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68가구, 경기도 41가구 총 109가구
[세종=뉴스핌] 서영욱 기자 = 대학생과 청년들이 주변 시세의 절반 수준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는 사회적 주택 입주자를 모집한다.
1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사회적 주택 운영기관 선정을 완료하고 이날부터 입주자 모집공고에 들어간다.
사회적 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같은 공공주택 사업자가 다가구‧다세대 주택을 매입해 운영은 사회적 경제주체에게 위탁하는 방식이다.
![]() |
서울 강북구 번동에 위치한 사회적주택 전경 [사진=국토부] |
모집공고를 하는 사회적 주택은 서울 7개동 68가구, 경기 5개동 41가구 총 109가구다.
서울 노원구 상계동 두 곳에 12가구와 9가구, 강북구 번동‧도봉구 창동‧구로구 개봉동에 각 10가구, 은평구 신사동에 9가구, 동대문구 제기동에 8가구다.
경기도에서는 수원시 영통동 두 곳에 9가구와 8가구, 부천시 소사본동과 심곡본동에 각 8가구, 여주시 점봉동 8가구 입주자를 모집한다.
사회적 주택의 운영은 전문가 심사를 통해 선정된 사회투자지원재단, ㈔가치있는누림을 비롯한 10개의 사회적 경제주체가 담당한다.
입주 대상은 졸업 후 2년 이내 취업 준비생을 포함한 대학생과 만 19~39세 청년이다.
대학생은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 합계 기준, 청년은 본인의 월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약 350만원)여야 한다.
대학생과 청년은 6년 동안 거주할 수 있고 재계약, 보유자산기준은 행복주택의 대학생·청년 기준을 적용한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절반 수준이다. 자세한 사항은 마이홈 포털이나 LH 누리집, 주거복지재단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사회적 주택을 통해 다양한 주거서비스가 제공되는 임대주택에서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거주하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겠다"며 "사회적 경제주체와 입주자의 의견을 수렴해 제도적 개선 방안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