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기업

속보

더보기

중국 반도체산업의 3대 강점, 4대 과제와 3대 기회

기사입력 : 2018년08월31일 10:51

최종수정 : 2018년09월07일 13:56

중국, 세계에서 가장 빠른 반도체 산업 성장 보여
미중 무역전쟁, 반도체 무역적자, 전문인력 부족은 해결 과제

[편집자] 이 기사는 8월 30일 오후 2시18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서울=뉴스핌] 백진규 기자 = 중국이 ‘4차산업의 두뇌’로 꼽히는 반도체 산업에 대한 대대적인 지원 육성을 통해 반도체 굴기에 시동을 걸고 있다. 중국 반도체 산업은 어느 분야보다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관련 기업 경쟁력도 꾸준히 향상되고 있다. 다만 당분간 지속될 반도체 무역적자와 전문인력 부족은 중국 반도체 산업의 시급한 해결 과제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난 10년간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둔 것은 사실이나, 아직은 갈 길이 멀다”고 중국 반도체의 현 상황을 진단했다.

중국 반도체 이미지 [캡쳐=바이두]

◆ 3대 강점: 빠른 성장, 균형 발전, 기업 경쟁력 강화

첫째, 중국은 전 세계에서 반도체 산업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다.

중국반도체산업협회(CSIA)에 따르면, 2007~2017년까지 10년간 중국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15.8%씩 성장해 세계 평균(6.8%)보다 2배 이상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해 중국 반도체 시장 규모는 전년비 17.5% 확대된 1조66709억위안을 기록했고, 중국은 반도체 무역이 가장 활발한 국가로 꼽히고 있다.

둘째, 반도체 산업 구조가 다양화하면서 균형 발전하고 있다.

지난 2008년 기준 중국 반도체 산업은 패키징 매출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한 반면, 반도체 설계 매출은 20%를 밑도는 불균형적인 모습이었다.

그러나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 반도체 매출은 ▲반도체 설계 38% ▲반도체 제조 27% ▲반도체 패키징 35%로 안정적인 산업 구조를 이루고 있다. 3대 분야별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도 모두 전년비 20%를 웃도는 상황이다.

셋째, 기업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

중국 본토 반도체 기업 10개가 ‘2017년 세계 50강 반도체 기업’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중신궈지(中芯國際, SMIC)의 경우 매출액 31억달러로 글로벌 시장점유율 5.4%를 기록하며 5대 반도체 파운드리 업체로 성장했고, 창뎬커지(長電科技)는 세계 3대 패키징·테스트 업체로 부상했다. 그 외에도 칭화유니그룹(紫光集團) 화웨이하이쓰(華為海思, Hisilicon) 등이 중국 대표 반도체 기업으로 꼽힌다.

◆ 4대 과제: 반도체 적자, 미중 무역전쟁, 기술 격차, 전문인력 부족

첫째, 중국 국내수요 확대로 인해 반도체 무역적자가 확대되고 있다.

2017년 중국의 반도체 수입액은 2601억달에 달한 반면 수출액은 669억달러에 그쳐 1932억달러의 반도체 적자가 발생했다. 또한 올해 1~5 반도체 수입액은 전년비 37% 증가하고 수출액은 34% 증가해 무역 적자가 더욱 커지는 모습이다.

이에 중국 국가반도체투자기금의 딩원우(丁文武) 총재는 “중국 반도체 산업이 고속 성장하고 있다고 하나, 여전히 중국의 해외 반도체 의존도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둘째, 미중 무역전쟁으로 반도체 공급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올해 반도체 산업의 가장 큰 리스크로 미중 무역전쟁 지속을 꼽았다. 특히 반도체 수입이 많은 중국 입장에서는 공급망이 불안정해지면서 반도체 가격이 오르고, 산업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통신장비업체 중싱(ZTE)은 올해 미국에 10억달러의 벌금을 내고 일부 경영진을 교체한 끝에 겨우 경영을 정상화 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 상무부는 8월 1일 ‘국가안보 위협’을 근거로 44개 중국 기업과 연구소에 핵심부품 수출 통제 조치를 내린 상태다.

또한 미국의 제재로 인해 중국 반도체 기업의 외국 인수합병(M&A) 및 기술투자도 둔화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지난 2016년 칭화유니그룹이 미국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인수를 시도했다가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의 결정으로 거래가 무산됐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미국의 산업 정책에 중국 반도체 업계가 흔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셋째, 세계 1류 반도체 국가 및 기업과의 기술력 격차가 여전히 크다.

IC설계 분야에서 중국의 시장 점유율은 10%대까지 늘어났으나, 퀄컴 브로드컴 미디어텍 등 미국 싱가포르 대만 기업과 진검승부를 펼치기는 힘든 상황이라고 전문가들은 밝혔다.

또한 메모리 분야에서는 삼성전자가 5세대(96단) 3D 낸드플래시 양산을 시작했으나, 중국 대표기업 창장춘추(長江存儲)는 아직 32단 낸드플래시도 양산하지 못하고 있다.

그 외에도 ▲패키징 ▲소재 개발 ▲아날로그 반도체 ▲관련 소프트웨어 등 분야에서 기술력이 뒤쳐지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넷째, 반도체 전문 인력 부족이 지속되고 있다.

천쥔닝(陳軍寧) 중국과기대 교수는 한 반도체 포럼에서 “반도체 전문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에 다다랐다”며 인재 양성 시스템 미비와 관련 투자 부족을 토로했다. 현재 중국의 반도체 산업 종사자는 30만명이나, 오는 2030년에는 90만명(박사 이상 4만5000명 포함)이 필요한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중국 과학기술부(CCID) 관계자는 ‘비싸고(貴), 어렵고(难), 적다(少)’고 반도체 인력난을 표현한 뒤 “반도체를 둘러싼 화학 전기 소재 광학 자동화 등 학문을 종합적으로 익힐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 3대 기회: 풍부한 자본력, 인공지능, 5G

첫째, 풍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민관협력이 기대된다.

지난 2014년 중국 당국은 1390억위안(약 23조원) 규모의 반도체투자펀드를 조성했고, 올해 5월엔 1500억위안 규모의 2차 펀드를 추가 모집했다. 당국은 앞으로도 3000억위안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반도체 산업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베이징 상하이 난징 푸젠 등 주요 도시들도 각각 200~500억위안 규모의 자체적인 반도체 기금을 조성해 낮은 이자로 기업들에 대출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중국은 올해 AI 반도체 개발 프로젝트 ‘차이나 칩(中國芯, China Chip)’을 가동하고 오는 2030년까지 AI 반도체 분야 세계 1위로 부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해 10월부터 중국 과학원은 관련 연구원 모집을 시작하고, 구글의 데이터 처리 전문가로 근무한 탕허(唐鶴) 박사 등 전문 인력을 유치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세계 인공지능 시장 규모가 2020년 1200억달러로 확대될 것이며, 그중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15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중국은 빅데이터 활용 및 AI 상업화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어 관련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관계자들은 밝혔다.

셋째, 5G 통신 강국으로 도약하면서 반도체 산업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중국은 5세대 이동통신(5G) 분야에서 한국 미국과 주도권 경쟁을 벌이고 있다. 통신설비 분야에서 화웨이를 필두로 중싱(ZTE)등 중국 기업들이 노키아 에릭슨 등 기존 강자를 제치며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상황이다.

중국 데이터통신연구원(CAICT)은 오는 2030년까지 5G산업이 중국 GDP를 6조3000억위안 증가시킬 것이며, 80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원은 기존 통신 반도체 시스템에서 네트워크기술(SDN/NFV)관련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면서 5G 반도체 산업도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공지능, 5G와 결합한 사물인터넷(IoT) 산업 발전도 반도체 산업 발전 기회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오는 2030년까지 중국 5G 반도체 시장이 90억달러로 성장하면서, 3대 통신사와 반도체 기업의 협력도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bjgchina@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윗집 발망치 소리, 내년부터 끝" [세종=뉴스핌]김정태 건설부동산 전문기자= 지난 21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주택성능연구개발센터(HERI). 세종시에 위치한 이곳에는 주택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여러 시험동이 있지만, 5층짜리 실제 아파트 건물 한 동이 눈에 들어왔다. 출입구 한켠에는 'db35lab(데시벨 35 랩)'이란 영문과 숫자 표기가 부착돼 있었다. 아파트 1층 내부에 들어가야 이 표기의 의미를 알게 됐다. 이는 LH가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보다 낮은, 도서관처럼 조용한 집으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은 층간소음기술연구소의 시험동 이름이다. 층간소음 등급별 시연 모습 [사진=국토부기자단 공동] 거실에 설치된 대형 모니터 화면에는 2층의 층간소음을 일으킬 수 있는 런닝머신, 책상과 의자, 공 등의 도구들이 보였다. 우선 화면을 통해 윗층에서 아래층에 전달되는 성인의 발걸음 소리를 들려줬다. 말 그대로 '발망치' 소리였다. 들려오는 소음은 49데시벨로 4등급 수준이다. 층간소음의 기준이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2005년 전에 지어진 공동주택의 경우 일부에서 이러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중량충격음이다. 이번에는 실제로 윗층에서 걷는 소리를 듣는 순서였는데, 귀를 쫑긋 세우지 않고서는 소음을 느끼기 어려웠다. 미세한 진동음이 들리긴 했지만, 불편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어 1m 높이에서 3kg 무게의 공을 떨어뜨리는 실험도 시연됐다. 이는 아이들이 뛰어다니는 중량충격음으로, 역시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운 소음과 진동이 느껴지지만, 이곳의 실제 시연에서는 역시 진동음이 확 줄었다. 의자 끄는 소리는 비교적 가볍고 딱딱한 충격음이어서 경량충격음이라고 하는데 4등급 수준에서는 참기 어려울 정도로 불편했지만, 실제 시연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로 충격음이 전달되지 않았다. 이처럼 층간소음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데는 1등급 기준인 37데시벨에 맞춘 성능으로 시공된 바닥 때문이었다. 기존 슬래브 두께보다 두꺼운 250mm로 시공하고, 그 위에 40mm 복합완충재와 30mm 고밀도몰탈 및 와이어 메쉬 등을 함께 깔아 놓은 바닥재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기술은 2023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나, 슬래브 두께는 210mm로 상대적으로 얇고 낮은 등급의 완충재와 일반 몰탈을 적용해 3등급 수준에 머물렀으나, 이를 매년 개선해 온 결과 올해 1등급 기준을 충족하게 됐다. LH는 이러한 기술 개발을 실험동 연구에 그치지 않고, LH 공동주택 각 현장에 실증 시공을 하면서 실증 결과 데이터를 쌓아왔다. LH가 층간소음 저감기술을 처음으로 적용한 단지는 양주회천 A15블록으로, 당시 3등급 수준이었으나 지난해에는 평택고덕 ab57-2블록에 2등급 수준으로 끌어 올려 적용했다. LH 연구원 관계자는 "이 같은 1등급 기준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부터 지속적으로 관련 기술과 공법을 연구해 왔다"면서 "47개의 기술 모델 개발과 총 1347회에 걸친 실증을 거쳐 자체 1등급 기술 모델을 정립해 내년부터 주택 설계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같은 1등급 기준 설계로 분양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기존 공동주택 24평형(전용면적 59㎡) 기준으로 가구당 300만~400만 원의 공사비가 더 소요되는 것으로 LH는 추정하고 있다. 정운섭 LH 스마트건설본부장은 "층간소음 1등급 설계 적용 때문에 수분양자의 분양가 상승 부담으로 돌아가지 않도록 자체 원가절감과 함께 정부 재정 지원을 요청한 상태"라면서 "지속적인 기술 개발로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인 슬래브 두께를 슬림화하면서도 1등급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층간소음감지기를 통해 경고 알람이 뜨는 월패드 시연 장면 [사진=국토교통부기자단 공동] 층간소음 1등급 설계는 새로 짓는 공동주택에서만 가능하다. 때문에 구축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기 어렵다. LH는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층간소음 감지기를 IT업체와 협력해 개발 중이다. 바닥에 여러 차례 충격을 줄 경우, 층간소음 감지기의 센서가 작동해 해당 세대 월패드를 통해 주의를 당부하는 알람이 뜨도록 하는 장치다. 정승호 LH 스마트주택기술처 팀장은 "구조적으로 층간소음을 줄일 수는 없겠지만,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기준을 해당 세대에게 알림으로써 아래층 이웃과의 분쟁을 줄일 수 있도록 고안한 장치"라고 말했다. 실제 이날 시연은 기존 공동주택에 적은 비용으로도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팸투어에 참여한 국토교통부 기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층간소음 1등급 바닥구조 [사진=뉴스핌DB] LH는 바닥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에 국한하지 않고, 옆 세대와의 벽간소음, 화장실 배관 소음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생활소음 저감 방안도 마련하고 있다. 벽간소음을 저감하는 소음 차단 성능 1등급 벽체 구조는 2019년 11월부터 이미 설계에 반영한 바 있다. 내년부터는 화장실 배관이 아래층을 통하지 않고 각 세대 내에서 설치되는 자체 배관을 적용해 배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또 내구성이 좋은 장수명 주택, 수요자의 취향에 맞게 가변형 평면 구성이 가능한 라멘 구조 주택, 레고처럼 조립·건설하는 모듈러 주택 등 주택 건설의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는 주택 유형에도 층간소음 1등급 접목 방안을 모색해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LH는 층간소음 저감 기술 저변을 민간으로 확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우선, 민간의 고성능 신기술을 발굴하고, 다양한 1등급 기술 요소의 시장화를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올해에는 층간소음 기술 마켓을 통해 6개의 고성능 기술을 발굴했으며 LH 공공주택 현장에서 그 성능을 검증해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LH는 층간소음 1등급 적용 확산을 위해 db35lab을 내년 3월부터 전면 개방하기로 했다. 자체 층간소음 시험 시설이 없는 중소기업에 데시벨 35랩을 테스트베드로 제공해 기술 개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LH는 또 그간 개발해 온 층간소음 저감 기술 요소와 시공법, 실증 결과를 중소 민간 건설사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더불어 자체 기술 개발과 층간소음 저감 시공·품질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건설사들에 대한 기술 지원도 아끼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날 이한준 LH 사장은 "2년 전 취임 당시 제일 먼저 강조한 게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약속한 것이었다"면서 "내년부터는 LH가 짓는 모든 아파트에 1등급 기준을 적용해 국민 일상의 생활 고통을 덜어주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궁극적으로는 벽식 구조의 공동주택에서 벗어나 라멘(기둥식) 구조와 모듈러에도 층간소음 1등급 기준을 적용해 100년 이상 가는 장수명 주택의 근간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dbman7@newspim.com 2024-11-24 11:00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