠코리아>

국내엔 1987년 최고급 모델인 SEL 차량이 수입·판매되며 인연을 시작해 지난해 4만6000여대를 판매하는 등 수입차 시장을 이끌고 있다.

벤츠코리아는 130년 전인 1886년 1월 29일 메르세데스-벤츠의 창립자인 칼 벤츠가 첫 자동차 ‘가스-동력 차량(gas-powered vehicle)‘의 특허를 신청한 날이라고 29일 밝혔다. 같은 해 고틀립 다임러(Gottlieb Daimler)가 모터 구동식 마차(motorised carriage)를 개발했다.

칼 벤츠는 베를린에 위치한 독일 임페리얼 특허 사무소(German Imperial Patent Office)에 자신이 개발한 가스-동력 차량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 이 문서의 번호는 DRP 37435로 지난 201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기록에 선정됐다. 역사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칼 벤츠는 1885년 특별히 설계된 섀시에 가로로 고속 1-실린더 4-스트로크 엔진(954cc 배기량, 400rpm, 0.55 kW/0.75 hp)을 장착했다. 최고 속도는 16km/h이었다. 세 바퀴의 페이턴트 모터 카는 내연 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으로 스스로 움직이는 독립적인 차량이다. 회사 측은 “진정한 의미의 세계 최초 차량이다”고 설명했다.

이후 1886년 페이턴트 모터 카를 개발해 대중에 선보였다. 벤츠의 자동차가 대중에 알려진 계기는 자못 흥미롭다. 벤츠는 1888년 향상된 Model III 페이턴트 모터카를 출시, 독일 만하임에서 포르츠하임까지 왕복 200km 주행에 성공하며 일상 생활에서의 실용성을 입증했다.

1886년 소개된 페이턴트 모터 카.<사진=벤츠코리아>

이 주행은 벤츠에서 추진한 게 아니었다. 칼 벤츠의 아내인 베르타 벤츠가 두 아들 오이겐(Eugen), 리하르트(Richard)를 태우고 직접 운전에 나섰다. 이는 자동차의 첫 장거리 왕복 주행으로 자동차가 어떻게 응용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시연을 보여줬다. 해당 내용은 벤츠(Carl Benz)의 특허 신청서 내용 중 "승객 1-4명의 수송을 위한 마차의 작동"에 설명된 내용에 포함돼 있다.

이렇게 시작된 벤츠의 역사는 최상위 모델인 S클래스부터 엔트리급인 A클래스까지로 이어졌고 고성능 모델인 AMG 시리즈로 확장됐다. 또 자율주행차를 시연하는 등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 역할도 하고 있다.

◆·국내와 인연 1987년 S클래스로 시작
국내엔 1987년에 처음으로 소개됐다. 벤츠의 최상위 모델인 S클래스 300 SEL을 수입해 판매했다. 당시엔 현재와 같은 공식 판매 법인이 없었다. 수입업자를 통해 국내 시장에 진출한 것이다.

공식 법인인 벤츠코리아는 2003년 설립됐다. 첫 인연을 맺은 지 16년만에 공식 판매에 나섰다. 벤츠코리아 설립 이후 벤츠의 판매량은 급속히 늘었다. 2003년 3124대에 불과했던 판매량은 2008년 7230대로 2배 이상 성장했다.

1987년 국내에 수입돼 판매된 벤츠 300 SEL.<사진=벤츠코리아>

2010년엔 1만6115대로 1만대를 돌파했다. 특히 전 해인 2009년(8915대)과 비교해 2배 이상 성장했다. 2012년엔 2만대를 넘겼으며 2014년엔 3만대 돌파, 지난해엔 4만대 고지를 밟았다. 올해는 5만대 이상 판매를 목표로 설정했다.

벤츠코리아의 실적은 고급 모델인 S클래스와 E클래스가 이끌었다. 두 모델은 각각 지난해 1만 228대, 1만9660대의 판매고를 올렸다. 특히 S클래스는 2014년(4630대) 대비 120%나 증가해 국내 플래그십 시장의 핵심 모델로 자리 잡았다.

매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하고 있지만 인색한 사회공헌활동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벤츠코리아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1조3605억원에서 2014년 2조2045억원으로 커졌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423억원에서 1221억원으로 3배 가량 증가, 1600억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2014년과 2015년 사회공헌활동에 투입한 재원은 총 36억원에 불과하다. 수입차 시장 1위를 두고 경쟁을 펼치고 있는 BMW코리아가 비영리 법인 BMW코리아 미래재단을 설립해 적극적으로 사회공헌활동에 나서는 것과 비교되는 이유다.

2014년 사회공헌활동에 12억원을 사용한 벤츠코리아는 주주배당으로 484억원을 책정했다. 벤츠코리아의 주주는 독일 다임러AG(51%)와 홍콩 레이싱홍그룹의 국내 투자회사 스타오토홀딩스(49%)다. 국내에서 벌어서 해외로 빼돌린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업계 관계자는 "벤츠코리아가 다양한 라인업 출시로 국내 자동차 시장을 풍성하게 했다"면서도 "벌어들인 수익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사회공헌에 대해서는 개선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벤츠코리아의 인기 모델인 S클래스(왼쪽)와 E클래스(오른쪽).<사진=벤츠코리아>

[뉴스핌 Newspim] 송주오 기자 (juoh85@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자사주 1년내 소각 의무화' 연내 마무리"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더불어민주당은 자사주를 취득일로부터 1년 내 소각하도록 하는 내용의 3차 상법 개정안을 연내 마무리하겠다고 25일 밝혔다.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더 건강한 자본 시장을 위해 3차 상법 개정안이 조속히 논의되고 시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정애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사진=뉴스핌DB] 한 정책위의장은 "주주 충실 의무 명문화, 집중투표제 의무화에 이은 자사주 소각 의무를 담은 3차 상법 개정안을 연내에 마무리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간 자사주가 특정 주주의 이익을 위해서 이용되는 나쁜 사례가 많았다"며 "상법 개정을 통해 자사주의 성격을 명확히 규정하고 자사주 마법을 우리 자본시장에서 퇴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3차 상법 개정안은 회사가 자기 주식을 취득하는 경우 취득일로부터 1년 내 소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임직원 보상 목적 등 일정 요건에 해당할 때는 '자기주식 보유·처분 계획'을 작성해 주주총회 승인을 통해 보유 또는 처분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자사주에 대해선 신규 취득 자사주와 동일한 의무를 부여하되 법 시행 후 6개월의 추가 유예 기간을 두기로 했다. 전날 민주당 코스피 5000 특위 위원장인 오기형 의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한 정책위의장도 공동 발의자에 이름을 올렸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11-25 10:12
사진
공무원, 부당 명령 거부 근거 신설 [세종=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앞으로 공무원이 상사의 위법한 명령을 거부할 수 있는 근거와 절차가 마련된다. 그동안 공무원은 상사의 직무상 명령에 복종의무만 있었을 뿐, 위법한 명령에 대한 불복 근거가 미비했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공무원법' 개정안을 다음 달 22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는 공무원의 근무 여건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내용이 포함됐다. [그림=챗GPT] 2025.11.25 lahbj11@newspim.com 먼저 소속 상사의 위법한 직무상 명령에 대해서는 따르지 않을 수 있도록 하고, 위법한 지휘·감독에 대한 의견 제시나 이행거부를 한 공무원에게 불이익한 처분이나 대우를 금지한다. 그동안 공무원은 직무 수행 시 소속 상사의 직무상 명령에 복종해야 했지만, 위법한 명령일 경우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 개정안을 통해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자녀의 연령과 학령이 상향된다. 기존 육아휴직 대상 자녀의 나이 기준은 만 8세(초등학교 2학년)까지였으나, 앞으로는 만 12세(초등학교 6학년)까지로 확대된다. 불임·난임치료를 위한 난임휴직 근거도 신설된다. 현행법상 난임치료를 위해서는 질병휴직을 활용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별도 청원휴직 사유로 신설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허용할 예정이다. 기간은 질병휴직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스토킹·음란물 유포 비위 피해자의 알 권리가 강화된다. 기존 성비위뿐만 아니라 피해자가 가해자의 징계처분 결과를 요청하는 경우 통보를 의무화한다. 징계 실효성 확보를 위해 성비위와 동일하게 징계시효를 3년에서 10년으로 확대한다. 개정안은 관보와 국민참여입법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입법예고 기간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우편·팩스·국민참여입법센터 등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윤호중 장관은 "공무원이 상사의 위법한 명령에는 이의를 제기하고 불복할 수 있도록 법률상 규정을 명확히 함으로써 국민과 국익을 먼저 생각하는 공직사회를 조성하는 데 이바지해 나갈 것"이라며 "또한 육아친화적 근무여건 조성 등 지방공무원의 처우가 개선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lahbj11@newspim.com 2025-11-25 12: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