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교복‧두발 공론화 추진 중간 모니터링 결과 발표
전체 중‧고 두발 길이(94.7%), 염색(65%), 파마(72.2%) 허용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서울 관내 중·고등학교 10곳 중 9곳이 학생 ‘두발 길이’를 자유화한다. 파마까지 허용하는 학교도 10곳 중 7곳 꼴로 나타날 전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1일 편안한 교복‧두발 자유화 공론화 추진 중간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편안한 교복과 두발 자유화는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주력 사업 중 하나다.
![]() |
|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서울시교육청의 자료에 따르면 서울 관내 전체 중·고등학교 701곳 가운데 69.3%에 해당하는 486곳(△중학교 277곳 △고등학교 209곳)가 학교 공론화 추진을 완료했다.
설립별로 살펴보면, 공립 중·고등학교 388곳 가운데 71.9%(279곳)가 공론화 과정을 마쳤다. 사립의 경우 388곳 중 65.9%(203곳)가, 국립은 5개교 중 80%(4곳)가 공론화를 완료했다.
두발 형태에 대해서 공론화를 추진 한 학교 93.8%(407곳)가 학교 규칙을 제‧개정해 두발 길이 자유화를 결정했다.
또 58.3%(253곳)는 염색을, 68.2%(296곳)는 파마도 허용토록 학교 규칙을 제‧개정했다.
아직 공론화를 추진하지 않은 서울 전체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론 △두발 길이 94.7% △염색 65% △파마 72.2%로 나타난 셈이다.
두발 자유화 결정은 고등학교보다 중학교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공론화를 추진한 중학교 249곳 중 94.4%(235곳)가 두발 길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63.1%(157곳)의 중학교에선 염색을, 71.1%의 중학교(177곳)에선 파마도 허용했다.
고등학교 185곳에서 두발 길이 자유화한 학교는 93.0%(172곳), 염색은 51.9%(96곳), 파마는 64.3%(119곳)였다.
![]() |
| 편안한 교복 결정 현황. [사진=서울시교육청 제공] |
아울러 공론화를 추진한 중·고등학교(486곳)의 91.3%(411곳)가 다양한 형태의 교복을 선택했다.
기존 교복에 생활복을 학교가 지정하는 형태가 76.2%(343곳)로 가장 높았다.
상의는 교복을 입고 하의는 자율적으로 선택하거나 기존 교복에 생활복, 체육복을 곁들이는 형태 등 교복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도 11.1%(50곳)를 차지했다.
이후엔 기존 교복의 디자인이나 색상 등을 바꿔서 입자는 의견 8.7%(39곳), 학교가 지정한 생활복을 입자는 의견 3.3%(15곳), 사복을 입자는 의견 0.6%(3곳) 순이었다.
기존 교복을 개선해 입자는 의견을 보인 중학교는 △공립 9.2%(17곳) △사립 10.4%(7곳)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의 경우 △공립 3.8%(3곳) △사립 10.4%(12곳)로 집계됐다.
공론화 추진시 학생 의견을 50%이상 반영한 학교는 45%로 나타났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의 의견을 33.3%씩 반영한 학교는 52%였다.
앞서 서울시교육청은 지난해 11월 “올해 1월 서울 전체 중‧고등학교에 공론화를 추진하고 공론화 과정에서 학교 규칙 당사자인 학생 의견을 50% 이상 반영하라”고 권고했다.
이번 학교 공론화를 통해 결정된 두발 관련 규정은 학교규칙 공포 및 시행 즉시 적용된다. 복장 관련 규정은 2019학년도 2학기 교복 학교 주관 구매 절차를 거쳐 2020학년도 최종 도입된다.
서울시교육청은 2020년 3월 이후 편안한 교복을 도입해 인권 존중이 되는 학교 문화를 조성하고 학교에 숙의민주주의를 도입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대해 오은정 서울시교육청 학생인권교육센터 사무관은 “학교규칙을 제‧개정할 때 관례적으로 학생과 학부모, 교사가 33.3%씩 반영해왔다”며 “당사자인 학생들 의견이 50% 이상 반영될 때 염색이나 파마 등 전면 두발 자유화 하자는 결론 등이 나올까봐 주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2020학년도 2월까지 서울 중·고등학교의 80.6%(565곳)를 목표로 편안한 교복·두발 자유화 공론화를 완료할 계획이다.
다만 나머지 19.4%(136곳) 공론화 추진 계획은 확정되지 않았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학교 공론화는 다소 복잡하고 힘든 과정이었지만 우려와 달리 학생은 물론 학부모, 교원 모두 성숙한 민주시민으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였다”며 “이번 학교 공론화는 기존 교육 3주체가 모인 민주적인 의사결정 과정에 ‘숙의와 학생 참여 보장’이 더해 진 것이기에 더 가치가 크다”고 밝혔다.
km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