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요금제 공시지원금, SKT와 LGU+ 20만원 차이
"5G 초기단계, 높은 수준 지원금 살포"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통신3사가 LG전자의 5G(5세대)폰 'V50 ThinQ(씽큐)' 출시와 함께 요금제별 공시지원금을 높은 수준으로 책정하며 5G폰에 대한 공격적인 마케팅에 돌입했다.
![]() |
10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V50 씽큐 출시를 이틀 앞두고 최대 57만원의 공시 지원금을 발표했다. V50 씽큐 출고가가 119만9000원임을 고려하면 출고가의 절반 수준에 신제품 프리미엄 폰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공시지원금이란 고객이 핸드폰을 구매할 때 통신사에서 제공해주는 단말기 할인지원금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최신 폰이나 프리미엄 폰일수록 공시지원금은 낮게 책정된다.
하지만 지난달 5G 상용화 이후 각 통신사들이 초반 5G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 공격적인 가격 마케팅에 나서 공시지원금도 높게 책정되는 모양새다.
LG유플러스보다 이틀 늦은 10일, V50 씽큐 출시 당일 공시지원금을 발표한 SK텔레콤과 KT는 LG유플러스보다 더 높게 공시지원금을 책정해 발표했다. 특히 가장 많은 지원금을 '살포'하는 곳은 SK텔레콤이다.
8만원대 요금제를 기준으로 SK텔레콤은 '5GX프라임' 가입자에게 63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에 고객은 56만9000원에 V50 씽큐를 구매할 수 있다.
KT가 '슈퍼플랜베이직' 가입자에게 48만원을 지급하는 것과 비교해 15만원 더 주고, LG유플러스가 '5G스페셜' 가입자에게 51만원을 지급하는 것과 비교해선 12만원 더 많이 지급한다.
각 사별로 가장 높은 요금제에 가입할 때 지급하는 공시지원금 차이는 최대 20만원까지 벌어졌다.
SK텔레콤은 12만5000원 요금제인 '5GX플래티넘' 요금제에 가입할 경우 77만3000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이 공시지원금을 가입할 경우 가입자는 42만6000원에 신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어 KT는 13만원 요금제인 '슈퍼플랜프리미엄' 가입자에게 60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해 59만9000원에 스마트폰을 구매할 수 있다. 이 밖에 LG유플러스는 9만5000원의 '5G프리미엄' 요금제에 가입하는 고객에게 57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지급한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공시지원금을 높은 수준으로 책정한 것은 불법 지원금 없이 투명하게 폰을 팔겠다는 의지"라면서 "단, 통신사별로 20만원 넘게 공시지원금이 벌어지면 불법 보조금 살포로 이어질 우려는 있다"고 귀띔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