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콘리뷰] 젝스키스, 2만명 울린 4명의 콘서트…진심으로 전한 '지금, 여기, 다시'

기사입력 : 2018년10월15일 09:27

최종수정 : 2018년10월15일 09:27

‘젝스키스 2018 콘서트-지금·여기·다시’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젝스키스가 4명이서 무대를 가득 채웠다. 멤버 한 명의 빈자리가 느껴지지 않는 공연이었다.

젝스키스가 14일 서울 송파구 방이동에 위치한 올림픽공원 체조경기장에서 ‘젝스키스 2018 콘서트-지금·여기·다시(SECHKIES 2018 CONCERT-지금·여기·다시)’를 개최했다. 이번 공연은 지난 13~14일 양일간 진행됐으며, 총 2만여 명의 관객이 함께했다.

그룹 젝스키스 콘서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공연이 열린 체조경기장은 젝스키스가 16년 만의 재결합 콘서트를 열었던 곳으로, 4명의 멤버는 2년 만에 같은 무대에 올라 팬들과 함께 뜻 깊은 시간을 보냈다.

젝스키스는 ‘약속된 운명(아마게돈)’으로 공연의 포문을 열었다. 팬들은 노래가 시작되자마자 자리에서 일어나 환호성을 내지르며 열기를 더했다. 젝스키스는 ‘Flying Love(천상비애)’, ‘무모한 사랑’을 연달아 선보였다. 3곡을 소화한 멤버들은 공연장을 노랗게 수놓은 팬들에게 인사를 건넸다.

은지원은 “오랜만에 함께 콘서트를 하는 것 같다. 20주년에 함께 했는데, 21주년도 훌쩍 지나간다. 이번에도 함께 해주신 팬 여러분들 환영하고 감사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콘서트 타이틀이 ‘지금·여기·다시’이다. 초심을 잃지 말고 비상하자는 마음가짐으로 오프닝에 힘을 실었다”며 “지금까지 보여드리지 못했던 노래도 선보이려고 한다. 활동때 아쉽게 했던 ‘플라잉 러브’를 오프닝 때 선보였다. 여러 분들을 위해 준비한 모든 것들을 오늘 하루에 다 쏟아붓고 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룹 젝스키스 콘서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이들은 ‘컴백(Com' Back)’에 이어 ‘학원별곡’에는 중앙 무대로 이동해 팬들과 조금 더 가까이 호흡했다. 이번 콘서트에는 최근 팬미팅 일방적 취소, 팬 기만 논란에 등에 휩싸였던 강성훈은 참석하지 않았다. 멤버들은 강성훈의 빈자리가 느껴지지 않도록 보컬 파트를 서로 나눠 부르며 그 어느 때보다 열정적인 무대를 선보였다.

이재진은 “어제 공연부터 혼이 빠졌다. 어떻게 했는지 기억이 안 난다. 무대에서 뭐라고 했는지 기억도 안 난다. 입력된 대로만 하고 있다. 그래도 그 어느 때보다 심장이 뜨겁게 뛰고 있다. 공연 때 긴장을 하려고 해서 밥을 안 먹고 있다”며 열정을 드러냈다.

열정적인 무대 뒤에는 젝스키스의 감미로운 발라드 무대가 이어졌다. 이들은 1998년에 발매한 ‘로드 파이터(Road Fighter)’ 앨범 수록곡인 ‘라스트(Last)’로 당시 추억을 회상시켰다. 또 2016년 본격적으로 활동 시작을 알린 ‘세단어’로 이번 콘서트에 남다른 의미를 더했다.

‘지금·여기·우리’ 공연에는 멤버들의 개인 무대도 공개됐다. 첫 번째 주자인 장수원은 ‘소녀’로 감미로운 보컬을 뽐냈다. 이어 은지원은 ‘나우(Now)’, 이재진은 ‘이고이스트(Egoist)’, 마지막으로 김재덕은 ‘위 스틸 인 디스 비치(We Still In This Bitch)’로 다채로운 공연을 만들어냈다.

그룹 젝스키스 콘서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개인 무대가 끝난 후, 다시 젝스키스가 무대에 올랐다. 이들은 ‘오랜만이에요’을 부르며 객석 쪽으로 향해진 무대로 자리를 잡아 팬들에게 손 인사를 건네며 가까이서 교감하기 시작했다.

이어 ‘내겐 보일 수 없었던 세상’ ‘슬픈 노래’ ‘특별해’로 공연 후반부를 향해 달려갔다. 은지원은 “공연이 벌써 중간까지 왔다”며 젝스키스 멤버들과 함께 사업을 준비한다고 밝혀 시선을 끌었다. 이재진은 “요식업인데, 제가 주방에 들어가서 요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은지원은 “이제 잠시 쉬었으니 다시 달릴 시간이다. 5집 수록곡 중에 노래들을 하려고 한다”며 ‘느낌이 와’를 선곡했다. ‘현기증’ 무대가 끝난 후 팬들은 “한번 더”를 외쳤고, 멤버들은 즉석에서 노래를 다시 시작, 축제와 같은 공연을 만들었다.

그룹 젝스키스 콘서트 [사진=YG엔터테인먼트]

은지원은 “저희가 22주년을 향해 가고 있다. 더 많이 못 찾아 뵌 것이 아쉽기도 하다. (양)현석이 형도 저희가 좋은 노래로 컴백한다고 하셨으니까, 쉽게 곡을 정하지 못해서 더 좋은 곡을 녹음해서 팬 여러분들께 나타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재진은 “멀리서 여러분들이 와주시려고 노력 하신 거 다 알고 있다. 너무 감사하다”며 팬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했다. 장수원 역시 “콘서트 끝나고 잠깐의 재정비 시간 후 녹음을 하고 젝스키스로 다시 나올 것”이라고 다짐했다.

젝스키스는 ‘아프지마요’로 이날 공연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팬들은 노란색의 응원봉을 흔들며 텅빈 무대를 향해 ‘앙코르’를 외쳤고, 다시 무대에 오른 멤버들은 ‘그대로 멈춰’ ‘예감’ ‘커플’로 지금·여기·다시 콘서트를 마무리했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