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회장, '트럼프 측근' 에드윈 퓰너 美 회장 만나 평창올림픽 강조
美 통상압박 강화에 '우려'…퓰너 회장 "미국 '유일' 아닌 '우선'일뿐"
[뉴스핌=유수진 기자]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에드윈 퓰너 미국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과 만나 다음달 열리는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관련, 민간 외교 차원의 의견을 교환했다.
![]()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26일 저녁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에드윈 퓰너 미 헤리티지재단 회장을 만나 한미간 경제교류 및 한반도 상황 등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사진=한화> |
28일 한화그룹에 따르면 김 회장과 퓰너 회장은 지난 26일 오후 7시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만나 2시간동안 만찬을 하며 평창올림픽과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등 다양한 주제로 환담했다.
김 회장은 퓰너 회장에게 "평창 동계올림픽은 국민적 염원이 담긴 국가적 행사로, 성공적 개최는 물론 남북한 화해의 장으로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화그룹도 물심양면 후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퓰너 회장은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평화적 개최는 최근 한반도 군사적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는, 매우 긍정적인 시그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날 두 사람은 미국 정부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등 통상압박 강화, 한·미FTA 재협상 등에 대해 논의하며 양국의 무역과 경제를 위한 상생 방안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김 회장이 "세계적으로 자유무역주의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한국 산업계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고 우려를 표하자, 퓰너 회장은 "현 상황은 미국 우선(America First)일 뿐 미국 유일(America Only)은 아니다"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의견과 입장을 설명했다.
퓰너 회장은 지난 1973년 미국의 정책연구기관인 헤리티지 재단 설립에 참여한 후 2013년까지 총재를 역임한 인물로, 대표적인 친한파 인사이기도 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권 인수위원으로 활동했고, 올해 헤리티지재단 총재에서 아시아연구센터 회장으로 복귀하면서 향후 트럼프 행정부 내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은 퓰너 회장과 30여년 이상 한미현안 및 국제경제·정치질서 등에 대한 논의와 민간외교차원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유수진 기자 (us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