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북부, 공공의료 차별 안 돼"
[포천=뉴스핌] 양상현 기자 = 경기도의회 김우석 의원 (더불어민주당, 포천1)은 최근 열린 제340회 정례회 제2차 본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경기북부 공공의료 강화'를 촉구했다.
이날 김 의원은 "경기도 31개 시·군 10만 명 당 사망률은 포천시가 416.6명으로 가장 높고, 심장질환 사망률도 포천시가 43.9명으로 1위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어 "포천시를 포함한 경기북부 연천, 가평, 강원도 철원 지역에서 중증응급환자가 발생하면 6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대학병원이 없다"면서 "포천병원이 이전 신축된다면 포천에서는 30분, 연천과 가평, 철원에서도 50분이면 병원에 도착할 수 있게 된다"며 포천병원의 거점 책임의료기관 지정 필요성에 대해 역설했다.
![]() |
김우석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 포천1) [사진=경기도의회] |
실제 양주와 동두천 주민들은 기존 의정부 소재 대형병원에 30분 정도면 도달할 수 있지만 가평이나 연천, 강원도 철원군에서는 60분 내 병원에 도달할 수 없다.
현재 경기도에는 6개의 공공의료원이 있지만, 포천병원만 유일한 의료취약지형 공공병원이다. 포천을 제외한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의 전국 의료취약지형 공공병원은 신축, 증축, 이전신축, 개설 등을 통해 공공의료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다.
김 의원은 "특히 포천지역은 여의도 면적의 76배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약 3만여 명의 군병력이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군의료체계에 대한 개혁의 목소리도 끊이지 않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의원은 "국가 안보를 위해 지역 개발에서 소외된 경기북부가 공공의료에서도 차별 받아서는 안 된다"면서 "경기북부 도민의공공의료 강화를 위해서는 포천병원을 거점 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하고 신축이전을 통해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접근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며 포천병원 신축을 촉구했다.
한편, 지난 2017년 새 정부 출범으로 '의료 공공성 강화'가 국정과제로 확정됐고, 이후 기재부, 교육부, 국무조정실 등 관계부처가 협의하여 2018년 10월 1일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이 발표됐다.
주된 내용은 필수의료 서비스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공공보건의료에 대한 국가 책임의 강화다.
yangsanghyun@newspim.com