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턴 경질, 거추장스러운 말썽꾼 사라진 것"
"트럼프, 실용적 관점 접근·현명한 정치적 결단"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북한이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리비아 모델이 부당하다’는 발언에 환영의 뜻을 표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는 이날 담화를 통해 “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리비아식 핵 포기 방식의 부당성을 지적하고 조미(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주장했다는 보도를 흥미롭게 읽어봤다”고 밝혔다.
김 대사는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의 경질을 언급하며 “조미실무협상 우리 측 수석대표로서 나는 시대적으로 낡아빠진 틀에 매달려 모든 것을 대하던 거추장스러운 말썽꾼이 미 행정부 내에서 사라졌다”면서 “이제는 보다 실용적인 관점에서 조미관계에 접근해야 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현명한 정치적 결단을 환영한다”고 했다.
![]() |
지난 6월 30일 판문점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는 그러면서 “우유부단하고 사고가 경직됐던 전 미 행정부들이 지금 집권하고 있다면 의심할 바 없이 조선반도(한반도)에 통제 불가능한 상황이 조성됐을 것”이라며 “이것이 미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될 것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새로운 방법에 어떤 의미가 함축돼 있는지 그 내용을 나로서는 다 알 수 없다”면서도 “조미 쌍방이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으며 실현가능 한 것부터 하나씩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라는 취지가 아닌가 싶다”고 풀이했다.
김 대사는 아울러 “발언 내용의 깊이를 떠나서 낡은 방법으로는 분명히 안 된다는 것을 알고 새로운 대안으로 해보려는 정치적 결단은 이전 미국 집권자들은 생각조치 하지 않았고 할 수도 없었다”며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정치 감각과 기질의 발현이라고 생각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을 추켜세웠다.
그는 “나는 미국 측이 이제 진행되게 될 조미협상에 제대로 된 계산법을 가지고 나오리라고 기대한다”며 “그 결과에 대하여 낙관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북한 당국자의 이 같은 반응은 상당히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에게 ‘특유의 정치 감각’, ‘기질의 발현’이라는 표현을 곁들인 부분은 주목할 만하다는 지적이다.
![]() |
베트남 2차 북미정상회담 당시 북한은 존 볼턴 백악관안보보좌관(왼쪽)의 맞은 편을 공석을 놓아두며 불쾌감을 드러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그간 북한은 ‘선(先) 핵 폐기-후(後) 보상’을 골자로 하는 리비아식 비핵화 방법론에 불쾌감을 노골적으로 표해왔다. 사실상 정권 전복 기도나 다름없다는 판단에서다.
‘노딜’로 끝난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이후 소강국면을 이어오던 북미 간 대화 재개가 최근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이달 들어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담화를 통해 각각 ‘대화 재개 용의’를 밝혔고, 과 미국담당 국장 담화에서는 ‘체제안전보장’이라는 조건을 제시했다. 이를 기점으로 북미 대화가 임박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슈퍼 매파’ 볼턴 보좌관을 경질하며, 리비아 모델 언급이 잘못이었다고 공개 비판하고, 또 지난 18일(현지시간) 리비아 모델이 북미 간 대화 국면에 큰 차질을 초래했다고 밝히며 일련의 분석에 힘이 실렸다.
아울러 향후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이 이전보다 유연해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외교가에서는 미국이 북측이 원하는 ‘새로운 셈법’으로 협상에 임할지 여부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모양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