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케이옥션 7월 경매 김환기·천경자…데이비드호크니 '아이패드' 작품 출품

기사입력 : 2019년07월04일 15:36

최종수정 : 2019년07월04일 15:36

최고가 김환기 '항아리와 날으는 새', 추정가 11억~17억원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케이옥션은 오는 17일 오후 4시 서울 강남구 신사동 본사에서 7월 경매를 개최한다. 이번 경매는 김환기, 박서보, 이우환 등 한국 추상작가의 작품과 박수근, 천경자, 김종학, 김창열 등 구상작가의 수작이 출품된다. 총 작품 184점, 약 110억원 규모다.

이번 경매에 출품되는 최고가 작품은 김환기의 '항아리와 날으는 새'다. 1958년도 작품으로 해방 이후 우리의 것을 그려야 한다는 김환기의 자각이 그대로 드러난 작품이다. 추정가는 11억~17억원이다.

김환기 1913 - 1974 항아리와 날으는 새 oil on canvas 72.7×53cm (20), 1958 signed on the lower left [사진=케이옥션]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가로 6.7m, 세로 3.8m에 이르는 대형지도다. 김정호가 손수 제작하고 목판본으로 찍어 간행한 대축적 분첩절첩식 전국지도다. 모두 22권의 첩으로 이뤄져 있으며 각 첩은 병풍처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

지금까지 경매에 출품된 대동여지도는 1861년 제작된 초간본인 '신유본'이다. 이번에 출품된 대동여지도는 신유본 이후 수정작업을 거쳐 1864년에 발행된 '갑자본'이다. 특히 이번 경매 출품작은 갑자본 중 판각의 상태가 좋아 초기 판본으로 볼 수 있어 더욱 귀중한 작품이다. 추정가는 5억5000만원에서 7억원이다.

고산자 김정호 1804 - 1866(추정)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종이에 목판인쇄 each 30×20cm, 22점, 1864 [사진=케이옥션]

해외미술의 경우 게르하르트 리히터, 데미안 허스트, 데이비드 호크니, 요시토모 나라, 야요이 쿠사마 등 인기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데이비드 호크니의 아이패드 드로잉 작품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twenty eleven)-15 March'는 아이패드가 처음 출시된 2010년 73세였던 호크니가 혁신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총 25개 에디션 중 20번째인 이 작품의 추정가는 5000만원에서 7000만원이다.

데이비드 호크니 b.1937 British The Arrival of Spring in Woldgate, East Yorkshire in 2011 (twenty eleven) - 15 March iPad drawing printed on paper 127×95cm, (edition 20/25), 2011 signed on the lower right [사진=케이옥션]

고미술 부문에서는 청자상감국화문통형잔, 백자투각장생문필통, 백자청화장생문병 등 고려, 조선시대 최고급 도자기가 출품된다.

13세기 제작된 청자잔 '청자상감국화문통형잔'은 경매에선 거의 출품된 적 없는 희소성 높은 작품이다. 오늘날 흔히 사용되는 컵 모양이며, 뚜껑까지 남아 있어 제작 당시 원형을 추정할 수 있다. 문양의 구성이 치밀하고 상감기법이 매우 훌륭할뿐 아니라 녹청색 유약은 기면 전면에 고르게 발려 광택도 은은하다. 특히 유색은 기관 소장품 보다 우수한 귀한 작품이다. 추정가는 800만원에서 2000만원이다.

백자투각장생문필통 11×12.4(h)cm, 19세기 [사진=케이옥션]

'백자투각장생문필통'은 조선시대 선비의 사랑방에서 오래도록 건강을 염원하던 한 선비의 소망을 그대로 담아낸 수작이다. 투각필통에는 잘 나타나지 않는 장생문이 새겨진 희소한 작품이다. 도상 빈 공간은 빼곡하게 소나무 잎으로 장식해 예술성을 더했다. 추정가는 8000만원에서 1억5000만원이다

이 밖에 조선 서예사의 이론적 체계를 구축한 '원교 이광사' 특별섹션에는 시고, 동필, 원교서첩 등을 선보이며 곽분양행락도, 호렵도, 화조도 등 장식화 병풍들, 당시 주문 제작한 것으로 여겨지는 소장가치가 높은 목안, 죽제화조문다필통, 이층책장, 사층탁자 등이 다양하게 경매에 오른다.

 

89hklee@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