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마켓·금융

속보

더보기

[라오쯔하오] 양고기 샤브샤브의 명가, 100년 전통훠궈 둥라이순(東來順)

기사입력 : 2018년09월24일 17:43

최종수정 : 2018년09월26일 10:16

베이징 전통 미식 솬양러우 최고로 잘하는 집
키신저 전 美국무장관도 격찬한 중국 일품 요리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 종잇장처럼 얇게 썬 양고기를 살짝 데쳐서 먹는 베이징의 미식 솬양러우(涮羊肉). 중국 훠궈 브랜드 둥라이순(東來順)의 간판 요리이다. 1903년부터 영업을 시작한 115년 역사의 라오쯔하오(老字號) 둥라이순은 전통 방식으로 손질된 신선한 양고기 편육과 다채로운 양념이 곁들여진 양고기 훠궈의 대명사로 통한다. 

특히 솬양러우의 양고기 편육은 뜨거운 육수에 담근 후 입에 넣으면 사르르 녹아서 쌀쌀한 가을철 최고의 별미로 손꼽힌다. 또 둥라이순의 솬양러우는 베이징의 유서 깊은 전통 먹거리이자 소수민족인 회족 문화를 반영한 무형 유산이기도 하다. 2008년 둥라이순의 솬양러우 조리기법은 국가급 비물질유산(國家級非物質文化遺產)으로 정식 지정됐다.

둥라이순 초기 매장 그림 (좌) 훠궈 메뉴(우) [바이두]

◆둥라이순 베이징의 오랜 미식 솬양러우 전통 계승  

회족 출신 장사꾼 딩더산(丁德山)이 1903년 베이징의 가장 오래된 장터인 둥안시장(東安市場)에서 노점을 차리면서 둥라이순의 115년 여정은 시작됐다.

가난한 집안 출신의 딩더산(丁德山)은 돈을 벌기 위해 악착같이 일에 몰두했다. 그는 길가에 판잣집을 짓고서 '동라이순죽포'(東來順粥鋪)란 이름의 죽 가게를 개업해 죽, 콩즙,양고기 내장 등 간단한 먹거리를 팔았다.

신해혁명(辛亥革命) 무렵인 1912년 둥안시장에 발생한 큰 화재로 죽 가게가 전소되면서 딩더산은 크게 낙담하게 된다. 하지만 화재는 전화위복이 됐다. 딩더산은 3개의 방을 갖춘 기왓집을 지은 후 식당 명칭을 ‘동라이순양러우관(東來順羊肉館)’으로 개명하면서 사업은 이전 보다 더 번창하게 된다.

딩더산은 신장개업 후 솬양러우의 원조식당으로 불리는 정양러우(正阳楼)에서 양고기 손질에 숙련된 인력을 영입하는 등 재료 가공에 돈을 아끼지 않았다. 또 솬양러우 조리 도구를 개량하고 엄선된 재료와 양념 배합에도 심혈을 기울여 둥라이순은 양고기 명가로 서서히 입소문이 나기 시작한다. 그는 요리를 담는 식기와 조미료의 색상까지 고려해 ‘맛,향,모양,색’ 음식의 4가지 요소를 조화롭게 하는데 힘썼다.

솬양러우 편육[사진=바이두]

둥라이순의 대표 메뉴인 솬양러우(涮羊肉)는 쓰촨식 원앙훠궈(鸳鸯火锅)와 달리 동(銅)으로 제작된 신선로를 통해 고기를 조리하는 베이징의 미식이다. 이 음식은 과거 몽고의 군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전해지며 양고기 특유의 누린내가 나지 않는 것이 특징으로 꼽힌다.    

둥라이순은 솬양러우 뿐만 아니라 양고기 볶음,구이,튀김 등 200여 종류의 요리로 메뉴를 확대해 다양한 풍미를 지닌 양고기 음식점으로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다. 1942년 솬양러우 경쟁업체인 정양러우(正阳楼)가 파산하게 되자 둥라이순은 베이징 최고의 양고기 음식점으로 남게 됐다.  

신중국(新中國) 성립 후 둥라이순은 국가자본과 민간자본이 합자한 방식인 공사합영(公私合營) 방식으로 운영되는 민족식당(民族餐厅)으로 거듭났다. 그 후 1979년 둥라이순은 라오쯔하오 식당으로 선정되면서 국내외 유명 명사들이 찾는 명소로 변모했다.

중국을 방문한 미국의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도 둥라이순에 들린 후 “둥라이순의 솬양러우는 꽃잎 모양의 정교한 공예품과 같은 요리이다”라며 극찬을 아끼지 않았다. 

☞원앙훠궈(鸳鸯火锅):  칸이 나뉜 원앙신선로를 통해 고기를 조리하는 샤브샤브 요리

원앙훠궈(좌) 동훠궈(우) [사진=바이두]

◆ 둥라이순 ‘미니 훠궈’로 승부수

둥라이순은 알리바바가 투자한 신선식품 신유통 업체인 허마성셴(盒馬鮮生)과 손을 잡고 신규 훠궈 브랜드 솬쥐(涮局)를 선보였다.

지난 6월 일부 허마성셴 매장에 입점한 둥라이순은 1인용 훠궈인 일명 ‘미니 훠궈’를 주력메뉴로 신세대 고객 공략에 나선 것. 이 식당의 메뉴 가격은 50~60위안으로 기존 휘궈 브랜드의 가격(130~150위안)의 1/3에 불과하다.

둥라이순의 신규 브랜드 솬쥐 [사진=바이두]

이 매장은 기존의 훠궈 식당과 달리 대형 신선로 없이 바(bar) 형태의 테이블에서 편안하게 훠궈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카레, 토마토미트 소스 등 한 독특한 양념을 선보이며 젊은 고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그 밖에도 반조리 형태의 훠궈제품 배송 계획을 내놓으면서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

이 같은 둥라이순의 ‘변신’은 최근 훠궈 업계의 트렌드를 반영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둥라이순은 바(bar) 형태의 훠궈 음식점으로 빠른 외형확장에 성공한 프랜차이즈 업체인 샤부샤부(呷哺呷哺)를 정조준 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현재 둥라이순은 중국 전역에 걸쳐 15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전문가는 신규 브랜드 출시와 관련,“둥라이순이 허마성셴과의 협력을 통해 임대료 절감효과는 물론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dongxua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다음달 10일 2차 소비쿠폰 기준 나온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행정안전부가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기준을 이르면 내달 초 발표할 예정이다. 상위 10% 구분 기준은 부동산 및 금융소득 등을 살펴 이달 중 기준 수립 준비에 나선다. 한순기 행안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은 8일 정부세종청사 행정안전부에서 열린 민생회복 소비쿠폰 간담회에서 "9월 10일 정도에 2차 (소비쿠폰) 기준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 실장에 따르면 2차 지급 기준 준비는 이달 중 시작된다. 그는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을 만나 기준을 짜야 한다"며 "2021년 사례를 보면 1인가구는 특례를 가산했고, 맞벌이가구는 뺐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한국신용데이터(KCD)가 4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카드 매출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21일부터 27일까지 자영업자 매출 증감률은 전주 대비 평균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오후 서울 시내의 한 매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가능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04 ryuchan0925@newspim.com 한 실장은 "고액 자산가인데 건보료만 적게 내는 경우도 있다"며 "(행안부의) 부동산 데이터나 국세청 금융소득 데이터를 활용해 직장 가입자 중 고액 자산가를 선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이달 7일까지 소비쿠폰 지급 현황에 따르면 전체 신청자는 4818만명으로, 전체 지급대상자의 95.2%가 신청을 마쳤다. 지급액은 8조7232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용 현황은 신용·체크카드 지급액 5조8608억원 가운데 절반가량인 3조404억원(51.9%)이 소비됐다. 이날 처음 공개된 지역별 신용·체크카드 소비율을 보면 서울보다 지역이 높은 편이었다. 제주가 57.2%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 54.7%, 울산 54.6%, 광주 54.5%, 충북 54.1%, 대전 54.0%, 부산 53.7% 등이었다. 한 실장은 "비수도권에 3만원·5만원 더 준 부분도 있지만, 지역 영세소상공인 매출로 이어져 의미 있는 숫자"라며 "10%포인트(p) 차이는 아니지만 2~3%p라도 높은 것은 그만큼 비수도권이 어려웠다는 방증이자 (소비쿠폰이) 사용되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위한 예산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 실장은 "사업 전체 13조9000억원 가운데 1조8000억원만 지방(예산)이고 나머지 12조1000억원가량이 국비다"라며 "(국비에서) 8조1000억원을 먼저 내렸고, 기획재정부 협조를 구해 이달 중순 정도에 4조1000억원을 조속하게 받기로 했다"고 말했다. [자료=행정안전부] 2025.08.08 sheep@newspim.com 한 실장은 "(소비쿠폰 2차 지급에 앞서) 지방채 발행이 필요 충분 조건은 아니고 충분조건 정도 될 것"이라며 "(지방재정법 통과는) 9월 본회의까지 하도록 목표를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추경)에는 민생쿠폰 관련 연구용역 예산 2억원도 담겼다. 소비쿠폰 등 현금성 지원에 대한 효과를 철저하게 분석한다는 취지다. 한 실장은 "민생쿠폰 추경에 연구용역비 2억원이 담겼다"며 "과거 2020~2021년 효과가 있냐 없냐 등 많은 비판이 있었다. 연구 용역을 제대로 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조세정책연구원이나 KDI 등과 연구한다는 것이 행안부 현재 계획이다. 행안부는 하나로마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을 확대한다는 계획도 이날 밝혔다. 그간 도서산간지역 소비쿠폰 사용처가 제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된데 따른 것이다.  한 실장은 "면 단위에서 동네에 마트 등이 전혀 없는 경우가 있어 하나로마트 121곳에서 현재 사용 가능하다"면서도 "현장을 가 보니 마트가 있어도 너무 영세해 고기나 채소 등 신선식품을 사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현재 시장·군수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하고 있고, 빠른 시일 내로 하나로마트 사용처를 추가 지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실장은 또 "추가 소비 진작 대책을 관계부처와 많이 만들고 있다"며 "행안부는 수도권 기업, 공기업, 관공서 등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을 맺는 소비진작 대책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8-08 16:11
사진
주담대 이어 전세대출 문턱 높인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에 은행권 또한 전세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가계대출 감축 취지에 발맞춘 조치이지만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 사다리가 점점 짧아질 수 있다는 비판도 덩달아 커지는 모습이다. 최근 1년간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 변동 추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대출 안 내준단 은행에… 집주인·세입자 모두 '망연자실' 8일 금융권은 이번 주부터 전국 단위로 조건부 전세대출 취급 제한을 확대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6일부터 10월까지 임대인 소유권 이전이나 보유 주택 처분을 조건으로 한 전세대출을 막기로 했다. 집주인이 기존에 갖고 있던 근저당을 말소하는 대신 나오는 전세대출도 마찬가지다. 본래 수도권을 대상으로만 금지했으나 이를 전국으로 확대한다. 하나은행은 이달 5일부터 9월 실행 예정인 전세대출의 신규 신청을 받지 않기로 했다. NH농협은행도 비슷한 상황이다. IBK기업은행은 이보다 하루 빠른 이달 4일부터 대출 모집인을 통한 전세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정부는 지난 6월 27일 수도권·규제지역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가계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같은 달 28일부터 수도권 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 이하로 제한하고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구입 대출을 전면 금지했다. 세입자가 전세자금대출을 받는 날 해당 주택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도 불가하다. 이와 함께 하반기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기존의 절반으로 줄였다. 5대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 가계대출 증가액 목표치를 7조2000억원에서 3조6000억원으로 축소했다.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액은 4조1386억원으로 전월(6조7536억원)보다 38.7% 줄었다. 갭투자를 차단하겠다는 명목이지만 당장 자금 조달에 차질이 생기면서 전세 입주를 앞둔 이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수중에 돈이 없는데 은행 대출 문까지 막히면서 입주를 못 하는 일이 벌어지고 있어서다. 대출이 많이 껴있는 집이나 주택 여러 채를 소유한 임대인의 집에 들어가려면 대출이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전세 매물도 감소세다. 전세계약 만료를 앞둔 집주인도 대출이 안 나와 보증금 반환이 어려워지자 세입자를 받는 대신 직접 입주를 선택하는 일이 늘었다. 부동산 빅데이터업체 '아실'에 따르면 6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매물은 2만3467건으로 전년 동기(2만6512건) 대비 11.5% 감소했다.  거래량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9546건으로 전월(1만2120건) 대비 21% 줄었다. 수요는 많은데 매물은 줄어들면서 가격은 상승세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중위 전세가격은 평균 5억6333만원으로 한 달 사이 333만원 올랐다. 전년 동기(5억 3167만 원)와 비교하면 6.0% 뛰었다. ◆ "돈도 매물도 없다" 갈 곳 없는 세입자, 월세로 눈 돌려 6.27 대출규제에 정책대출 감축 내용도 포함되며 전셋값 상승 압력을 더욱 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해 지원되던 청년·신혼부부·신생아 버팀목 전세대출의 한도도 줄었다. 상품에 따라 상한선이 최소 4000만원에서 많게는 6000만원까지 내려오면서, 이를 통해 보증금을 마련하려던 예비 세입자들의 부담이 커지게 됐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2년 전보다 전세가가 하락해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집주인 입장에선 이번 규제가 전세 보증금 반환 리스크를 더욱 가중시키는 또 다른 변수로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터 전문위원 "정책대출이 줄어들면 장기 저리 대출 수단이 사라지면서 주거 사다리 형성이 더 어려워진다"며 "청년, 신혼부부 등 초기 자산 형성이 되지 않은 계층과 주택 구입이 더 멀어지며 임대시장으로 밀려나는 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무주택 실수요자는 전셋값이 오르고 자금줄은 막힌 이중고 속에서 집을 구하긴 해야 하니 반전세나 월세 등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발생한 아파트 신규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은 42.2%(5555건 중 2345건)으로 전년 동기(41.5%)보다 0.7%p 증가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정기획위원회가 전세대출과 정책모기지에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검토하겠다고 알려지며 우려가 더욱 커졌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의 부작용을 해결할 추가 대책이 적절히 마련돼야 한다며 입을 모은다.  김인만 김인만경제연구소 소장은 "집값 급등의 원인이 되는 수급 불균형 문제 해결이나 세금 관련 규제 등을 통해 주택시장을 안정화하겠다는 메시지를 던질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덕례 주택연구실장은 "이전 정부 경험에 비춰볼 때 이번 대출 규제 효과는 3∼6개월에 불과할 우려가 있다"며 "빠르고 강력한 공급 대책을 강구하지 않으면 눌려 있던 매매 수요가 저금리와 경기 활성화 분위기를 타고 다시 살아나면서 4분기 중 집값이 다시 급등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8-08 06:1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