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 "유엔 등 7개국 3400만달러 지원"
[뉴스핌=이영태 기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이 영양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60%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30일 보도했다.
![]() |
2012년 10월 25일 대북 인도적 지원 단체 55곳의 모임인 대북협력 민간단체 협의회 차량들이 북한에 수해 지원 물품 2차분 전달을 위해 경기 파주시 남북출입사무소를 통해 출경하고 있다.<사진=뉴시스> |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에 따르면 올 1∼6월 국제사회는 북한에 3400만 달러 상당의 인도주의 지원을 해 지난해 상반기의 2131만 달러에 비해 60% 가량 증가했다. 지난 한 해 1년간 대북지원 금액보다도 100만달러 늘었다.
지원국 수도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유엔과 6개국이 지원을 한 반면, 올해는 유엔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해 7개국이 지원에 참여했다. 지난해 대북지원 국가인 스위스와 스웨덴, 프랑스, 캐나다는 올해도 지원을 계속했다.
인도와 러시아는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각각100만 달러와 3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액수로는 스위스가 약 920만달러로 가장 많았다. 스위스는 WFP를 통해 북한에 분유를 전달하고 있다. 한국은 올 들어 지원을 중단했다.
스위스에 이어 유엔과 EU가 각각 800만달러와 360만달러를 지원했다. 유엔의 지원규모는 지난해 200만달러보다 4배 증가했다.
올 상반기 국제사회의 대북 지원 가운데 비중이 가장 큰 것은 영양지원 사업으로 전체의 70%인 2400만달러를 차지했다. 이어 보건사업에 475만달러, 식수위생 사업에 180만달러가 각각 지원됐다.
[뉴스핌 Newspim] 이영태 기자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