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인기검색어로 본 금주중국] 대륙 최고 갑부 왕젠린, 화웨이 자동차 사업 진출?, 발연기 1위 크리스

기사입력 : 2016년10월14일 17:23

최종수정 : 2016년10월14일 17:23

[뉴스핌=이지연 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10월9일~10월 14일) 14억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중국 최고의 갑부는? 국민남편 왕쓰충 아빠 ‘왕젠린’

수많은 대륙 부자 중 최고의 ‘슈퍼리치’는 누굴까?

중국판 포브스 후룬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2016 중국 부자 랭킹’에 따르면 완다그룹 왕젠린(王健林) 회장 일가는 재산 2150억위안(약 36조2000억원)으로 중국 최고의 갑부에 올랐다. 벌써 세 번째 1위다.

왕 회장의 아들은 중국 재계 최고의 왕훙(網紅, 인터넷 스타) 왕쓰충(王思聰) 프로메테우스캐피탈 대표이사로, 개인 재산만 60억위안(약 1조110억원)에 달한다고 한다.

대륙 부자 2위는 마윈 알리바바 회장 일가가 차지했다. 알리바바는 티몰, 타오바오를 보유한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마 회장 일가의 재산은 작년보다 41% 불어난 2050억위안(약 34조5300억원)에 달했다.

한 중국 네티즌은 “광군제(11월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이후로 부자 순위를 매겼으면 마윈이 1위로 올라섰을 텐데”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온라인 게임과 위챗·QQ로 유명한 텐센트의 마화텅 회장은 재산 1650억위안(약 27조8000억원)으로 대륙 부자 3위에 올랐다.

가장 의외의 부자는 지난해 204위에서 올해 4위까지 순위가 껑충 뛴 야오전화(姚振華) 바오넝(寶能) 투자그룹 회장이었다. 야오 회장은 초대형 부동산 기업 완커(萬科)를 인수키 위해 매우 공격적으로 완커의 지분을 매수하고 있다. 작년 말 기준 그가 보유한 완커의 지분은 18.3%에 달했는데, 이를 환산하면 1150억위안 가량에 달한다. 

한편 후룬연구원에 따르면 재산 20억위안(약 3370억원) 이상의 대륙 부자는 작년보다 179명 늘어난 2056명이다. 지역별로는 광둥성 출신 기업인(406명)이 가장 많았고, 베이징은 342명으로 뒤를 이었다. 저장성 출신 기업인(278명)은 3위를 차지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부패한 관료들의 은폐된 재산이 드러나면 여기서 몇 등을 차지할까?”, “10위안만 주세요, 양꼬치 좀 사먹게요”, “왕쓰충은 하루에 1억위안씩 써도 돈이 남네”, “광둥성 차오산(潮汕) 출신 부자들이 많네, 나도 여기로 이사갈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중국 스마트폰 1위 화웨이, 자동차 사업 진출 루머 해프닝

중국 최대 스마트폰 기업 화웨이가 자동차 제조업에 뛰어든다는 소문이 중국 경제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다.  화웨이는 일단 성명을 발표해 해당 소문을 부인했다.  

중국의 많은 매체들은 화웨이가 최근 북미 최대 자동차 부품기업 마그나(Magna)와 손을 잡고 자동차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 소식을 접한 중국 네티즌들은 “화웨이 응원한다”, “정말 최고다”, “화웨이가 자동차를 만들면 분명 프리미엄 세단 같은 고급차겠지?”, “화웨이는 스마트폰도 양심적으로 만들었으니 화웨이 자동차가 나오면 꼭 살거다”라며 응원의 메시지를 보냈다.

물론 “이건 좀 아니라고 본다”, “러스왕이 화웨이를 버려놨어” 등 부정적인 시선도 존재했다. 러스왕(樂視網)은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시장에도 진출했다.

이 같은 폭발적인 반응에 놀란 화웨이는 13일 저녁 성명을 통해 “우리는 자동차 제조업에 진출할 계획이 없다”고 못을 박았다.

다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으로서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위해 계속해서 IoV(Internet Of Vehicle)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웨이는 앞서 2014년부터 커넥티드카(네트워크 연결 자동차) 솔루션 사업에 진출, 여러 국내외 자동차 업체와 협력하고 있다.

한편 화웨이가 자동차 제조업 진출설을 부인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네티즌들은 이를 믿지 않는 분위기다. 실제로 관련 기사 댓글창에는 “중국은 늘 소문을 부인한 뒤에 타이밍을 노렸다가 일을 추진한다. 세계 평화를 위해서라나 뭐라나”, “오, 소문을 부인했으니 곧 자동차를 만들겠군” 등의 댓글들이 달려있다.

◆ 수영 국가대표 쑨양, 본인 사생아 스캔들 게시물에 ‘좋아요’ 꾹~

중국 수영 국가대표 쑨양과 전여친 리옌녠이 사생아 스캔들에 휘말렸다. <사진=바이두>

중국 수영 국가대표 쑨양이 사생아 스캔들에 휘말린 가운데 본인의 스캔들 관련 웨이보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러 일파만파 파장이 일고 있다.

현지 매체들은 최근 쑨양에게 전 여자친구인 리잉녠(李瑩念)과의 사이에서 낳은 두 살배기 아들이 있다고 전했다. 쑨양은 이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이러한 상황에서 쑨양이 자신의 사생아 스캔들을 정리한 웨이보 게시물에 ‘좋아요’를 눌렀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14일 현재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서 ‘쑨양 좋아요’가 1위를 달리고 있다.

대부분의 중국 네티즌들은 “쑨양은 예전에도 안티팬 댓글에 좋아요를 누른 적이 있다. 이번에도 실수로 눌렀을 것”, “본인(쑨양)도 당황했을 듯”, “쑨양이 사생아가 있든 없든 당신들이랑 무슨 상관인데?”, “쑨양 좀 가만히 내비둡시다” 등의 댓글을 달며 중국에 금메달을 안겨준 쑨양을 적극 옹호하고 있다.

◆ 발연기 1위, 前EXO 멤버 크리스

‘연기 최악의 연예인 순위’가 이번주 중국의 각종 인터넷 사이트 및 SNS를 뜨겁게 달궜다.

이 불명예 전당 1위에 오른 주인공은 인기 아이돌 그룹 EXO를 탈퇴한 우이판(크리스)이 차지해 네티즌들의 조롱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추천 수 300개 이상을 받은 한 네티즌은 “우이판은 연기도 거지 같은데 출연료는 왜 1억위안(약 168억원)이 넘는 거지? 대체 왜?”라며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발연기 배우 1위에 꼽힌 우이판(구 크리스). 어딘가를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다. <사진=바이두>

연기 못 하는 배우 2위는 인기 아이돌 그룹 F(x) 멤버 빅토리아가 차지했다. 빅토리아는 최근 ‘내 남자친구의 결혼식’, ‘엽기적인 그녀2’ 등에 출연하며 중국에서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치고 있다.

발연기 3~10위는 ▲천쉐둥 ▲오우양나나 ▲탕옌 ▲가오웨이광 ▲양즈강 ▲양잉 ▲징톈 ▲양미로 나타났다.

한 중국 네티즌은 “제작사가 얼굴과 인기만 보고 배우를 캐스팅하니 연기파 배우가 손에 꼽을 지경”이라며 자본주의에 물든 중국 연예계의 현실에 씁쓸해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